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문봉 (1993). Lakatos의 수리철학의 교육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강옥기 (2000). 수학과 학습지도와 평가론. 서울: 경문사.
- 강옥기 (2004).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수학 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 강혜진 (2002). 학교수학에서의 이산수학의 필요성과 영역별 내용 비교.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연식.우정호.박영배.박교식 (2001). 수학교육학 용어 해설(9). 학교수학 3(2), pp.475-499. 서울: 한국수학교육학회.
- 김진호 (2002). 비형식적 수학적 지식과 형식적 수학적 지식의 결합에 관한 소고. 학교수학 4(4). pp.555-563. 서울: 대한수학교육학회.
- 고영미.이상욱 (2004).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의미와 교수-학습법. 수학교육논문집 18(2). pp.209-216 서울: 한국수학교육학회
- 권오남 (2005). 탐구 지향 미분방정식의 개발 실제 : 교수실험을 통한 접근. 수학교육논문집 19(4), pp.733-767. 서울: 한국수학교육학회.
- 박영배 (1996). 수학 교수.학습의 구성주의적 전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이경화 (1996). 확률 개념의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학위 논문.
- 이지화 (2005). 학습도구를 활용한 순열과 조합의 지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주영.김서령.박혜숙.김완순 (2006). 조합문제 사이의 구조적 동형. 수학교육 45(1), pp.123-138. 서울 : 한국수학교육학회.
- 이준열 (1991).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이산수학의 역할. 수학교육 30(2), pp.97-106. 서울: 한국수학교육학회
- 임레 라카토스/우정호역 (1991). 수학적 발견의 논리. 서울: 민음사.
- 우정호 (1998).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우정호 (2004). School Mathematics as a Major Subject for ’Humanity Education'. 학교수학 제 6(4). 서울: 대한수학교육학회
- G. Polya/우정호 역 (1986).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How to Solve It. 서울: 천재교육.
- 조윤동.박배훈 (2002). 비고츠키 이론의 수학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2(4), pp.473-491. 서울: 대한수학교육학회.
- 정수현 (2007).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수업 실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황우형.김경미 (2008). 자연수의 사칙 연산에 대한 아동의 이해 분석. 수학교육 47(4), pp.519-543. 서울 : 한국수학교육학회.
- Thomas Khun/김명자 역 (2007). 과학혁명의 구조. 서울: 까치
- Barnes, D. (1990). Language in the Secondary Classroom: A Study of Language Interaction in Twelve Lessons in the First Term of Secondary Education. In D. Barnes, J. Britton, & H. Rosen(Eds.), Language, the Learner and the School. pp.11-17. Baltimore, Md.: Penguin Books.
- Batanero, C., Navarro-Pelayo, V., & Godino, J. D. (1997). Effecy of the Implicit Combinatorial Model on Combinatorial Reasoning in Secondary School Pupil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2, pp. 181-199. https://doi.org/10.1023/A:1002954428327
- Bruner, J. S.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Dossey, J. A. (1992). The nature of mathematics: It’s role and it’s influence. In D.A Grouws(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racking and learning pp.39-48 New York: Macmillian publishing Company.
- Freudenthal, H. (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 Gelman R., & Gallisel, C. R. (1986). The child's understanding of number(2nd Edi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Hadamard, J. (1945). An Essay on the Psychology of Invention in the mathematical Field. New York: Dover Publication.
- Piaget, J., & Szeminska, A. (1952). The child’s conception of number.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 Piaget, J. (1980). The psychogenesis of knowledge and its epistemological significance. In M. Piattelli-Palmarini(Ed.), Language and learning: The debate between Jean Piaget and Noam Chomsky(pp.23-24).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Polya, G. (1973) Induction and Analogy in Mathematics.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pp.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 Vacc, N. N. (1993). Questioning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Arithmetic Teacher, 41(2), pp.88-91.
-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