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D. M. Alford and M. Futrell, "Wellness and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 Nursing Outlook, pp.221-225, 1992.
- 최명애, 전미향, 최정안, "걷기 훈련이 재택노 인의 낙상방지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제30권, 제5호, pp.1318-1332, 2000.
- 임종호, 이진호, "노년기노화에 따른 신체조 성의 변화와 근력 및 근지구력의 관계", 한국 노년 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5-24, 2001.
- M. E. Tinetti, M. Speechley and S. F. Ginter,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N. Engl. J. Med, Vol.319, No.26, pp.1701-1707, 1988. https://doi.org/10.1056/NEJM198812293192604
- 대한노인병학회, 노인병학, 의학출판사, 2000.
- 김병성, "갱년기 여성과 운동", 대한임상건강 증진학회지, 제1권, 제1호, pp.1-7, 2001.
- 김찬, 김철현, 안해철, 박경국, 구숭룡, 최윤희. 골다공증 노인을 위한 낙상위험인자 분석과 예방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2002.
- 지용석, 윤경재, 변재종, 김명기. "1년간의 알렌드로 네이트 투여와 운동프로그램이 골다공증 노인여성의 골밀도 수준과 관련변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1455-1466, 2003.
- M. S. Jung, A Study on the Real Problem of the Senior in the Rural areas and a Welfare Countermeasure for them, M, A, Thesis, Kemyung University 2001.
- 안병수, "노년기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역할",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2권, 제2호, pp.151-168, 2001.
- 장창현, "폐경후농촌여성의 골밀도와 체력의 상관관계",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5권, 제2호, pp.547-554, 1998.
- C. Blanchet, Y. Giguere, D. Prud'homme, M. Dumont, F. Rousseau, and S. Dodin,,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bone," Med, Sci, Sports Exerc. Vol.34, No.1, pp.24-31, 2002. https://doi.org/10.1097/00005768-200201000-00005
- I, M. Flbert, and E. Brown, "Vestibular stimulation to improve ambulation after a cerebral vascular accident," Physical Therapy Vol.59, pp.423-435, 1979.
- J. Shick, L. J. Stoner, and N. Jette, "Relationship between modern-dance experience and balancing performance," Research Quarterly Vol.54, pp.79-82, 1983.
- B. L. Roberta, "Walking improve balance. reduces falls," Am. J. Geron. Nurs, Vol.18, No.9, pp.26-32, 1985.
- B. L. Roberta, "The effect of walking on balance among elders," Nursing Resarch Vol.38, No.3, pp.180-192, 1989.
- L. R. Sauvage, B. M. Myklebust, and J. Pan, "A clinical trial of strengthening and aerobic exercise to improve gait and balance in elderly male nursing home resident," Am. J. Phyl. Med. Rehabil, Vol.71, No.6, pp.333-342, 1992. https://doi.org/10.1097/00002060-199212000-00005
- E. M. Mills, "The effect of low-intensity aerobic exercise o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among sedentary elderly person," Nursing Resarch, Vol.43, No.4, pp.207-211, 1994.
- 김태운, 이광무, 박진성, "한국노인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36권, 제2호, pp.248-263, 1997.
- 구해모, 노화지연을 위한 노인의 건강, 체력증진 프로그램개발,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999.
- 서부덕. 집단동작 훈련이 시설노인의 생리, 심리적 변수 및 일상생활의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박사학위논문, 1996.
- 백현욱, 조성일, 양윤준, 오상우, 김준호, 고위험 노인을 위한 낙상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연구보고서, 2003.
- 성주군, 건강증진사업평가보고서, 2005.
- 대한골대사학회, 골다공증의 진단 및 치료 지침, 2004.
-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최신운동처방론, 21세기교육사, 1999.
- 金憲経. 竹島伸夫, 西嶋常侍, 吉田英世, 鈴木陸雄. 地域高齡者の轉倒豫防を目指す介入プロガラム の開發とその成果, 2000, 2001 年度 科學硏究補助金[基礎硏究(C)2], 硏究成果報告書, 2002.
- 박경희. 농촌지역 고령자의 넘어짐 예방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적용과 성과, 경북대학교 체육대학원 박사논문, 2003.
- 조상근, 이정필 오재근, 김호성. "12주간의 근력 및 스트레칭 병합운동이 노인여성들의 평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0권, 제1호, pp.53-64, 2006.
- E. Nakamura, T. Moritani, and Knetaka, "A. Biology Age versus Physical Fitness," Age Euro. J. Applied Physio. and Occu. Physio. Vol.42, pp.778-785, 1998.
- 박익렬. "12주간 유산소성 운동이 고령 여성 노인의 건강체력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22권, pp.459-469, 2004.
- 김현주, 최종환. "12주간의 수중 운동이 여성노 인의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5권, 제1호, pp.656-664, 2006.
- 이승범, 노인종합복지관의 운동프로그램이 노화,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체육학과 박사논문, 2003.
- 배성수, 김한수, 이현옥, 박지환, 홍완성. 인체의 운동, 현문사, 1992.
- 최상웅, 이제상, 구현정, 이대택. "저항성 및 평형성 운동이 낙상경험 여성노인의 보행형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4권, 제1호, pp.287-295, 2005.
- 김한수, 김상수, 이동호.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균형증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49-162, 2002.
- 전미양. 낙상 예방 프로그램이 양로원 여성 노인의 보행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박사논문, 2001.
- J .B. Jang, The effect of exercise types on bone density and bone metabolism in postmenopausal women. Thesis for the degree of ph D, Jeonnam. university, 1997.
Cited by
- Literature Review for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Musculoskeletal Outcome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vol.20, pp.4, 2014, https://doi.org/10.4069/kjwhn.2014.20.4.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