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air anomaly from Airborne Gravity Surveying

항공중력측정에 의한 프리에어 이상 산출

  • 이지선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권재현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이보미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홍창기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gravity data collected and reserved in Korea is seriously biased in its distribution. That is, only the west-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including Chungcheong and Jeonla area has dense distribution while only a part is covered in Gyoungsang area. Especially, the low density of the gravity data in mountainous area basically limits the accuracy of the gravimetric geoid in Korea. As one of the solution to overcome the problem, an airborne gravity survey were conducted from Dec. 2008 $\sim$ Jan. 2009. In this study, free-air gravity anomaly derived from the airborne gravity data which has consistent quality are presented. The data processing for the airborne gravity is composed of several corrections of errors such as errors from gravity measurement, errors from flight dynamics, errors from GPS, and errors from time synchronization. We presented detailed explanations on the data processing with the final cross-over results. The free-air anomaly from airborne gravity finally shows the cross-over accuracy of 2.21mGal which reflects the precision of each track is 1.56mGal.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from this study will play a role as input data in precision geoid determination with ground and ship-borne gravity data after appropriate fusion process.

우리나라에서 현재까지 관측된 지상중력자료는 충청이남을 포함한 전라도 지역과 경상도 일부 지역 등에 편중되어 있으며 특히, 산악지역의 분포가 현저히 낮아 지오이드의 정밀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직접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약 2달간 항공중력측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에 대해 일관된 정밀도를 지닌 항공중력측정 자료를 처리하여 결과로 중력이상값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항공중력자료의 처리는 상대중력측정과 관련된 오차, 비행에서의 동적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 GPS와 관련된 오차 및 자료 기록에 있어서 발생하는 시간 차이 등을 보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산출된 프리에어이상의 최종 교차오차는 2.21mGal 그리고 노선별 정확도는 1.56mGal이다. 항공중력측정 기반의 중력이상은 향후 지상중력이상 및 선상중력이상과 합성되어 정밀 지오이드 모델 개발의 기본자료로 이용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배, 최재화, 윤홍식, 이석배 (1995), 위성 고도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해상지역에서의 중력이상의 결정,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3권, 제 2호, pp.177-185
  2. 민경덕, 서정희, 권병두 (1986), 응용지구물리학, 우성문화사, pp. 51-82
  3. 이석배(2000), 중력학적 방법 및 위성측지 방법에 의한 지오이드 모델링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8권, 제 4호, pp. 359-367
  4. 이보미, 이지선, 권재현, 이용욱 (2008), 우리나라 정밀지오이드 구축을 위한 지형자료 및 중력자료 영향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제 5호,pp519-527
  5. 이지선, 이보미, 권재현, 이용욱 (2008), 우리나라 지상중력자료이 일관된 전처리를 통한 프리에어이상값,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제 4호, pp.379-386
  6. 해양수산부(2005), 정밀 지오이드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해양한국발전프로그램(KSGP) 연구개발사업 연구보고서, 부산대학교 SG연구사업단
  7. Olsen, V . A., Forsberg, R. (2007), Airborne Scalar Gravimetry for Regional Gravity Field Mapping and Geoid Determination, Gravity Field of the Earth - 1st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Gravity Field service
  8. Olsen, V. A., Forsberg, R., Keller, K., Gidskehaug, A. (2000),Airborne Gravity Survey of Lincoln Sea and Wandel Sea,North Greenland, Physicas and Chemistry of the Earth,Vol. 25, No. 1, pp. 25-29 https://doi.org/10.1016/S1464-1895(00)00005-3
  9. Olsen, V. A. (2002), Imporoved airborne scalar gravimetry for regional gravity field mapping and geoid determination, Ph.D. thesis, University of Copenhagen
  10. Olsen, V. A., Forsberg, R. (2007), Regional Airborne Scalar Gravimetry for Geoid Determination, XXIV IUGG General Assembly
  11. Featherstone, W. E., Denitith, M. C. (1997), A geodetic approach to gravity data reduction for geophysics, Computers and Geosciences, Vol. 23, pp. 1063-1070 https://doi.org/10.1016/S0098-3004(97)00092-7
  12. Harlan, R. B. (1968), E\ddot{o}tv\ddot{o}s Corrections for Airborne Gravimetr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73, No. 14, pp. 4675-4679 https://doi.org/10.1029/JB073i014p04675
  13. Tscherning, C. C., Forsberg, R. (1992), Harmonic continuation and gridding effects on geoid height prediction, Journal of Geodesy, Vol. 66, No. 1, pp. 41-53
  14. Valiant, H. (1991), The LaCoste & Romberg air/sea gravimeter, CRC Handbook of Geophysical Exploration at Sea, Boca Rat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