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ruction of the Airborne Gravity Based Geoid and its Evaluation

항공중력기반 지오이드 모델 구축 및 검증

  • 이지선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권재현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이보미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홍창기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o obtain the gravity data with consistent quality and good distribution over Korea,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constructing precision geoid from biased distribution of ground data, to resolv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ground and ocean gravity data, an airborne gravity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 2008 to Jan. 2009. The data was measured at the average flying height of 3,000m and the data with cross-over error of 2.21mGal is obtained. The geoid constructed using this airborne gravity data shows the range of 9.34 $\sim$ 33.88m. Comparing the geoid with respect to the GPS/levelling data, a precision of 0.145m is obtained. After fitting, the degree of fit to GPS/levelling data was calculated about 5cm.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s large biases in the area of south-western and northern part of the peninsular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effect of distorted vertical datum in Korea. Thus, more investigation on vertical datum would be needed in near future.

지역적 편향성을 보이는 지상중력자료의 분포와 육상 및 해상에서의 중력측정치의 불부합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우리나라 전역에 걸처 고른 분포와 정밀도를 지닌 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항공중력측정을 수행하였다. 비행고도 3,000m 상공에서 획득된 항공중력자료는 교차오차 2.21mGal의 정밀도로 확보되었고, 이를 지상의 값으로 하향연속하여 약 9.34m부터 33.88m의 분포를 보이는 항공중력지오이드 모델을 구축하였다. 항공중력 기반의 중력지오이드는 GPS/Levelling 자료와 비교시 약 0.145m의 정밀도를 가지며, GPS/Levelling 자료와 융합 시 부합도는 약 5cm로 산출되었다. 항공중력기반의 지오이드는 지상중력기반의 지오이드와 비교할 때 충청이남의 서부지역 및 강원도 지역에서 큰 편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상중력기반의 지오이드는 우리나라 수준망의 성과를 반영하여 산출되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른 추가적인 수준망 분석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보미, 이지선, 권재현, 이용욱 (2008), 우리나라 정밀지오이드 구축을 위한 지형자료 및 중력자료 영향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제 5호, pp. 519-527
  2. 이석배 (2000), 중력학적 방법 및 위성측지 방법에 의한 지오이드 모델링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8권, 제 4호, pp. 359-367
  3. 이지선, 이보미, 권재현, 이용욱 (2008a), 우리나라 지상중력자료의 일관된 전처리를 통한 프리에어이상값,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제 4호, pp.379-386
  4. 이지선, 이보미, 권재현 (2008b), Evaluation of EGM08 using Gravity Anomaly and GPS/Levelling in Korea, 3D GEOINFO 2008, pp. 197-203
  5. 이지선, 권재현, 이보미, 홍창기 (2009), 항공중력측정에 의한 프리에어 이상 산출,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7권, 제 4호
  6. 해양수산부(2005), 정밀 지오이드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해양한국발전프로그램(KSGP) 연구개발사업 연구보고서, 부산대학교 SG연구사업단
  7. Forsberg, R., Tscherning C. C. (1997), Topographic effects in gravity field modelling for BVP, Geodetic Boundary Value Problems in View of the One Centimeter Geoid, Lecture Notes in Earth Science, Vol. 65, pp. 239-272 https://doi.org/10.1007/BFb0011707
  8. Forsberg, R. (2002), Downward continuation of airborne gravity data - an Artic case study, Proc. 3rd Meeing of the International Gravity and Geoid Commission : Gravity and Geoid 2002, pp. 51-56
  9. berg, R., Tscherning C. C., Kundsen P. (2003), An overview Manual of the GRAVSOFT, Kort & Matrikelstyrelse
  10. Heiskanen, W.A, Moritz, H. (1967), Physical Geodesy, W.H.Freemand and Co., San Fransisco
  11. Hwang, C., Hsiao, Y., Shi, H. (2006), Data reduction in scalar airborne gravimetry : Theory, software and case study in Taiwan, Journal of Computers & Geosciences, Vol 32, pp. 1573-1584 https://doi.org/10.1016/j.cageo.2006.02.015
  12. Olsen, V. A. (2002), Imporoved airborne scalar gravimetry for regional gravity field mapping and geoid determination, Ph.D. thesis, University of Copenhagen
  13. Pavlis, N. K. (2008), Development, Evaluation, and Use of Global Earth Gravitational Models(EGM), IGeS 2008 Int'l Geoid School : The Determination and Use of the Geo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