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instruction on permutation and combination through the discovery method

발견을 통한 순열과 조합 지도방안 연구

  • Published : 2009.05.31

Abstract

In this study, we apply the discovery method in the instruction of Permutation and Combination, and examine the effect upon the student's emotion after the instruction change. The research progressed through the instruction by the discovery method for two students of highschool Y. This research has been done for about one and half year from November 2006 to February 2008. We draw our research results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consisted of videotaping a classroom activities, recording interview details and writing an observation diary, with the aim of the experimental instruction. In the end, we get to the conclusion that students showed a strong positive attitude on the discovery instructional method and that diverse discovery method has supplementary relation in classwork.

Keywords

References

  1. 강문봉 (1993). Lakatos의 수리철학의 교육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강옥기 (2000). 수학과 학습지도와 평가론. 서울: 경문사.
  3. 강옥기 (2004).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수학 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4. 강혜진 (2002). 학교수학에서의 이산수학의 필요성과 영역별 내용 비교.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연식.우정호.박영배.박교식 (2001). 수학교육학 용어 해설(9). 학교수학 3(2), pp.475-499. 서울: 한국수학교육학회.
  6. 김진호 (2002). 비형식적 수학적 지식과 형식적 수학적 지식의 결합에 관한 소고. 학교수학 4(4). pp.555-563. 서울: 대한수학교육학회.
  7. 고영미.이상욱 (2004).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의미와 교수-학습법. 수학교육논문집 18(2). pp.209-216 서울: 한국수학교육학회
  8. 권오남 (2005). 탐구 지향 미분방정식의 개발 실제 : 교수실험을 통한 접근. 수학교육논문집 19(4), pp.733-767. 서울: 한국수학교육학회.
  9. 박영배 (1996). 수학 교수.학습의 구성주의적 전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이경화 (1996). 확률 개념의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학위 논문.
  11. 이지화 (2005). 학습도구를 활용한 순열과 조합의 지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이주영.김서령.박혜숙.김완순 (2006). 조합문제 사이의 구조적 동형. 수학교육 45(1), pp.123-138. 서울 : 한국수학교육학회.
  13. 이준열 (1991).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이산수학의 역할. 수학교육 30(2), pp.97-106. 서울: 한국수학교육학회
  14. 임레 라카토스/우정호역 (1991). 수학적 발견의 논리. 서울: 민음사.
  15. 우정호 (1998).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6. 우정호 (2004). School Mathematics as a Major Subject for ’Humanity Education'. 학교수학 제 6(4). 서울: 대한수학교육학회
  17. G. Polya/우정호 역 (1986).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How to Solve It. 서울: 천재교육.
  18. 조윤동.박배훈 (2002). 비고츠키 이론의 수학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2(4), pp.473-491. 서울: 대한수학교육학회.
  19. 정수현 (2007).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수업 실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황우형.김경미 (2008). 자연수의 사칙 연산에 대한 아동의 이해 분석. 수학교육 47(4), pp.519-543. 서울 : 한국수학교육학회.
  21. Thomas Khun/김명자 역 (2007). 과학혁명의 구조. 서울: 까치
  22. Barnes, D. (1990). Language in the Secondary Classroom: A Study of Language Interaction in Twelve Lessons in the First Term of Secondary Education. In D. Barnes, J. Britton, & H. Rosen(Eds.), Language, the Learner and the School. pp.11-17. Baltimore, Md.: Penguin Books.
  23. Batanero, C., Navarro-Pelayo, V., & Godino, J. D. (1997). Effecy of the Implicit Combinatorial Model on Combinatorial Reasoning in Secondary School Pupil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2, pp. 181-199. https://doi.org/10.1023/A:1002954428327
  24. Bruner, J. S.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5. Dossey, J. A. (1992). The nature of mathematics: It’s role and it’s influence. In D.A Grouws(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racking and learning pp.39-48 New York: Macmillian publishing Company.
  26. Freudenthal, H. (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7. Gelman R., & Gallisel, C. R. (1986). The child's understanding of number(2nd Edi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8. Hadamard, J. (1945). An Essay on the Psychology of Invention in the mathematical Field. New York: Dover Publication.
  29. Piaget, J., & Szeminska, A. (1952). The child’s conception of number.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30. Piaget, J. (1980). The psychogenesis of knowledge and its epistemological significance. In M. Piattelli-Palmarini(Ed.), Language and learning: The debate between Jean Piaget and Noam Chomsky(pp.23-24).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1. Polya, G. (1973) Induction and Analogy in Mathematics.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pp.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33. Vacc, N. N. (1993). Questioning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Arithmetic Teacher, 41(2), pp.88-91.
  34.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