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이러닝 특성이 학습자의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learning characteristics on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 이헌철 (계명문화대학 경영학과) ;
  • 구본희 (계명문화대학 컴퓨터학부)
  • 발행 : 2009.05.31

초록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교육공학 관점과 정보기술 관점의 통합적 연구모형을 통해 이러닝 특성과 이러닝 학업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시스템 품질, 이러닝 콘텐츠 특성, 상호작용 등을 독립변수로, 이러닝 학업성과를 종속변수로, 학습동기를 매개변수로 설정,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검증해 보았다. 연구를 위해 212명의 사이버 대학 재학생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이러닝 특성 중 기술적 품질 컨텐츠 품질 학사지원 등이 학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이러닝 특성과 학업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학습 동기는 양자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 향후 이러닝 이용자들의 학업성과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이러닝 학습자들의 다양한 수준과 목적을 고려한 강좌 및 강의내용이 적절히 제공되고, 학습자와 이러닝 시스템 간 상호작용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기능이 적극 제공된다면 이러닝의 실질적 유효성을 훨씬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R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s to stipulate the relation between e-learning characteristics and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through the integrated study model of perspective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Using e-learning system quality, e-learning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as dependent variable and learning motivation as mediator, this study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Two hundreds and twelve undergraduates in cyber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filled out questionnaires related to this stud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content's quality, technical quality and the support of school affai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Second, Learning motivation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characteristics and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The meaningfu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o improve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we have to offer e-learners more customized various learning plans, learning contents and interaction between e-learners and e-learning systems.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웅규.이종기. "가상강좌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정보기술, 수업내용, 서비스 품질과 자기 효능감 -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2004.
  2. Noe. R. A. "Trainees attributes and attitudes : Neglected influences on training effectivenes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1, No. 4, pp. 736-749, 1986. https://doi.org/10.2307/258393
  3. Bruner, J. S.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Mass: Harvard Univ Press, 1996.
  4. 김용래, "정의적 특성과 그 선행변인들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 논총, 제9권, 5-109쪽, 1993.
  5. M. Rosenberg, "E-Learning Strategies for Delivering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Mcgraw-Hill, 2001.
  6. M. J. Robson, "Explaining E-Learning to A Stranger," E-Learning, pp. 48-49, Mar. 2002.
  7. 이인숙, "e 러닝 =e-Learning in cyberspace : 사이버 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문음사, 2002.
  8. L. M. Harasim, "On-line Education : A new domain, In R. Mason & A. Kaye(Eds.)." Pergamon Press, 1989.
  9. S. R. Hiltz, "Evaluating the virtual classroom, In L. Harasim(Ed.)," Online Education, New York: Praeger, pp. 133-183, 1990.
  10. A. J. Romiszowski, and R. Mason,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In Jonassen, D. H.(Ed.),"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NY: Prentice Hall International, 1996.
  11. B. H. Khan, "Web-Based Instruction: What is it and why is it? In B. H. Khan(Ed.), Web-Based Instruction."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1997.
  12. 정인성, 임정훈, 최종근, "웹 기반 가상수업 평가연구," 연구보고 98-(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방송통신교육연구소 연구보고서, 1999.
  13. 유평준, "이러닝 평가의 구성요소 및 평가준거에 관한 소고," 산업교육연구, 제9권, 11-75쪽, 2003.
  14. G. Piccoli, R. Ahmad, and B. Ives, "Web-Based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A Research Framework and A Preliminary Assessment of Effectiveness in Basic IT Skills Training", MIS Quarterly, Vol. 25, No. 4, pp. 401-427, 2001. https://doi.org/10.2307/3250989
  15. 김상현, "이러닝 특성과 사용자의 전반적 만족 및 재이용 의향과의 관계,"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6. Y. S. Wang, "Assessment of Learner Satisfaction with Asynchronous Electronic learning Systems",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 41, No. 1, p. 75, 2003. https://doi.org/10.1016/S0378-7206(03)00028-4
  17. 유일, 김재전, 조영만, "웹 기반 온라인 기업교육의 성과에 관한 연구 : L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 5, No. 1, pp. 33-48, 2003.
  18. J. Visser, and J. M. Keller, "The clinical use of motivational Messages: An inquiry into the validity Messages: An inquiry into the validity of the ARCS model of motivational design," Instructional Science, Vol. 19, pp. 467-500, 1990. https://doi.org/10.1007/BF00119391
  19. 김미량, "웹 활용 수업 확산의 장애요인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 학습자의 지각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14권, 제3호, 55-71쪽, 1998.
  20. S. Harter,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ren Development, Vol. 53, pp. 77-87, 1982.
  21. A. E. Gottfried,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7, pp. 631-645, 1990.
  22. J. M. Keller, "Enhancing the Motivation to Learn : Origins and Applications of the ARCS Model," Reprots from the Institute of Education, Tohoku Gakuin University, Vol. 11, pp. 45-67, 1992.
  23. 임규연, "웹 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99.
  24. 임정훈.정인성, "웹 기반 가상수업의 학습자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교육방송연구, 제 5권, 제2호, 151-175쪽, 1999.
  25. 채경민, "웹 기반 사내 온라인 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6. G. Kearsley, "Interaction in the distance learning," A Research Agenda, PA: The Center for the Study of Distance Education, 1995.
  27. 박정숙, "온라인 토익 수업에서의 한국 대학생들의 동기와 성취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2005.
  28. J. Bottomley, and J. Calvert, "Dimensions of value: Estimating the benefits of higher and Distance education programs, In G. Dhanarajan, Economic of distance education," Open Learning Institute Press, Hong Kong, China, pp. 83-103, 1994.
  29. 임정훈, "가상교육. 사이버교육에 관한 개념적 고찰," 교육공학연구, 제17권, 제3호, 165-194쪽, 2001.
  30. 하병환, "이러닝 학습동기 및 학업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1. K. Robinson, "A Handbook of Training Management(2nd ed.)," London: Kogan Page, 1985.
  32.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Issue 6, pp. 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