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Variation and Development of Railroad Station Zones on Incheon Metro Train Rail Line 1

인천 1호선전철 역세권의 변화 및 개발에 관한 연구

  • 박만희 (인천대학교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
  • 안경수 (인천대학교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1st Incheon Rapid Transit Line opened in October, 1999. However, the current development plans for areas near stations do not involve plans for the both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together. As the focus on only the aspect of installing a new transportation mode, the developments even make the problems such as reckless development and traffic congestion gets worse. It is required to analyse status of the current land uses and land use plans in the future and consider distribution of functions of the areas near stations and aims of development plans so as to harmonize the functions of each region in view of making balance in the whole city. The aims of developments of areas near stations has to focus on the study follows steps to find and suggest aims and strategies for the revitalization plan for areas near stations with considering the both transportation and land uses together. The plans for the areas near stations of the Incheon 1st Rapid Transit Line are analysed and then the features and rational strategies are derived. The impact is analysed as applying the development strategies derived from the step into the areas near the stations of Incheon 1st Rapid Transit line.

인천광역시는 1999년 10월 도시철도1호선 개통에 따른 역세권 개발은 대규모 도시계획사업이지만 역주변의 토지이용을 특성화 하지 못하여서 교통 혼잡 발생과 이용자의 불편을 초례하고 도시문제가 개선되기 못하고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 1호선 전철의 역세권 주변 인구 및 토지이용현황 등을 분석하여 도시전체에 대한 합리적인 기능의 배분과 적정한 개발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각 역세권의 기능과 목적을 고려하였다. 각각의 역세권 유형별 특성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건설될 역세권에 대한 건설로 발생하게 될 파급효과와 교통 및 토지이용의 변화를 고려한 통합적이고 특성화된 역세권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 (2003) 철도역세권개발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공청회
  2. 권백규 (2002) 역세권 재개발을 위한 복합 구성적 역사 계획안,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건축대학원
  3. 김대웅, 유영근, 최한규 (2002) 지하철 도보역세권 설정방법과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cdot}$도시계획학회지, 대한국토${\cdot}$도시계획학회, 제37권, 제5호
  4. 김수규 (1995) 서울시 공간구조분석을 통한 지하철 역세권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5. 김용하, 이인재 (2002) 부평역 지하공간 이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인천발전연구원
  6. 김재득 (1999) 지하철 역세권의 공간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7. 도시철도건설본부 (2006) 인천도시철도2호선 기본계획변경(안) 공람자료
  8. 윤시운, 이광국 (1999) 지하철 역세권의 상세계획구역 설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1권, 제3호
  9. 이계원 (2003)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 토지의 용도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1996-2001),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10. 임정희 (1998) 서울시 지하철 환승역세권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1. 임희지 (2002) 서울시 역세권 도시조직 분포유형별 역중심 생활권 형성을 위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2. 인천광역시 (2002) 2002년 인천시 통행실태조사
  13. 인천광역시 (2006) 2020 인천도시기본계획
  14. 인천광역시 (2007a) 2006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연구용역 2차중간보고서
  15. 인천광역시 (2007b) 2007 도시계획 업무편람
  16. 인천광역시 (2007c) 2010 인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17. 한종현 (1996)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 분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 환경과학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