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urvey of Disappeared Villages in The Demilitarized Zone

DMZ 내 사라진 마을의 공간적 분포와 특성

  • Kim, Chang-Hwa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9.01.26
  • Accepted : 2009.03.25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villages before modern public works in the Demilitarized Zone(DMZ) by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There were total 427 villages within the DMZ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administrative region, whereas there were 183 villages in Gangwon Province which had a share of 43% of the total, there were 244 villages in Gyeonggi Province which had that of 57%. Subsequently, Gyeonggi Province had a higher share than Gangwon Province, even though its area was smaller than Gangwon Province's one. In terms of the pattern of villages, there was a pattern of the dispersed settlement focused upon the area of the Taebaek mountains. In addition, there were a pattern of the dike settlement by a traffic route and river as well as that of agglomerated settlement in other area. There was a pattern of compact settlement in a plain. This research can be contributed (1) to be used a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solve a conflict between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which may occur in the future, and (2) to be applied to develop contents for the DMZ's competitiveness.

이 연구는 근대적인 토목공사가 진행되기 이전에 현재의 DMZ 내에 존재하던 마을의 공간적 분포와 특성을 GI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DMZ 지역에서는 총 427개의 마을이 조사되었다. 행정구역별로 살펴보면 강원도가 183개(43%), 경기도가 244개(57%)로 경기도 지역은 DMZ 면적에 비하여 마을의 수가 많았다. 마을의 평균 가옥 수는 11동으로 그 규모는 매우 작았다. 마을의 형태에 의한 분류에서는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한 산간지역에서 산촌의 형태가 나타났다. 그리고 집촌의 형태를 보이는 그 외 지역에서는 교통로와 하천을 따라 열촌의 형태가 나타났고, 평지에서는 괴촌의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 결과는 DMZ 내에서 절대적인 보전이 필요한 구역과 교통로 등으로 개발해야 하는 구역의 선정 등 향 후 DMZ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전과 개발의 상충된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DMZ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귀곤. 2000. 자연보전 차원에서 본 비무장지대; 습지생태계 보전 및 관리를 중심으로. 비무장 지대의 합리적 보전 및 관리에 관한 심포지움.
  2. 김상욱. 2006. TVI-거리함수를 이용한 서부 DMZ 및 민통지역의 생태적 보전폭원 조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95-104.
  3. 김선희. 2008. 오만분지 일 지형도에 나타난 20세기 초 한반도의 지명분포와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3(1):87-103.
  4. 김영봉. 2006. 남북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접경지역의 역할과 전망. 국토 292:35-47.
  5. 김영봉. 김홍배. 2007. 북한강유역의 남북한 공동 이용을 위한 협력사업 추진방안. 통일정책연구 16(1):235-257.
  6. 김창환. 2007. DMZ의 공간적 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4):454-460.
  7. 박태화. 1996. 교양인문지리학. 교학연구사. 69-97쪽.
  8. 배선학. 2007. 1910년대 지형도를 이용한 근대화 이후의 도시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3):93-103.
  9. 서종철, 박경. 2003. 원격탐사자료를 활용한 접경 지역 지형조사:강원도 고성군 송현리 일대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3):385-394.
  10. 손기웅, 2006. 비무장지대 관리.활용을 위한 남북협력. 북한학연구 2(2):73-98.
  11. 오홍석. 1980. 취락지리학. 교학사 17-20.
  12. 오윤근. 2007. 동해선 민통선 및 DMZ 지역의 하천현황. 하천과 문화 3(3):75-79.
  13. 이병길. 2008. 점사상 밀도 분석을 위한 L-지표의 적용. 한국GIS학회지 16(2) 237-247.
  14. 이혜은. 2006. DMZ의 '세계유산'적 가치(상). 2000年281:16-21.
  15. 임채환. 2006. 비무장지대 생태계조사 현황과 정책방향. 북한학연구 2(2):117-126.
  16. 정종기, 최락인. 2007. 한국의 DMZ(비무장지대)의 발전적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18:305-318.
  17. 황영수. 2007. 국토균형발전 차원에서의 접경지역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강원도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자치행정연구 49:64-73.
  18. 조선총독부. 1914-1918. 근세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DMZ 일대). 경인문화사(영인본).
  19. 구글 어스(http://earth.google.com).
  20.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시스템(http://www.atlaskore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