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ion of Body in Contemporary Fashion Illustrations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몸 표현에 관한 연구

  • 박은경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ressional traits and meanings of body images in contemporary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postmodern body theories and body images in postmodern art. For achieving the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related research works and undertook a demonstrative analysis of fashion illustr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postmodern body theories not only opposed, deconstructed the traditional concepts and norms of body, but also revealed the suppressed facts of it. Also they composed the new concepts of body. The expressional traits of body images in postmodern art and contemporary fashion illustration were categorized as realistically presented body, distorted/deformed body, fragmented body, abject body, post-gendered body and absent body. Through these traits, the meanings of defiance to authority, revelation of reality, new creation were expressed. In conclusion, the various body images in contemporary fashion illustration reflect open concepts for human beings and give new aesthetic experiences.

Keywords

References

  1. Trebitsch, B. (2005). foreword. Dawber, M. (2005). new fashion illustration(1st ed.). London : BT Batsford, p. 5
  2. Dawber, M. (2007). The Big Book of Fashion Illustration(1st ed). London: Batsford, london, p. 8.
  3. Michaud, Y. (1999). 몸의 이미지: 오늘날의 영혼에 대한 질문. 한림미술관 . 이대 기호학연구소(엮음), 몸과 미술(1판).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19-41
  4. 김홍희 (1998). 페미니즘.비디오.미술(1판). 서울: 재원, pp. 305-335
  5. 김순자 (2007). 후기구조주의적 신체론에 의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서의 신체표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7), pp. 1052-1063
  6. 성광숙 (2004). 90년대 이후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4(1), pp. 109-123
  7. 김수경 (2000).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인체 변천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20(1), pp. 95-117. 김순자의 연구는 후기구조주의 이론에만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성광숙의 연구는 포스트모던 패션 및 패션트렌드와 연계하였으나, 인체 표현에 관한 고찰은 다른 분석과 혼재되어 일 부 다루어졌다. 김수경의 연구는 60년대까지의 예술사조와 만 관련지었고,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작품 분석도 주로 1980년대에 한정되었다
  8. 김원방(2004). 사이보그적 생태, 사이보그적 예술. 피종호(엮음), 몸의 위기(초판). 서울: 까치글방, p.167
  9. 이정우 (1993). 미셀 푸코에 있어 신체와 권력. 문화과학, 4, p. 96
  10. 김순자. 앞의 책, p. 1053
  11. Shilling, C. (1993). The Body and Social Theory. 임인숙 역 (1999). 몸의 사회학(초판). 파주: 나남출판, p. 120
  12. 김순자. 앞의 책, p. 1053
  13. 피종호 (2004). 후기구조주의의 '몸'과 재현의 위기. 피종호(엮음). 위의 책, pp. 96-97
  14. 이정우. 앞의 책, p. 109, p. 112
  15. 피종호. 앞의 책, p. 98
  16. 최광진 (2004). 현대미술의 전략(1판). 파주: (주)아트북스, p. 220
  17. 피종호. 앞의 책, p. 99
  18. Baudrillard, J. (1970). La Societe de Consommation. 이상률 역 (1991). 소비의 사회(초판). 서울: 문예출판사, p. 190
  19. Shilling, C. 앞의 책, p. 186, p. 215
  20. Shilling, C. 위의 책, pp. 56-60
  21. 최광진. 앞의 책, pp. 244-245
  22. Doss, E. (2002). Twentieth-Century American Art (1st ed.).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ity Press, p. 230
  23. 차은진 (2002). 애브젝트로 표현된 의상. 복식, 52(1), pp. 21-22
  24. 이재복 (2004). 몸 혹은 욕망과 해체의 언어. 피종호(엮음), 앞의 책, p. 289.
  25. 윤영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잔혹성 이미지. 복식, 54(1), p. 90
  26. Haraway, D. (1991). Simians, Cyborgs and Women: The Reinvention of Nature(1st ed.). New York: Routledge, pp. 149-181
  27. 임옥희 (2004). 경계 위반으로서 떠도는 여성의 몸. 피종호(엮음). 위의 책, pp. 145-149
  28. 김홍희 (1998). 앞의 책, p. 22
  29. 류기주 (1992). 인체에 대한 미의식에 따른 복식형태. 한국의류학회지, 16(4), pp. 361-363
  30. Mirzoeff, N. (1995). Bodyscape(1t ed.). London New York: Routledge, p. 3
  31. 김지혜 (2001). 현대미술에 나타난 신체 표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6
  32. 양민희 (2004). 바디아트에 있어서 신체성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3
  33. 김수경 (2000). 앞의 책, pp. 99-100
  34. Michaud, Y. (1999). 앞의 책, pp. 23-24
  35. Doss (2002). op. cit.. p. 125
  36. Ibid.. p. 173
  37. Ibid.. pp. 182-185
  38. Michaud, Y. (1999). 앞의 책, p. 31
  39.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자료 검색일 2008.11.1. 자료출처 http://100.naver.com/100.nhn?docid=841797
  40. 보드리야르는 포스트모던 사회의 이미지는 실재와 어떤 관계도 맺지 않으며 순수한 자기 모사, 즉 시뮬라크르라고 주장하였다. 그가 말한 시뮬라크르는 실제로는 존재 하지 않는 대상을 존재하는 것처럼 만들어놓은 인공물, 원본 없는 이미지이다. 이 원본 없는 이미지는 그 자체로서 현실을 대신하고, 현실은 시뮬라크르에 의해 지배 받게 된다. 시뮬라크르의 동사적 의미는 시뮬라시옹으로, 전통 적인 실재와는 다른 파생실재(hyperreel)를 창출한다. Baudrillard, J. (1981). simulacres et Simulation. 하태환 역 (2001). 시뮬라시옹(1판). 서울: 민음사, pp. 9-90
  41. Hopkins, D. (2000). op. cit.. p. 224
  42. Doss, E. (2002). op. cit.. p. 230
  43. Bryson, N. (1999). 한림미술관.이대 기호학연구소(엮음). 앞의 책, p. 85
  44. Hopkins, D. (2000). op. cit.. p. 244
  45. Stelarc, 자료 검색일 2008.11.15, 자료출처 http://en.wikipedia.org/wiki/Stelarc
  46. Doss, E. (2002). op. cit.. pp. 239-241
  47. Doss, E. (2002). Ibid.. p. 242
  48. Warr, T.. & Jones, A. (2000). The Artist's body(1st ed.). New York: Phaidon Press Inc.. p. 176
  49. Michaud, Y. (1999). 앞의 책, pp. 19-41
  50. Warr, T.. & Jones, A. (2000). op. cit.. pp. 18-189. 원래 분류에는 painting body/gesturing body/ritualistic body가 포함됐으나, 이는 몸의 이미지가 아니라 행위를 작품으로 한 40-70년대 바디 아트임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였다
  51. Hopkins, D. (2000). op. cit.. pp. 196-245
  52. 양민희 (2004). 앞의 책, pp. 1-35
  53. 김홍희 (1998). 앞의 책, pp. 10-344
  54. Michaud, Y. (1999). 앞의 책, pp. 30-31
  55. 김지혜 (2001). 앞의 책, p. 49
  56. 임옥희 (2004). 앞의 책, pp. 145-149
  57. Warr, T.. & Jones, A. (2000). op. cit.. p. 31, p. 162
  58. 진중권 (2004). 미학 오디세이 3(초판). 서울: 휴머니스트, pp.118- 119. 진중권은 존재자와 존재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예로 꽃의 모양이나 색깔을 보는 것은 그 꽃을 존재자로 대하는 것이다. 꽃의 존재함에 전율을 느끼는 것은 꽃의 존재를 체험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쉬운 이해를 위해 이 존재자를 존재의 형상으로 대체 하였다
  59. 임은혁 (2007). 현대 패션에 표현된 파편화. 복식. 57(6), p. 147
  60. Borreli, L. (2004). Fashion illustration next (1st ed.). San Francisco: Chronicle Books LLC, p. 28
  61. Ibid.. p. 27
  62. Ibid.. p. 82
  63. Ibid.. p. 82
  64. Borrelli, L. (2000). Fashion Illustration Now(1st ed.). London: Thames & Hudson Ltd, p. 146
  65. Ibid.. p. 146
  66. Dawber, M. (2007). op. cit.. p. 249
  67. Borrelli, L. (2004). op. cit.. pp. 32-33
  68. Dawber, M. (2004), Imagemakers(1st ed.). London: Mitchell Beazley, p. 165
  69. Ibid.. p. 164
  70. Ibid.. p. 171
  71. Dawber, M. (2005). op. cit.. p. 31
  72. Borrelli, L. (2004). op. cit.. p. 110
  73. Ibid.. p. 98
  74. Ibid.. p. 100
  75. Ibid.. p. 155
  76. Borrelli, L. (2000). op. cit.. p. 31
  77. Warr. T.. & Jones, A. (2000). op. cit.. p. 31, p. 161
  78. Dawber, M. (2007). op. cit.. p.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