A study on the Sensibility Image Comparison of Wedding Dress Design between two regions

웨딩드레스 디자인의 감성이미지에 대한 지역간 비교 연구

  • Lee, Eun-J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University of Ulsan) ;
  • Lee, Eun-So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University of Ulsan)
  • Received : 2008.04.16
  • Accepted : 2009.01.20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gional differences of sensibility image of wedding dress design for single women of marriageable age in Ulsan and Seoul.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silhouette, both of two region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ut within the same sensibility image there was a bit of differences. In neckline, reminded sweetheart of pure image, yet those of Ulsan reminded sweetheart of feminine image. Both of two regions reminded V of hard image, boat of feminine image, square of hard image, halter of complex image. But within the same sensibility image there was a bit of differences between two regions. Oval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regions. Subject of Ulsan reminded oval of mature image, yet those of Seoul reminded oval of elegance image. It was reminded ruffle of complex image. Subject of Ulsan reminded china of hard image, yet those of Seoul reminded china of calm image. In material, i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regions, but within the same sensibility image there was a bit of differences between two regions. In detail, subject of Ulsan reminded ruffle of messy image, yet those of Seoul reminded ruffle of complex image. Both of two areas reminded ribbon of pure image, button of pure image. Subject of Ulsan reminded beads of feminine image, yet those of Seoul reminded beads of pure image. In conclusion, it could be said that there was no major differences in sensibility image for wedding dress design between Ulsan and Seoul.

Keywords

References

  1. 강혜림. (2001). 인터넷상에서 디지털 색채를 통한 감성이미지 접근에 관한 연구. 대학 병원 웹사이트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미지자. (1996). Texture & Colour Coordination의 감성 공학적 Technology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봉주. (2001). 웨딩드레스에 대한 시각적 감성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유진, 이경희. (2003). 현대패션에 대한 감성과 감정의 관계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7(3/4), 418-428
  5. 김자은. (1993). 웨딩드레스(Wedding Dress)의 역사적 변화에 관한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화중. (1991). 색채심리. 서울: 동국출판사, p. 12
  7. 라사라교육개발원. (2002). 패션용어사전. 서울:(주)라사라패션정보. p. 80
  8. 마이웨딩. 서울: 웅진 출판. 2002(pp. 10-12), 2003(pp.1-12), 2004(pp.1-6)
  9. 문윤경. (1995). 우리나라 웨딩드레스의 근대사적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경수. (2000). 감성공학 및 감각생리. 서울: 영지문화사, p. 13
  11. 박성희. (1992). 실용적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수진, 장분익, 정찬섭. (1998). 직물디자인 감성이미지 스케일. '한국감성과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218-224
  13. 박정은. (2001). 현대 웨딩드레스의 유행 변화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손진훈, 박현영, 문성실, 최상섭, 강대임. (1998). 직물의 역학적 특성이 질감감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감성과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230-243
  15. 신은정. (2001). 웨딩드레스 이미지 선호도와 자아이미지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은정, 권혜숙. (2002). 여대생들의 웨딩드레스 이미지 선호도와 자아이미지. 한국복식학회지, 52(5), 31-45
  17. 오해순, 이경희. (2002). 의복재질의 시각적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9/10). 1412-1423
  18. 오희선. (2004). G감성에 따른 브랜드 퍼스낼리티에 관한 연구-리바이스를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5). 605-612
  19. 이미연. (1999). 웨딩드레스의 디자인 요소와 지각자 성별에 따른 인상형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석사학위논문
  20. 이미연, 이명희. (2002). 웨딩드레스의 디자인 요소와 지각자 성별에 따른 인상형성 연구(제2보)-소재, 소매와 장식유무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8), 1216-1227
  21. 이수원. (1992). 심리학. 서울: 정민사, p. 104
  22. 이은정, 장경혜. (2006). 시대별 한국 대중스타의 웨딩드레스 디자인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2), 85-94
  23. 이정현. (1999). 빈센트 반 고흐의 회화모티브를 응용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하승연. (1998).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현선진. (1986). 웨딩드레스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홍돈희. (1977). 서양복식에 나타난 Robe의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