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tacle and "Keeping Distance from Spectacle" in Fashion

패션에 나타난 '스펙터클' 및 '스펙터클과 거리두기'

  • Park, Ju-Hee (Dept. of Fashion Design, Samsung Art and Design Institute)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In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Guy Debord argued that modern life was dominated by the commodity form and the false desires it engendered. He predicted in 1967 that culture would become the driving force in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by the end of the century, He was sure when culture becomes nothing more than a commodity, it must also become the star commodity of the spectacular society. Fashion, the starriest of star commodities with its seductive fantasy approaches to the viewers occluding the commercial reality. From this point, the spectacular property of the modern fashion can be found. This study starts on the notion that the modern fashion is on the center of capitalist consumer culture and is constructed by spectacle. On this prem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ng the attribute of 'spectacle' and 'keeping distance £Tom spectacle' in modern fashion expressed in fashion show, fashion media and fashion store. The fashion houses in the 1990s that recognised the commercial value of shock and spectacle were eager to employ young spectacularly visible named designers. They generated the publicity necessary for sales of perfume, cosmetics, bags and diffusion range of clothes through the visible fashion show and fashion media. In the fashion show and fashion media, fashion goods as the commodity both flaunts and disguises its commercial nature in spectacle. The spectacle on the fashion store is the process turning the commodity into image to arouse viewer's higher interest. In the fashion store, the appearance of the commodity such as space, display, package is considered more importantly than its 'utility value'. Meanwhile, the study also covered the innovative trial to evade the ubiquitous 'spectacle' in fashion area.

Keywords

References

  1. Debord, Guy (1967). Society of the Spectacle. 이경숙 역 (1996). 스펙터클의 사회. 서울: 현실문화연구. 본고에서는 221개의 테제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의 인용 글에 (#테제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2. 앞의 책, p. 9
  3. 도보르의 스펙터클 이론을 환기시키고 있는 최근의 이론가들은 Martin Jay, Jonathan Cray 등이 있다. 이들의 저작은 박노영(2002)의 논문참고, 국내의 연구자로는 박노영 외에도 이득재, 이원영이 있다. 패션이론가로는 Caroline Evans를 들 수 있으며 패션에서 스펙터클 이론을 접목한 국내문헌은 아직 없다
  4. Foster, Hal. Krauss, Rosalind. Bois, Yve-Alain. & Buchloh, Benjamin H. D. (2004). Art since 1990: Modernism, Antimodernism, Postmodernism. 배수희 외 역 (2007). 1990년 이후의 미술사: 모더니즘, 반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세미콜론, p. 391
  5. Marshall, Peter. Guy Debord and the Situationists. In Debord, Guy. 앞의 책, pp. 178-184
  6. Foster, Hal 외. 앞의 책, pp. 391-393
  7. 박노영. 앞의 책, p. 10
  8. 위의 책, p. 393. Marshall, Peter. 앞의 책, pp. 178-185
  9. 박노영. 앞의 책, p. 24
  10. 드보르의 스펙터클 이론을 패션에 적용시키는데 있어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대목이다. 드보르의 스펙터클 이론을 연구한 이득재는 스펙터클과 스펙터클적인 것의 비교에서 현란한 패션쇼의 경우 꼭 스펙터클이 아닐 수도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이득재 (2001). 상황주의자 기 드보르. 문화과학 26호, p. 239
  11. 박노영. 앞의 책, p. 25
  12. 이득재. 앞의 책, p. 244
  13. Glenn, Joshua. The Death of a Situationist. In Debord, Guy. 앞의 책, p. 189
  14. Foster, Hal 외. 앞의 책, p. 683
  15. 스펙터클의 독재에 반하여 드보르가 실천하고자 했던 실천을 본고에서는 '스펙터클과 거리두기'라 표현하고자 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반스펙터클(이득재), 스펙터클 파괴, 스펙터클과 거리두기(박노영), 스펙터클에 대한 혐오(계정민) 등의 다양한 표현이 사용되었다. 이득재. 앞의 책, 박노영. 앞의 책, 계정민 (2001). 스펙터클에 대한 매혹과 혐오: 빅토리아 시대 댄디의 사회학. 근대영미소설학회. Vol 8(1). (스펙터클 개념을 중요하게 다룬 이 연구에서 저자는 기 드보르를 언급하지는 않았다.)
  16. 자료검색일 2008.12.2, 자료출처 http://en.wikipedia.org/wiki/derive
  17. Foster, Hal 외. 앞의 책, p. 394
  18. 여기에서 '상황'은 “단일한 환경과 각종 사건들을 집단적으로 조직함으로써 구체적이고 의도적으로 구축된 삶의 한 계기”를 뜻한다. 그것은 스펙터클의 사회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욕구가 아니라 사랑과 창조, 사고와 행동, 이론화와 실천활동이라는 다양하고 개별적인 여러 욕망의 순간이 적극적으로 발현되고 자유롭게 전개되게끔 시공간을 조직화하는 것이며, 스펙터클의 사회에 포획되어 상품화되지 않도록 독자적으로 구축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득재. 앞의 책, p. 246
  19. 상품을 사서 사용하는 대신 사물과 공간을 직접 만들어 가는 것으로서 단순히 손으로 무엇을 만든다기 보다는 '소비사회와 그 생활에 대항하는 집단성'을 가리키는 말. 위의 책, p. 238
  20. 캠핑을 하면서 다양한 축제를 벌이거나 자유시장을 조직해 나가는 히피, 뉴 에이지 여행자, 경찰과 법망을 피해 무허가 레이브 파티를 교외에서 벌이는 레이버들, 빈집이나 창고를 불법 점거해 생 활 공간과 커뮤니티를 만들어가는 스쿠터, 전선에서 전기를 도둑질해 길거리에서 사운드시스템을 만드는 힙합들. 위의 책, p. 238
  21. Marshall, Peter. 앞의 책, pp. 191-192
  22. 마네킹(mannequin)은 인체 모형 외에도 고객을 위해 옷을 입는 패션모델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20세기초 영국의 패션하우스에서는 상품으로서의 옷을 모델(model)로, 살아있는 패션모델을 마네킹으로 구분해서 불렀다. 소설가 Edith Saunders는 1865년에 이미 옷이 아닌 살아있는 여자를 모델 이라고 칭했으며, 디자이너 루실 또한 20세기초에 마네킹들을 모델이라 부르며 옷과 사람을 동시에 상품화하려는 모호성을 일으켰다. Evans, Caroline (2001). The Enchanted Spectacle. Fashion Theory, 5(3), p. 277. p. 307. 본고에서는 20세기초 패션쇼 기원의 탐구에서는 당시에 많이 사용되었던 '마네킹'을, 20세기후반의 현대패션에서는 '모델'을 사용하고자 한다
  23. Ibid.. p. 273
  24. Quick, Harriet (1997). Catwalking: A history of the fashion model. Edison, Edison, NJ: Wellfleet Press, pp. 22-24
  25. Evans, Caroline (2001). op. cit.. pp. 274-275
  26. 탄생에서 죽음에 이르는 상류사회여성의 의복사이클을 일곱단계로 나누어 묘사한 The seven ages of woman (1909). 패션퍼레이드에서는 'the desire of the eyes', 'persuasive delight', 'visible harmony' 등 의상의 이름과 등장순서 또한 스토리에 의한 언외의 의미(subtext)로 구성되었다. Ibid.. p. 275
  27. Ibid.. p. 277
  28. Quick, Harriet. op. cit.. p. 26
  29. Evans, Caroline (2001). op. cit.. pp. 277-280
  30. Duggan, Ginger Gregg (2001). The Greatest Show on Earth: A Look at Contemporary Fashion Shows and Their Relationship to Performance Art. Fashion Theory, 5(3), p. 245
  31. Evans, Caroline (2003). Fashion at the edge: spectacle, modernity and deathlines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pp. 71-73
  32. Duggan, Ginger Gregg. op. cit.. p. 246
  33. Evans, Caroline (2003). op. cit.. p. 68
  34. Ibid.. p. 68, p. 74
  35. Debord, Guy. 앞의 책, p. 10, p. 13
  36. Evans, Caroline (1999). Masks, Mirrors and Mannequins: Elsa Schiaparelli and the Decentered Subject. Fashion Theory, 3(1), p. 11
  37. Duggan, Ginger Gregg. op. cit.. p. 247
  38. Evans, Caroline (2003). op. cit.. pp. 120-127, p. 145
  39. Quinn, Bradley (2003). The Fashion of Architecture. Oxford: Berg, p. 8
  40. Duggan, Ginger Gregg. op. cit.. p. 248
  41. Evans, Caroline (2003). op. cit.. p. 67
  42. Evans, Caroline (1999). op. cit.. p. 27
  43. Duggan, Ginger Gregg. op. cit.. pp. 248-249
  44. Evans, Caroline (2003). op. cit.. p. 85
  45. McRobbie, Angela (1998). British Fashion Design: Rag Trade or Image Industry? London: Routledge, p. 169
  46. Evans, Caroline (2003). op. cit.. p. 68
  47. Debord, Guy. op. cit.. p. 189
  48. Evans, Caroline (2003). op. cit.. p. 79
  49. Ibid.. p. 67
  50. Quinn, Bradley. op. cit.. p. 10
  51. Borden, Iain. (2000). Fashioning the city: Architectural Tactics and Identity Statements. Architectural design: Fashion and Architecture, 70(6), p. 16
  52. Steiner, Dietmar M. (2000). Promotional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sign: Fashion and Architecture, 70(6), p. 21
  53. Ibid.. p. 21
  54. Quinn, Bradley. op. cit.. pp. 47-50
  55. Ibid.. p. 69
  56. Parmall, Pamela A. (2006). Fashion Show: Paris Style. Hamburg: Gingko Press, p. 165
  57. Ibid.. p. 161
  58. Street editorial office(1999). Maison Martin Margiela: Street Special Edition, 2. Tokyo: Street Magazine, 페이지 표기 없음
  59. Parmall, Pamela A. op. cit.. pp. 119-122
  60. Evans, Caroline (2003). op. cit.. p. 85
  61. Glenn, Joshua. op. cit.. pp. 188-189
  62. 자료검색일 2008.4.22, 자료출처 http://www.blog.naver.com/al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