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Urban Growth Pattern and Characteristics by Administrative District Hierarchy : 1985~2005

행정구역 위계별 도시성장 패턴 및 특성 분석 : 1985~2005를 중심으로

  • Park, So-Young (Dept. of Geoinformatic Eng., Pukyung National University) ;
  • Jeon, Sung-Woo (Dept. of Korea Adaptation Center for Climate Chang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 Choi, Chul-Uong (Dept. of Geoinformatic Eng., Pukyung National University)
  • 박소영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위성정보과학과) ;
  • 전성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최철웅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위성정보과학과)
  • Received : 2009.10.08
  • Accepted : 2009.12.05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Rapid urbanization is causing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damage, development thoughtless for the environment, and social and economical issues. It is important to grasp urban growth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reflect them, and establish a policy for the solution of issues pursuant to urbanization and the sustainable and efficient development of national land. This research aims to be used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an urban policy by analyzing the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growth for the past 20 years in our entire country rather than an existing district. For this, some urban districts were sampled using a 1980s and 2000s version of land cover map produc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n pattern analysis for urban growth by administrative district ranks was conducted using GIS and a statistical technique. As a result, the development zone area after 1980s has increased by 2.5 times as compared to that before 1980s, and especially in the farm villages neighboring the national capital region, it has increased by 21.2 times. Special cities and metropolitan cities were developed at the districts being low in altitude, close to the principal road and the major downtown, high in road ratio, and restricted environmentally, ecologically and legally, and were diverted from mountains, forests and grassland to urban land. On the other hand, farm villages neighboring a large city, farm villages neighboring the national capital region, and local farm villages were developed at the districts being high in altitude, far from the principal road and the major downtown, low in road ratio, and not restricted environmentally, ecologically and legally, and were diverted from farmland to urban land. That is, it can be seen that urban development has been actively realized despite the unfavorable topographical conditions in the suburban districts due to lack of available land and various regulations and policies as urban growth around big cities expands.

급속한 도시화는 환경 생태적 훼손과 난개발, 사회 경제적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도시화에 따른 문제 해결과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국토개발을 위해서는 도시성장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지역단위가 아닌 우리나라 전체를 대상으로 도시성장에 대한 지난 20년간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여 도시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환경부에서 제작한 1980년대, 2000년대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도시지역을 추출한 후 GIS와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행정구역 위계별 도시성장 패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980년대 이후 개발지역 면적이 1980년대 이전 대비 2.5배 확대되었으며 특히, 수도권인근농촌은 21.2배가 증가하였다. 특별시와 광역시는 고도가 낮고, 간선도로와 주요 도심과 가깝고, 도로율이 높고, 환경 생태적 및 법제적 제한이 있는 지역에 개발되었으며, 산림과 초지에서 도시적 토지로 전용되었다. 반면, 대도시인근농촌, 수도권인근농촌, 지방농촌은 고도가 높고, 간선도로와 주요 도심과 멀고, 도로율이 낮으며, 환경 생태적 및 법제적 제한이 없는 지역에 개발되었으며, 농지에서 도시적 토지로 전용되었다. 즉,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도시성장이 팽창함에 따라 가용토지의 부족 및 각종 규제와 정책으로 도시 외곽지역에서 불리한 지형적 조건에도 불구하고 도시개발이 활발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기, 권일, 김태현. 1997. GIS를 이용한 도시토지이용의 입지특성 및 변화 파악 방법 : 강남 신시가지를 대상으로. 한국GIS학회 5(1):27-41.
  2. 강영옥, 박수홍. 2000. 서울대도시지역 도시성장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5(4):621-639.
  3. 김재익, 황국웅, 여창환, 정현욱. 2007. 도시성장모형의 개발과 활용 : 통합적 접근방법. 국토계획 42(2):31-48.
  4. 김흥태, 김상수, 안상현. 2009. 대전광역시 도시성장 패턴과 공간구조 변화 측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7(3):41-48.
  5. 박선형, 김재익. 2007. 대도시 주변 신개발지의 개발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2):35-45.
  6. 박호명, 백태경. 2009.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부산광역시 도시화지역의 확산과정과 토지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23-33.
  7. 사공호상, 김태진. 2004. 수도권 도시광역화 요인의 변화 연구. 국토 278:98-108.
  8. 여옥경, 안건혁. 2006. 신시가지 성장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1(7):37-50.
  9. 윤정미, 이성호. 2006.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도시 성장 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1):116-126.
  10. 이희연. 2008.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기성시가지의 개발용량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1):1-18.
  11. 이희연, 심재헌. 2006. 도시성장에 따른 공간구조변화 측정에 관한 연구 : 용인시를 사례로 하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2):15-29.
  12. 전성우, 이명진, 송원경, 성현찬, 박욱. 2008.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평가항목 구성의 적정성 검토.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1):1-13.
  13. 정재준, 김형태. 2008. 개발가능지 추출을 위한 물리적 측면의 도시성장 예측. 지리학연구 42(3):457-470.
  14. 환경부. 2002. 토지피복지도 제작지침안. 16-24쪽.
  15. 환경부. 2005a.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지 피복지도 구축완료보고서. 24-48쪽.
  16. 환경부. 2005b. 남부권지역 국토환경성평가지도제작. 1-13쪽.
  17. 환경부. 2006.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지도 구축. 31-61쪽.
  18. Allen J. and K. Lu. 2003. Modeling and prediction of future urban growth in the charleston region of south carolina : a GIS-based Integrated Approach. Conservation Ecology 8(2):1-17.
  19. Fan F., Q. Weng, Y. Wang. 2007.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in Guanzhou. China. from 1998 to 2003 : Based on Landsat Tm/ETM+ imagery. Sensors 7:1323-1342. https://doi.org/10.3390/s7071323
  20. Hu Z. and C. P. Lo. 2007. Modeling urban growth in Atlanta using logistic regression.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31(6):667-688 https://doi.org/10.1016/j.compenvurbsys.2006.11.001
  21. Li X. and A. G. O Yeh. 2004. Analyzing spatial restructuring of land use patterns in a fast growing region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9(4):335-354.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10.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