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Raising System on the Reproductive and Weaning Performances in Replacing Gilts

후보모돈의 실내.외 사육방식이 번식 및 이유성적에 미치는 영향

  • Kim, G.W.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Ok, Y.S.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S.E.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계웅 (공주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 옥영수 (공주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 김석은 (공주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ow breeding environment on the reproduction in the first litter in a large-sized hog farm, located in Dangjin-gun, Chungnam from July 1st, 2007 to June 30th, 2008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improve the sow productivity in a family farming sow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gestation periods were proved to be similar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door and outdoor breeding grounds, The average of farrowing rate was 91.91%, and 92.54% farrowing rate of out-door ground breeding sows was slightly greater than 91.57% of group-housed sows,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two groups. 2. The average of total litter size and the number of born alive per litter were 9.81 and 9.02, respectively. The number of total number was 0.98 and the number of born alive per litter was 1.18 in the outdoor-ground breeding sows, which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group-housed sows(p<0.001). 3. The number(rate) of piglets stillborn was 0.22(2.10%) from the outdoor-ground breeding sows was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with 0.33(3.53%) from group-housed sows(p<0.01). The number of piglets culled was 0.23(2.27%) and 0.26(2.77%), in the out-door ground breeding sows and in group-housed sows, respectively and it was not significantly similar between two groups. And, the number of mummies was 0.21(2.1%) and 0.28(2.29%), in the out-door ground breeding sows and in group-housed sows, respectively, which showed no significance. 4. The weaning number in the playground breeding sows was 9.48 and it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in the group-housed sows(p<0.001). The average of weaned age was observed to be 22.91 days. The weaned age in the out-door ground breeding sows was 22.39 days, and it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in group-housed sows(p<0.001). The breeding rate for the weaning of pigs was satisfactory as 96.82%,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본 연구는 충남 당진군소재 대규모 양돈장에서 2007년 7월 1일부터 2008년 6월 30일까지 762복의 후보모돈에 대한 실내 외 돈방별 사육환경이 초산차 번식 및 이유형질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 분석하여 양돈농가의 모든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내 외 사육장소간에는 유의한 차이없이 서로 비슷한 임신기간으로 각각 116.11일과 116.12일로 나타났다. 분만율은 운동장사육 후보돈에서 92.54%로 군사방 후보모돈 91.57% 보다 약간 높은 경향이었으나, 두 집단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2. 총산자수는 운동장사육 모돈 10.44두, 군사돈방 모돈 9.46두와 포유개시두수는 운동장사육 모돈이 9,77두, 군사돈방 모돈이 8.59두로 조사되었다. 운동장사육 후보모돈에서 군사돈방 후보모돈 보다 총산자수는 0.98두, 그리고 포유개시두수는 1.18두로 유의하게 양호한 성적을 보였다(p<0.001). 3. 사산수(율)는 운동장 후보모돈이 0.22두(2.10%), 군사돈방 후보모돈이 0.33두(3,53%)로 운동장사육 후보 모돈이 유의하게(p<0.01) 양호하였다. 운동장사육 후보모돈과 군사돈방 모돈의 도태두수는 각각 0.23두(2.27%)와 0.26두(2.77%)로써 서로 비슷한 성적을 보였다. 그리고 미이라 발생두수에서도 운동장과 군사돈방이 각각 0.21두(2.0%)와 0.28두(2,29%)로 사육 돈방간에 유의성 없이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4. 이유두수는 군사돈방보다 운동장에서 사육한 후보모돈이 1.22두가 유의적으로(p<0.001) 높은 성적을 보였다. 이유일령은 운동장과 군사돈방에서 각각 22.39일과 23.21일로써, 군사돈방 후보모돈보다 운동장 사육 후보모돈에서 유의적으로 짧았다(p<0.001). 자돈 이유육성율은 운동장과 군사돈방 후보모돈에서 각각 97.13%와 96.65%로 두 사육집단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군사돈방에서 사육한 후보모돈보다 운동장사육 후보모돈이 초산차의 번식능력이나 이유성적 등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Fahmy, M. H., Holtmann, W. B., Macintyre, T. M. and Moxjey, J. E. 1978. Evaluation of piglet mortality in 28 two-breed crosses among eight breeds of pig. A. breed. Abstr. 46:4460.
  2. Herrmann, U., Richter, K. and Hoffmann, S. 1979. Untersuchunger zer futterung weiblicher jungshweineeinfu der energieversorgung und der wachstumsintensitat auf den pubertatseintritt und die spatere fruchtbarkeitsleistung. Tierzucht. 33:132-135.
  3. King, R. H. 1989. Effects of live weight and body composition of gilt at 24 week of age on subsequent reproductive efficiency. Anim. Prod. 49:109. https://doi.org/10.1017/S0003356100004311
  4. Klindt, J., Yen, J. T. and Christenson, R. K. 1999. Effect of prepubertal feeding regimenon reproductive development of gilts. J. Ani. Sci. 77:1968-1976. https://doi.org/10.2527/1999.7781968x
  5. Klindt, J., Yen, J. T. and christenson, R. K. 2001. Effect of prepubertal feeding regimenon reproductiv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gilts through the first pregnancy. J. Anim. Sci. 79:787-795. https://doi.org/10.2527/2001.794787x
  6. Rico, C. and Menchaca, M. 1977. Reproductive performance of the Duroc breed in Cuba. I. Effect of different sources of variation. A. Breed.
  7. Zoiopoulus, P. E., English, P. R. and Topps, J. H. 1983. A note on intake and digestibility of fibrous diet self fed to primiparous sows. Anim. Prod. 37:153-156. https://doi.org/10.1017/S0003356100001689
  8. 강환용. 2008. 양돈농가의 번식성적 및 관리평가에 관한 연구 -홍성군 번식돈 농가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계웅, 김건중, 최병익, 정재훈, 한성일, 김석은. 2008. 모돈 사육규모에 따른 번식성적 및 경영기술평가. 농업경영.정책연구. 35(3):621-636.
  10. 김계웅, 유재영. 2007. 충남지역 양돈농가의 생산성에 관한 연구. 자연.자원연구. 7(2):40-45.
  11. 송영민, 진상근, 이성대, 하경희, 정맹화. 2002. 돈방구조와 발효사료 급여가 비육돈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14(3):169-175.
  12. 정태주. 2005. 돼지의 산차 및 분만시기가 번식형질에 미치는 영향. 상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조광호. 2000. 양돈농가의 기술 및 경영 실태연구 - 전남지역 수출돈생산 농가를 중심으로. 농업경영.정책연구. 27(3):103-117.
  14. 조진호. 2006. 비육돈 및 후보돈에 있어 호맥사일리지의 급여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최광수, 신원집. 1994. 분만전후 자돈사방에 미치는 환경 및 유전적 요인의 효과. 한국축산학회지. 36(1):19-24.
  16. 최홍림, 송준익, 안희권. 2000. 전업양축 농가를 위한 남부지방 돈사의 구조 및 환경실태조사.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6(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