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모(軍帽)의 파기(播旗)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g Sticked in a Military Cap

  • Kang, Soon-Che (Dept. of Clothing & Textil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Jeon, Hyun-Sil (Dept. of Clothing & Textil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발행 : 2009.05.28

초록

The custom of the flag sticked in a military cap involves the symbolic mark. That is, it makes the procession of an army clear and makes the convenience of activity possible. This custom was uniquely practiced at several countries. At Il dynasty($1258{\sim}1411$), Timurid dynasty($1369{\sim}1508$), Mughal dynasty($1526{\sim}1858$) was succeeded this custom by based on blood relationship for $13th{\sim}16th$ century on the diachronic viewpoint. And these countries have cultural correlation by regional paradigm, namely Islamic cultural area. Meanwhile, this custom of Ming dynasty and joseon dynasty appeared in $15th{\sim}17th$ century as official system. Expecially, one of joseon dynasty maintained for a short time than other countries because of jangpyo[章標] system which was more efficient than the sticked flag. On the synchronic viewpoint, this custom was the common and necessary status quo for the efficient expansion of territory and military manag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林巳奈夫 編 (1976). 漢代の文物. 京都: 京都大学人文 科学研究所, pp. 68-69
  2. 中華五千年文物集刊編輯委員會 (1986). 中華五千年文 物集刊 服飾篇 (上). p. 91
  3. 中華五千年文物集刊編輯委員會 (1986). 中華五千年文 物集刊 服飾篇 (下). p. 360, p. 385.
  4. 周錫保 (1986). 中國古代服飾史. 台北: 丹靑圖書有限公司, p. 71, p. 310, p. 382, p. 399, p. 405, p. 412, p.424, p. 475
  5. 杉本正年 저, 문광희 역 (1995). 동양복장사논고. 경춘사, pp. 160-161
  6. 華梅 저, 朴聖實.李秀雄 역 (1992). 中國服飾史. 경춘사, p. 32.
  7. 崔敏順 (1983). 朝鮮朝 旗幟에 關한 硏究-儀仗旗의 文樣을 中心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1
  8. 백영자 (1997). 조선시대의 어가행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9. 유승휴 (1985). 農旗. 진영출판사
  10. 張寅奎 (1991). 世界의 國旗와 國章. 水山文化社
  11. 정해은 (2004). 한국전통병서의 이해. 國防部 軍史編纂硏究所
  12.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3). 藏書閣圖書韓國本解題輯- 최민순, 위의 논문
  13. 이태헌 (1996). 몽골의 유목사회. 한.몽골 교류 천년. 한.몽골교류협회, pp. 124-125
  14. 로베르토 만치니 외 저, 김영경 옮김 (2003). 이슬람. 사계절출판사, pp. 66-67
  15. 勝藤 猛 (1970). 蒼き狼チンギス汗. モンゴル帝國. 東京: 世界文化社, p. 115
  16. 위의 책, p. 115
  17. 鈴木勤 編集. 앞의 책, p. 131, p. 209
  18. 相川俊一郎 編集 (1980). 圖說世界の歴史 別卷-世界歷史地圖. 東京: 學習硏究士, p. 59.
  19. 이현희, 김원모, 손상렬 (1995). 역사부도. 삼화출판사, p. 72 참조.
  20. 김경위 (1996). 몽고족의 중도 침입과 일한 조(1256~1353). 한국이슬람학회논총, 6(1), pp. 37-38
  21. 杉山正明 저, 임대희, 김장구, 양영우 역 (1999). 몽골세계제국. 신서원, p. 145, pp. 152-156, p. 389
  22. 르네 그루쎄 저, 김호동, 유원수, 정재훈 역 (1998).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사계절, p. 412, p. 426, pp. 501-509
  23. 트란스옥시아나는 시르다리야 강과 아무다리야 강의 사이에 위치한 지역으로, 주요도시는 사마르칸트와 부하라이다. 자료출처: http://ko.wikipedia.org/, 자료검색일 2008.10.30
  24. 자료출처: http://premium.britannica.co.kr/, 자료검색일 2008.10.30
  25. 間野英二. 앞의 책, p. 148
  26. 르네 그루쎄 저, 김호동, 유원수, 정재훈 역. 앞의 책, p. 577, p. 586, p. 589, p. 598, p. 634
  27. 장폴 루 저, 김소라 역 (2008). 칭기즈 칸과 몽골제국. 시공사, p. 100
  28. 버나드 루이스 저, 이희수 역 (2007). 중동의 역사. 까치, pp. 108-109
  29. 르네 그루쎄 저, 김호동, 유원수, 정재훈 역. 위의 책, p. 588
  30. 梁秉祐 외 (1973). 大世界의 歷史4-아시아의 中世. 이슬람의 世界. 三省出版社, p. 401
  31. 발레리 베린스탱 저, 변지현 역 (1998). 무굴 제국. 시공사, p. 21.: 1520년부터 작성된 '바부르'의 자전적 회상록이다. 바부르는 모국어인 투르크 차가타이어로 '바부르나마' 를 쓰면서, 자기 부족의 고유성을 강조하려 하였다
  32. 위의 책, p. 156
  33. 위의 책, p. 13, p. 19. pp. 20-21, p. 24
  34. 間野英二. 앞의 책, pp. 150-151
  35. 梁秉祐 외. 앞의 책, p. 402
  36. 大明會典 卷之190 工部12 軍器軍裝1: 玉簪瓣明鐵盔有 二等 一紫花布火漆丁釘頓項 襯盔 黑纓花皂絹盔旗 一靑紵絲頓項 靑綿布襯盔 盔襻 黑纓花皂絹紅月盔旗
  37. 國立古宮博物院 編纂 (1973). 古宮圖像選萃 (재판), p.87
  38. 中華五千年文物集刊編輯委員會. 中華五千年文物集刊 服飾篇(下), p. 358
  39. 諸橋轍次 (1986). 大漢和辞典 卷8. 東京: 大修館書店, p. 1135. : '練兵實記'9권 雜集 6권. 明代 肅繼光 편찬. 蘇州, 昌平, 保定 3鎭의 총리였던 시기, 연병의 기술을 講求해 만듦. 練法 6편, 이 잡기 5편은 군중의 조의법제이다
  40. 周錫保. 앞의 책, p. 468
  41. 임진왜란이 장기화되면서 명은 1592년 12월 宋應昌을 총지휘관인 經略으로, 李如松을 東征提督으로 삼아 4만 3천명의 병력을 파견했다. 1593년 1월 8일 明軍은 鮮軍과 연합하여 먼저 평양성을 공격, 일본군 1만여명을 살상하고 성을 탈환했다. 자료검색일: 2008.10.30, 자료출처: http://premium.britannica.co.kr/
  42. 諸橋轍次. 大漢和辭典 卷2. 東京: 大修館書店, p. 2028. : 明 周子文의 字. 無錫 사람. 萬曆(명 神宗 1573- 1615)의 進仕
  4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한국인물대사전. 중앙M&B, pp. 2193-2194. : 智蔡文(?~1026, ?~현종17) - 고려의 무신. 1010년 (현종1)에 中郞將이 되어 거란에 침입하자 和州를 중심으로 동북방면을 방비하다 康兆가 패전하자 西京을 구하기 위해 侍御史 崔昌과 더불어 剛德鎭에 진을 쳤다. 그 뒤에도 거란의 항복 권유에 굴하지 않고 禁軍 50여명과 함께 왕을 호위하였다. 이듬해 거란이 물러난 뒤 공주에서 호종의 공으로 전 30결을 받았고, 1016년 武職으로서 右常侍가 된 뒤 1026년에 상장군 우복야에 올랐다. 현종 때 남행을 호종한 공으로 1031년(덕종 즉위년)에 일등 공신으로 추록되었다
  44. 高麗史 卷94 列傳7 智蔡文: (智蔡文…顯宗元年 補中郞將)…明年正月…王發廣州踰嶺宿鼻腦驛 蔡文奏 扈從將士 皆托尋妻子四散 昏夜恐有賊竊發 請爲幟揷將士冠以辨 從之…至參禮驛 全州節度使趙容謙 野服迎駕…王然之 宿長谷驛 容謙謀欲止王 挾以號令 與轉運使李載巡檢使崔檝 殿中少監柳僧虔 以白幟揷冠 鼓噪而進東國通鑑 高麗 顯宗: 二年 春正月…戊寅王發廣州次鼻腦驛 蔡文奏 扈從將士 皆托尋妻子四散 昏夜恐有姦賊竊發 請爲幟分揷將士冠以辨 從之…壬午 至參禮驛 全州節度使趙容謙以野服迎駕…王然之 直至長谷驛宿焉 是夕容謙謀欲止王 挾以號令 與轉運使李載 巡檢使崔檝殿中少監柳僧虔 以白幟揷冠譟而進
  45. 宣和奉使高麗圖經 第14卷: 旗幟 高麗儀制每齋祭祀天則建十面 各隨其方之色錯繪神物號曰神旗…每旗當用帛數疋…高十餘丈…餘有五方中旗…又有小白旗大不盈掌…象旗…應隼旗…海馬旗…鳳旗…太白旗…五方旗… 方之旗黑一旒 其廣二幅 無繪繡之文…南方之旗赤色一旒 中繪神人…東方之旗靑色一旒 中無繪繡廣狹多少與諸旗相對 西方之旗白色一旒 亦無繪繡…中央之旗黃色一旒 亦無繪繡…小旗 小旗之制紅旒白身 上繪綠雲
  46. 朝鮮王朝實錄 世宗 20年 3月 己酉: 四衛軍士依講武例 笠上揷小標旗以恒式
  47. 朝鮮王朝實錄 文宗 2年 3月 戊戌: 議政府啓…軍中小標旗不可無也 依古制五衛軍士各從本衛之色揷小標旗於冑上則部伍有整 終無失伍之
  48. 朝鮮王朝實錄 世宗 12年 4月 壬辰: 隨駕軍士, 內司禁, 司僕, 三軍鎭撫, 內禁衛一番, 忠義衛一二番, 紅肖旗. 內禁衛二番, 忠義衛三番, 靑肖旗. 內禁衛三番, 忠義衛四番, 白肖旗. 驅獸軍士, 中軍用紅肖旗. 左軍用靑肖旗, 右軍用白肖旗 而各書職姓名爲標. 速古赤鷹師向化人, 隨駕吹螺赤各品伴人, 用紅肖旗
  49. 朝鮮王朝實錄 成宗 22年 5月 己卯: …於頭具竝揷肖旗
  50. 朝鮮王朝實錄 世宗 五禮 嘉禮序例 鹵簿(大駕鹵簿, 法駕鹵簿, 小駕鹵簿)
  51. 朝鮮王朝實錄 世宗 五禮 凶禮儀式 發引班次; 端宗 2年 7月 甲子; 世祖 3年 11月 戊寅; 睿宗 元年 11月 庚辰
  52. 朝鮮王朝實錄 文宗 1年 6月 丙戌
  53. 朝鮮王朝實錄 世祖 13年 6月 丙申
  54. 朝鮮王朝實錄 中宗 34年 9月 丁巳; 宣祖 29年 11月 丙辰; 孝宗 6年 3月 壬子
  55. 朝鮮王朝實錄 世宗 17年 4月 甲寅: 左議政 崔閏德 啓備邊事宜…旗及旗柄 務要輕快 柄兩端着刃
  56. 深井晋司 편집 (1977). イスラー厶美術. 東京: 學習硏究社, 揷圖 127
  57. 文化學園ファッション情報センター 編集 (1992). コ-ト. soen eye no.6, p. 58
  58. 북쪽으로 시베리아, 남쪽으로 티베트.인도.아프가니스탄.이란, 동쪽으로 고비 사막, 서쪽으로 카스피해사이에 위치, 자료검색일: 2008.10.30, 자료출처: http://premium.britannica.co.kr/
  59. 이슬람 신비주의자. 이슬람교도들이 신과의 체험을 통해 신의 사랑을 직접 찾으려는 믿음과 관행의 한 측 면이다. 그들은 예언자의 생활태도와 행동양식을 모방하는 데서 행동의 근간을 찾았고, 절대 신에 대한 믿 음이 매우 강하여 신에게 접근하여 궁극적으로 합일하는 길은 금욕생활을 통해 가능하다고 본다. 자료검 색일: 2008.10.30, 자료출처: http://premium.britannica.co.kr/
  60. 신양섭 (2003). 소련 붕괴 이후 중앙아시아 각 국의 문화정책 연구. 중동연구, 22(1), pp. 108-111
  61. 강길중, 박종현, 정재훈 (2003). 中國 歷史의 理解. 경상대학교 출판부, p. 228
  62. 김희영 (1997). 이야기 중국사 3권. 청아출판사, p. 14
  63. 르네 그루쎄 저, 김호동, 유원수, 정재훈 역. 앞의 책, p. 370
  64. 軍旗(諸橋轍次 (1986). 大漢和辭典 卷5. 東京: 大修館書店, p. 707)
  65. 軍旗로서 싸움터에서 적과 아군을 구별하기 위한 깃발(安田吉實, 孫洛範 (1997). 엣센스 日韓辭典. 民衆書林, p. 585)
  66. 諸橋轍次. 大漢和辭典 卷4. 東京: 大修館書店, p. 935. : 표시를 한 기. 旗標
  67. 諸橋轍次. 大漢和辭典 卷5. 東京: 大修館書店, p. 699
  68. 諸橋轍次. 大漢和辭典 卷4. 東京: 大修館書店, p. 935. : 徽識制如旌旗 書其所任之官與姓名於上 被之於背 以備其死知是誰之戶也
  69. 後漢書 卷19 馮岑賈列傳 第7 注: 中將最尊 自執旗鼓若置營 則立旗以爲軍門 並設鼓
  70. 新唐書 卷第217 列傳第147上 南蠻 上: 以邑落遠近分四軍 以旗幟別四方 面一將統千人 四軍置一將
  71. 新唐書 卷第127 列傳第61 李光弼: 光弼使元禮守羊馬城 植小旗城東北寓
  72. 春秋左傳 魯昭公 21年 冬十月丙寅: 宋師出 廚人濮曰, 吾小人 可藉死而不能送亡君. 乃徇曰, 楊徽者 公徒也, 衆從之
  73. 白英子 (1985). 우리나라 鹵簿儀衛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3
  74. 두산동아백과사전연구소 編 (1996). 두산세계대백과사전, 22. 두산동아, p. 301
  75. 朝鮮王朝實錄 世宗 12年 3月 甲子: 講武時, 三軍甲士內禁衛, 雖有抄旗以標之, 然逐獸遠去, 或去其標, 難以禁防, 由是軍法不嚴. 請自今作章, 書曰, '某軍某番某'. 付之衣背, 則知之易, 而軍法亦整矣
  76. 朝鮮王朝實錄 世宗 12年 4月 壬辰: 講武行幸時, 扈從三品以下軍士及各人, 請皆給章標, 司禁司僕 三軍鎭撫,內禁忠義衛, 速古赤鷹師向化人, 隨駕吹螺赤及僉摠制以上各品伴人, 皆屬中軍, 用紅章貼於胸. 中軍屬, 上大護軍, 護軍, 別侍衛, 左一番ㆍ右一番甲士, 侍衛牌, 別侍衛, 節制使及掌軍節制使伴人, 吹螺赤, 太平簫, 紅章貼於背. 左軍屬上ㆍ大護軍, 護軍, 別侍衛, 左二番甲士, 侍衛牌, 別侍衛, 節制使及掌軍節制使伴人, 吹螺赤, 太平簫, 靑章貼於左肩. 右軍屬上ㆍ大護軍, 護軍, 別侍衛, 右二番甲士, 侍衛牌, 別侍衛, 節制使及掌軍節制使伴人,吹螺赤, 太平簫, 白章貼於右肩. 三章竝用紬布, 縫作方章, 長四寸五分、廣三寸, 各書衛號, 篆書兵曹二字, 鑄印子着標
  77. 朝鮮王朝實錄 文宗 1年 6月 丙戌: 五衛之衆, 皆帖章標於胸腹之間, 長六寸廣四寸, 用布帛尺寸. 各從其衛之色.至於旗, 麾之上, 皆書其號, 幷畫認獸
  78. 朝鮮王朝實錄 世祖 8年 6月 甲戌: 舊例五衛軍士各從其衛之色, 皆帖章標, 近因廢弛, 諸衛軍士區別爲難. 請自今凡行幸及大小講武依舊例, 軍士皆帖章標, 各書衛部職姓名, 以便檢擧
  79. 朝鮮王朝實錄 燕山君日記 10年 5月 癸巳; 同王 10年 8月 己未: 同王 10年 11月 辛卯
  80. 朝鮮王朝實錄 宣祖 25年 6月 丙辰; 同王 25年 7月 癸酉; 同王 26年 2月 甲辰; 同王 26年 2月 丁未; 同王30年 12月 壬戌; 同王 38年 6月 乙卯; 同王 39年 4月己亥; 同王 39年 4月 己亥
  81. 朝鮮王朝實錄 光海君日記 9年 2月 丙午; 同王 10年 4月 癸丑; 同王 12年 10月 己酉; 同王 13年 8月 庚辰
  82. 朝鮮王朝實錄 英祖 6年 4月 辛亥
  83. 朝鮮王朝實錄 正祖 10年 正月 丁卯; 同王 11年 12月壬戌
  84. 朝鮮王朝實錄 高宗 11年 2月 甲戌
  85. 韓國精神文化硏究院. 앞의 책, pp. 178-179. :朝鮮朝에 군사를 교련하기 위해 世宗이 최초로 '陳設'을 찬집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옛 문헌에만 의거하였고 내용이 허술하여, 文宗이 이를 보완하여 만든 것이 '陳法'(1541년)이다. 世祖 때에는 '陳法'을 다시검토하여 세조 1년(1455)에 '小字陳書', 세조 5년(1459)에 '大字陳書'를 인쇄하다. 이 '大․小字陳書'는 그 法이 동일하나 節目의 차이점으로 혼란을 일으키는 모순이 생겨 세조가 1부의 陳書로 만들게 했다. 그 후 성종 23년(1492)에 이를 합해 단일본으로 간행하였고, 이때 간행된 '陳法'을 영조 18년(1742)에 영조가 '御製後序'를 첨가하여 '兵將圖說'로 이름을 고쳐 다시 간행했고, 영조 25년(1749년)에 本書의 체제를 본 따 다시 '續兵將圖說'을 편찬하게 했다. 이처럼 '병장도설'은 여러 세대를 거치는 동안 내용이 많이보완되었고, 그 명칭도 변하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