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등 수준노선에서 GPS 측량에 의한 기하학적 지오이드고의 계산

Calculation of Geometric Geoidal Height by GPS Surveying on 1st and 2nd order Benchmark Line

  • 이석배 (진주산업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진수 (부경대학교 건설공학부) ;
  • 김철영 (진주산업대학교 토목공학과) ;
  • 권재현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발행 : 2009.04.30

초록

지오이드 모델개발에 있어서 GPS/leveling 자료는 중력지오이드의 검증이나 합성지오이드의 계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GPS/leveling 자료의 배점밀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산악지역을 포함하는 연구대상지역에서 직접 GPS측량을 실시하고, 이를 처리하여 산정된 기하학적 지오이드 고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지역 내의 1등 및 2등 수준노선을 대상으로 총 211개소의 GPS/leveling 자료를 취득하고, 기선해석 및 망조정을 통해 198개소의 GPS/leveling 자료를 결정하였다. 이 198개소의 자료에 의한 기하학적 지오이드고는 EGM2008 모델에 의한 지오이드고와의 교차분석을 통해 그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규분포에 따른 과대오차 소거 후 190개소 자료에 대한 정확도는 -0.185$\pm$ 0.079m로 나타났고, 이를 이용하여 수준점 등급, 기선길이, 그리고 표고에 따른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In geoid modelling field, it is very important the GPS/leveling data because it could be check-out the accuracy of gravimetric geoid and computed the hybrid geoid. In this study, GPS surveying was accomplished in the test area including mountainous area to improve the GPS/leveling data density in Korea. And the geometric geoidal heights was calculated using the GPS/leveling data in the test area and the accuracy of the geoidal heights was analyzed. For this study, GPS surveying was accomplished on the 211 1st and 2nd order benchmarks in Gyeongbuk province and 198 GPS/leveling data were achieved after both baseline analysis and network adjustment. Geometric geoidal heights were calculated using these 198 GPS/leveling data and the accuracy analysis was done by comparison with the geoidal heights from EGM2008 geopotential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ias and standard deviation computed from 190 GPS/leveling data after gross removal was -0.185$\pm$0.079m. And also, the accuracy analyses according to the benchmark order, baseline length, and altitude were accomplished.

키워드

참고문헌

  1. 원지훈 (2005), 중력과 GPS 자료에 의한 한반도 남부 및 인근 해역의 정밀 지오이드 연구, 박사학위논문,부산대학교 대학원, p. 2
  2. 윤홍식, 이동하 (2005), Least square collocation에 의한 GPS/leveling의 정확도 개선,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3권, 제 4호, pp. 385-392
  3. 이석배, 황용진, 이재원 (2004), GPS/leveling 자료에 의한 기하학적 지오이드고의 산출,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2권, 제 1호, pp. 45-52
  4. 이석배, 김진수, 김철영 (2008), GPS/leveling 데이터에 의한 EGM2008 지구중력장모델의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 16권, 제 3호, pp. 117-126
  5. 전인식 (2007), 측량전문품셈, 건설연구사, p. 27
  6. Choi, K. S. and Lee, J. M. (1997), GPS/ leveling Geoid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25, pp. 15-22
  7. Featherstone, W. E., Kirby, J. E., Kearsley, A. H. W., Cilliland, J. R., and Johnston, G. M. (2001), The AUSGeoid98 geoid model of Australia : data treatment, computations, and comparisons with GPS-levelling data, J. of Geodesy, V.75, pp. 313-330 https://doi.org/10.1007/s001900100177
  8. Hofmann-Wellenhof, B., and Moritz, H. (2005), Physical Geodecy, SpringerWineNewYork, pp. 157-172
  9. Kearsley, A. H. W. (1988), The determination of geoid-ellipsoid separation for GPS levelling, The Australian Surveyor, 34(1), pp. 11-18 https://doi.org/10.1080/00050326.1988.10438999
  10. Kuroishi, Y. (2001), An improved gravimetric geoid for Japan, JGEOID98, and relationships to marine gravity data, J. of Geodesy, Vol.74, pp. 745-755 https://doi.org/10.1007/s001900000129
  11. Leick, A. (1995), GPS Satellite Surveying,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p. 560
  12. Pavlis, N. K., Holmes, S. A., Kenyon, S. C., and Factor, J. K. (2008), EGM2008:An Overview of its Development and Evaluation, An IAG International Symposium on Gravity, Geoid and Earth Observation 2008, 23-27 June, Chania, Crete, Greece
  13. Pavlis, N. K. (2009), EGM2008-WGS 84 Version,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http:// earthinfo. nga.mil/GandG/wgs84/gravitymod/egm2008/egm08_ wgs84.html
  14. IAGA (2005), International Geomagnetic Reference Field,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omagnetism and Aeronomy, http://www.ngdc.noaa.gov/IAGA/vmod/grf.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