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icroclimate Change Via Time Series Analysis of Satellite Images -Centered on Dalseo District, Daegu City-

위성영상의 시계열 분석을 통한 미기후변화 분석 -대구시 달서구를 대상으로-

  • Baek, Sang-Hun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Keimyung University) ;
  • Jung, Eung-Ho (Daegu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Center)
  • 백상훈 (계명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과) ;
  • 정응호 (계명대학교 환경대학 환경계획학과)
  • Received : 2009.04.01
  • Accepted : 2009.06.12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ways of reducing an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via an introduction of wind corridors, I conducted this study to see what influence a change in land cover arising of or going through urbanization has on wind corridors of urban space. As a target place, I chose Daegu city where is a representative extreme heat place in Korea and has been also largely expanded in size by incorporating its neighboring areas since the 1980s, expecially Dalseo District whose surface temperature gap is large. The population of Dalseo District has been sharply increased since its creation as a new administrative district in 1988. I studied on the urban microclimate change for a 20-year period by using satellite images on summer months in 1987, 1997 and 2007 in time frames. The finding of this study found that a reduction of natural land cover and an increase of artificial land cover serves as a disadvantageous factor for cold air creation and flowing and strikingly lowers the amount and height of cold air in the downtown area. It seemed that the cold air creation and flowing functions are influenced by land cover. In order to steadily create cold air and secure its flowing, it is thought that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implemented by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surrounding the city. By doing so, a pleasant and healthy city could be formed.

바람길 도입을 통한 도시열섬현상의 저감 방안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과정을 거치면서 발생하는 토지피복의 변화가 도시공간의 찬공기 생성 및 유동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지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극서(劇暑)도시이며 1980년대 이후 주변 지역을 편입하여 도시가 확장된 대구시 내에서도 특히 지표온도의 변화가 크고 1988년 신설되어 급격한 인구 증가가 이루어졌던 달서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시간적 범위로는 1987년, 1997년, 2007년의 여름철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20년간의 도시미기후 변화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자연 토지피복의 감소와 인공 토지피복의 증가는 찬공기 생성 및 유동에 불리하여 도심지에서의 찬공기의 양과 높이가 현저히 낮아졌다. 이는 찬공기 생성 및 유동기능이 토지피복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였다. 지속적인 찬공기 생성 및 유동의 확보를 위해서는 도시를 둘러싼 주변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도시개발이나 도시재생을 실시해야 하며, 이를 통해 쾌적하고 건강한 도시조성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지원, 정응호, 김대욱, 차재규, 손경수. 2008. KLAM_21을 활용한 바람생성기능 평가분석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2):85-92.
  2. 박경훈, 정성관. 1999. 광역적 녹지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열섬효과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2(3):35-45.
  3. 정응호, 김대욱, 류지원, 차재규, 손경수. 2008. 위성자료를 활용한 대구지역 바람길생성의 공간적 특성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2):73-84.
  4. 조명희, 이광재, 김운수. 2001. 원격탐사자료와 GIS를 활용한 도시 표면온도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4(1):57-66.
  5. 곽은주. 2004.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심지확장 및 온도 변화탐지.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3-4쪽.
  6. 차재규. 2006.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녹지 네트워크 구축: 대구광역시 중구, 남구를 대상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32쪽.
  7. 정응호. 2007. 대구시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 길권역설정 및 평가. 대구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연구보고서. 22-81쪽.
  8. 정응호. 2008. 대구시 신천주변 바람유동의 공간적 특성 분석. 대구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연구보고서. 29-91쪽.
  9. 김인, 박수진. 2006. 도시해석(416-426쪽). 푸른길.
  10. 대구경북개발연구원. 1997. 달서발전기본계획. 17-103쪽.
  11. 송영배. 2007. 바람통로 계획과 설계 방법 : 건강도시를 위한 기후환경계획(18-24쪽). 그린토마토.
  12. 이광호. 2004. 인간과 기후환경(149-161쪽). 시그마프레스.
  13. Christian-Dietrich Schönwiese. 2006. 기후학(436-456쪽). 시그마프레스.
  14. John Reader. 2006. 도시, 인류 최후의 고향(13-25쪽). 지호출판사.
  15. Innenministerium des Landes Baden - Württemberg. 2004. Städtebauliche Klimafibel - Hinwise fur die Bauleitplanung, Stuttgart. pp.36-45.
  16. Landeshauptstadt Stuttgart. 1996. Kaltkuftund Windfeld-Berechnung für den Raum Stuttgart im Zusammenhanf mit der Planung fur das Projekt "STUTTGART 21" Heft1, Stuttgart. pp.20-36
  17. Marks, R. Muller, M.(Hrsg.). 1992. Anleitung zur Bewertung des leistungsvermogens des Landschaftshauhaltes(BALVL), Forschungen zur deutschen Landeskunde Bd. 229. Trier. pp.103-107.
  18. Uwe Sievers. 2005. Das Kaltluftabflussmodell KLAM 21. Berichte des Deutschen Wetterdienstes 227. Offenbach am Main. pp.2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