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uracy Comparison as World Geodetic Datum Transformation of 1/1000 Digital Map

1/1,000 수치지형도의 세계측지계 변환에 따른 정확도 비교

  • 윤석진 (대한측량협회 기술관리본부) ;
  • 박정현 (대한측량협회 측량기술정보연구원) ;
  • 박준규 (충남대학교 건설방재연구소)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According as standard of measurement is changed to world geodetic system by surveying law revision, we need to transform previous 1/1,000 digital maps as a standards of world geodetic system. And, we should acquire standard strategy to minimize confusion and error by conversion of geodetic surveying standards. Thus, conversion of digital maps must be transformed efficiently and consistently according to notice of relevant standard. As common point, we have used 1/1,000 digital map and local geodetic system coordinates and world geodetic system coordinates that had been used in UIS business of Pusan city and, make a analysis of distortion quantity using KASM Trans Ver 2.2. As the result of distortion quantity calculation about all Pusan city, numbers of area that error is over 0.05m are 35 in case of X(N) and 43 in case of Y(E). Because some business section have especially much error, we divided into 3 areas, that was A,B,C, and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errors of more than 0.05m are occurred only 1 X(E) in the B area and 1 X(N) and 1 Y(E) in the C area. In conclusion, We think It is a good method that we consider a distortion quantity and divide a region, and transfer to world geodetic system for large area like Pusan city.

측량법 개정으로 측량의 기준이 세계측지계로 변함에 따라, 1/1,000 수치지형도를 세계좌표계로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서 측지기준의 전환에 따른 혼란과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통일되고, 표준화된 전략이 요구 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의 UIS 사업당시 1/1,000 수치지형도와 지역측지계 및 세계측지계 좌표를 확보하여 공통점으로 사용하여, 좌표변환프로그램인 KASM Trans Ver2.2를 사용하여 왜곡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부산지역 전체에 대한 왜곡량을 계산한 결과, 0.05m 이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부분이 X(E) 35점, Y(E)이 43점 발생하였다. 왜곡량이 발생하는 부분을 고려하여 A,B,C 3개 지역으로 분할하여 왜곡량을 분석한 결과 0.05m 이상 오차를 나타내는 부분이 B지역 Y(E) 1점,C지역 X(N) 1점, Y(E) 1점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따라서 부산광역시의 세계좌표계 변환은 왜곡량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나누어 변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준묵, 김홍진 (1996), GPS에 의한 지적측량기준점의 위치해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4권, 제 2호, pp. 209-218
  2. 권대원, 윤홍식, 최재화 (1995), 7-매개변수 좌표변환에 의한 우리나라 측지계와 WGS-84의 좌표변환,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13권, 제 2호, pp. 117-124
  3. 국토지리정보원 (2005), 1/1,000 수치지형도 좌표계변환 표준 작업지침, pp. 1-65
  4. 국토지리정보원 (2006), 공공측량성과 세계측지계 전환기술지침서, pp. 24-34
  5. 윤홍식, 김대경, 송동섭 (2004), 최적 좌표변환파라미터 결정을 위한 좌표변환 모델의 비교,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 24권, 제 3D호, pp. 455-461
  6. 이상준 (2005), 세계측지 좌표계도입을 위한 국지적 좌표변환계수값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p. 1-48
  7. 이석민 (2004), 세계측지계전환에 따른 서울시 지리정보 대응방안 연구, 시정연 2004-R-42,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 1-152
  8. 이용창, 강준묵 (1995), GPS 측위범위에 따른 타원체간의 좌표변환특성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3권, 제 2호, pp. 153-162
  9. 조규전 (2004), 측량정보공학, 양서각, pp. 1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