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rthographic Influence in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Intervocalic Consonants: A Pilot Study

영어 모음사이 자음의 인지와 발화에서 철자의 영향: 파일럿 연구

  • 초미희 (경기대학교 영어영문학부) ;
  • 정주연 (경기대학교 영어영문학부)
  • Received : 2009.07.15
  • Accepted : 2009.09.30
  • Published : 2009.12.28

Abstract

While Korean allows the same consonants at the coda of the preceding syllable and at the onset of the following syllable, English does not allow the geminate consonants in the same intervocalic position. Due to this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Korean learners of English tend to incorrectly produce geminate consonants for English geminate graphemes as in $su\underline{mm}er$. Based on this observation, a pilo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Korean learners of English perceive and produce English doubleton graphemes and singleton graphemes. Twenty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perform a forced-choice perception test as well as a production test for the 36 real word stimuli which consist of (near) minimal pairs of singleton and doubleton graphem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accuracy rates for the words with singleton graphemes were higher than those for the words with doubleton graphemes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because the subjects misperceived and misproduced the doubleton graphemes as geminates due to orthographic influence. In addition, the low error rates of the word with voiced stops were accounted for by Korean language transfer. Further, spectrographic analyses were provided where more production errors were witnessed in doubleton grapheme words than singleton grapheme words. Finally,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한국어에서는 모음사이에서 겹자음이 나타날 수 있으나 영어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므로 영어를 배우는 한국 학생들이 $su\underline{mm}er$와 같이 겹자음 철자를 포함하는 단어들을 발음할 때 철자의 겹자음을 모두 발음하는 오류를 흔히 범한다. 따라서 본 파일럿 연구에서는 한국 학생들이 영어 겹자음 철자를 어떻게 발음하고 인지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영어 겹자음과 단자음의 (유사) 최소변별쌍으로 구성된 36개의 실제어를 20명의 대학생이 듣고 발음하는 인지와 발화 실험을 실행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 학생들은 철자의 영향으로 영어 단자음 철자 단어를 발음할 때보다 겹자음 철자 단어를 발음할 때 이중으로 길게 발음하는 오류를 더 흔히 범해서 겹자음 철자 단어의 정확율보다 단자음의 정확율이 크게 높았으며, 인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단자음 철자 단어의 인지 정확율이 겹자음 철자보다 확연하게 높았다. 덧붙여, 한국 학생들의 영어 유성 파열음의 발화 오류율이 낮은 이유를 한국어 음운 체계의 전이로 설명하였다. 끝으로, 한국학생들의 발화를 스펙트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함으로써 영어 단자음 철자보다는 겹자음 철자에서 더 많은 발화오류를 일으키는 것도 보여주었고 또한 교육적인 함축점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옥미,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2003.
  2. M. Hammond, The Phonology of Englis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3. O. Japersen, Modern English Grammar on Historical Principles, New York: Routledge, 1948.
  4. P. Ladefoged, A Course in Phonetics (5th edition), Boston: Thomson, 2006.
  5. R. Lado, Linguistics across Cultures,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57.
  6. M. C. Pennington, Phonology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1996.
  7. T. Pyles and J. Algeo,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English Language (4th edition), Boston: Thomson,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