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한기의 기학적 지리학과 지리연구방법론

Han-Ki Choi's Chi-hak and Geography

  • 최원석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인문한국)
  • Choi, Won-Suk (Gyeongnam Cultural Research Institut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9.02.28

초록

최한기는 지리를 지지 및 지도, 지구, 지기(地氣), 풍수의 포괄적인 범주로 인식하였고, 지리에서 지도와 지지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최한기의 학문적인 목적은 기화(氣化)의 체인(體認)을 통해서 천도(天道)를 규명하고 인도(人道)를 밝혀 이상적인 대동사회(大同社會)를 구현하기 위함이었고, 그의 지리학은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실학으로서의 구체적 수단이자 방법이었다. 최한기는 지리에 대한 이해의 확충을 통해서 인도(人道)를 밝히는 것을 지리학의 연구 의의로 삼았고, 지리와 사람의 교섭을 중시하여, 지리학의 토대이자 연구목적이 되는 사람과의 관계적인 본질을 강조하였다. 최한기의 기학 체계는 지리학에 기초하여 성립되었고, 역으로 최한기의 지리학은 기학적 토대에서 이루어졌다. 지지학 지기학 지구학은 기학적 지리학을 달성하기 위한 계통적 체계로 구성되었다. 한국지리학사에서 최한기의 위상은 조선시대의 지리학적 전통과 서구 근대지리학의 성과를 포괄적으로 잇는 가교적인 위치에 자리 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독창적인 학문체계의 구성은 한국적 지리학의 정체성 수립에 한 지침이 될 수 있는 이정표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 최한기의 지리학적 정체성은 지지학 지기학 지구학의 삼자가 기학적인 바탕에서 상호 통합된 체계를 갖춘 것으로서, 그의 지리학적 비젼은 근대서구지리학의 틀과 한계를 뛰어넘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으로서 역사적 의미가 있다.

Han-Ki Choi($1803{\sim}1877$), who was a scholar in Joseon dynasty, understood geography into a synthetic category of chorography, cartography, earth science and fengshui. He focused on chorography and map as a leading position in geograph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of Han-Ki Choi was to examine the way of Heaven, and then to make clear the way of Humanity. The identity of the geography for Han-Ki Choi was a practical science that useful for the ruling over the country and the welfare of people. He emphasized the nature of relationship with humans in geography. The system of Han-Ki's Chi-hak came from the basis of a geography, on the contrary, his geographical works were accomplished on the ground of the Chi-science. The chorography, Chi-hak of the earth and the earth science were composed into systematic organization for achieving the goal of the Chi-geograph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