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위기에 있는 결혼 초기 부부에 대한 부부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Marital Therapy for Newly Wedded Couple in Divorce Crisis

  • 박태영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태한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혜선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발행 : 2009.06.30

초록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spousal confli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 of family in couple, the intervention techniques of the family therapist, and the processes of change in couple through family therapy. The total family counseling was 9 sessions, which included individual and couple therapy. The study used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by using open coding method to find the factors. The study suggested the whole model for the study, which could be shown the processes of family therapy in this case study, by using graphical network display.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usband and wif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 of family in couple, the intervention techniques of the family therapist, and the processes of change in husband through family therapy by using matrix.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to cause spousal conflicts and characteriscts in family of origin to influence the crisis of divorce.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to treat the couples in the crisis of divorce were facilita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husband's differentiation of self from family of origin, and understanding about the perspectives of family members. As results of therapeutic intervention, there were showed the spousal change of recognition to each other, husband's differentiation of self, wife's growth of self, and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정란, 이인수(2006).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기분화에 따른 부부적응.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35-56
  2. 김경자(2004). 기혼 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아분화가 가족체계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박사학위논문
  3. 김정진, 임은희, 권진숙(2007),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경기: 서현사
  4. 김현정, 김명자(1999). 근원가족 건강도, 자아존중감, 결혼적응의 관계-청주시 결혼 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39-60
  5. 김혜선(1992). 결혼선택과정과 결혼적응정도 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6. 김희진(2005). 결혼초기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긍정주의 심리치료 접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877-906
  7. 박태영(2002). MRI의 상호작용적 가족치료모델과 가족체계 이론을 적용한 포르노 중독자의 부부치료.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3, 158-193
  8. 박태영(2001). 가족치료이론의 적용과 실천. 서울: 학지사
  9. 박태영(2003).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10. 방현주, 이기숙(2002).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을 통한 결혼초기 부부의 의사소통 능력 증진에 관한 연구: 유아기 가족의 부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1), 39-54
  11. 서연석(1999). 자아분화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2. 오윤자(1992).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부부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2), 209-229
  13. 유계숙, 장보현, 한지숙(2006). 이혼 전후 가족상담 운영모형 및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2), 59-96
  14. 유계숙, 최성일(2005). 이혼숙려부부들을 위한 상담프로그램 모형개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2), 57-92
  15. 유영주, 강학중, 김밀양, 김순기, 김연, 박정희, 배선희, 손정영, 안재희, 양순미, 오윤자, 이인수, 이정연, 이창숙, 전영자, 최희진, 홍성례, 홍숙자(2007). 새로운 가족학. 서울: 신정
  16. 이경희(1997).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유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17. 이선미, 전귀연(2001). 결혼초기 남편과 아내의 부부갈등과 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203-220
  18. 이영자, 장영애(2002). 결혼초기 주부가 지각한 부부갈등정도와 갈등관리방법 및 갈등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7(1), 79-93
  19. 이창숙, 유영주(1998). 부부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Baucom과 Epstein의 인지행동적 모델에 기초하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 46-71
  20. 임승락, 권정혜(1998). 부부간 의사소통행동과 결혼만족-성차, 요구 입장 차이 및 성격특성의 영향. 한국심리학회 '98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109-123
  21. 전연진(2002). 삼세대 가족관계, 부부갈등,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행동, 행동문제. 연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2. 전영주, 이성희(2006). 협의이혼 청구자의 원가족 경험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91-203
  23. 전춘애, 박성연(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2(4), 117-133
  24. 정현숙, 유계숙(2003). 가족관계. 서울: 신정
  25. 조성경, 최연실(2006). 결혼초기 기혼남녀의 원가족 특성과 갈등 및 상담요구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7-19
  26. 천혜정, 김양호(2007). 기혼자와 이혼자의 결혼 및 이혼과정 차이. 한국가족복지학, 12(3), 5-23
  27. 최정숙(2008). 결혼초기부부의 가족레질리언스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3, 103-152
  28. 통계청 (2008). 2007년 이혼통계 결과. http://www.nso.go.kr
  29. Beckerman N. L., & Shepherd L.(2002). Couple therapy: Identification of conflict areas. Family Therapy, 29(2), 77-87
  30. Carrere, S., & Gottman, J. M.(1999). Predicting divorce among newlyweds from the first three minutes of a marital conflict discussion. Family Process, 38(3), 293-301 https://doi.org/10.1111/j.1545-5300.1999.00293.x
  31. Carter, B., & McGoldrick, M.(1989). The changing family life cycle-a frame work for family therapy(2nd ed.). Boston, MA : Allyn and Bacon
  32. Colapinto., J.(1991). Structural family therapy. In A. S. Gurman & D. P. Kniskern(Eds.). Handbook of family therapy(2), N.Y.: Brunner/Maze
  33. Friedman, E. H.(1991). Bowen Theory and Therapy(pp. 134-170). In A. S. Gurman & D. P. Kniskern(Eds.), Handbook of Family Therapy, N.Y.: Brunner/Mazel
  34. Goldenberg, I., & Goldenberg, H.(2001). Family therapy: An overview. Pacific Grove, CA: Brooks/Cole
  35. Guerin, P. J., Fay, L. F., Burden, S. L., & Kautto. J. G.(1987).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marital conflict: A four stage approach. New York: Basic books
  36. Harvey, D. M., & Bray, J. H.(1991). Evaluation of an intergenerational theory of personal development: family process determinants of psychological and health distress. Current issue feed.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4(3), 298-325 https://doi.org/10.1037/0893-3200.4.3.298
  37. Kerr, M. E., & Bowen, M.(1988). Family Evaluation. N.Y.: Norton
  38. Lawson, D. M.(1999). Integrated Intergenerational Family Therapy( 27-50). In. D. M. Lawson & F. F. Prevatt(Eds.), Casebook in family therapy N.Y.: Brooks/Cole
  39. Miles, M. B., & Huberman A. M.(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Thousand Oaks, CA: Sage
  40. Minuchin, S.(1974). Families and Family therap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1. Nichols, M. P., & Schwartz, R. C.(2002). The essentials of family therapy. Boston, MA: Allyn and Bacon
  42. Olson, D. H., & Hawley, D. R.(1992). Self-Training Counseler's Manual. PREPARE/INRICH Inc
  43. Papero, D. V.(1995). Bowen's family systems and Marriage. In. N. S. Jacobson & A. S. Gurman(Eds.). Clinic handbook of couple therapy. N.Y.: Guilford Press
  44. Patton, M. Q.(2002).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Thousand Oak: Sage
  45. Shoham, V., Rohrbaugh, M., & Patterson, J.(1995). Problemand solutions-focused couple therapies: The MRI and Milwaukee models. In N. S. Jacobson., & A. S. Gurman(Eds.). Clinical handbook of couple therapy(pp.142-163). N.Y.: The Guilford Press
  46. Watzlawick, P., Weakland, J., & Fisch, R.(1974). Change: Problems formation and problem resolution. N.Y.: Norto
  47. Weakland, J. H.(1993). Conversation-but what kind? In S. Gilligan., & R. Price(Eds.). Therapeutic conversation (pp. 136-145). N.Y.: Norton
  48. Werner, O., & Schoepfle, G. M.(1987). Systematic fieldwork. 2 Vol. Beverly. Hill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