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n Human Sperm of Adding Aliium sativum to Ojayeonjonghwan Prescription

오자연종환가(五子衍宗丸加) 대산(大蒜)이 인체(人體) 정자(精子)에 미치는 영향

  • Lee, Ju-Young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Sangji University) ;
  • Kook, Yoon-Bum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Sangji University)
  • 이주영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
  • 국윤범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extract which We manufactured by adding Aliium sativum to Ojayeonjonghwan on the amount of semen, the number and the activity of sperm. Methods : We observed any changes in the amount of semen, the number and the activity of sperm after orally administering the test drug for thirty days and taking semen samples from a selected group of men - healthy men in their 20s, as well as men in their 40s who were feeling a decrease in energy. Results : This experiment showed the result that the amount of semen increased by adding Aliium sativum to Ojayeonjonghwan in the case of men in their 20s, bu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t showed the result that the amount of semen in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s well as the activity of sperm. Consequently, the result indicated that orally administering the extract added Aliium sativum to Ojayeonjonghwan increased the amount of semen, the number and the activity of sperm for men in their 20s. Men in their 40s who are feeling a decline in energy generally decreased the amount of semen, the number and the ratio of activity of sperm. However the amount of semen remarkably increased and the number and the activity of sperm increased but the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orally administering the test drug for thirty days. Conclution : Eventually, the result after orally administering the test drug to the group of men in their 20s and 40s for thirty days indicated that both groups increased the amount of semen, number of sperm and activity of sperm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Keywords

References

  1. 신재용. 한방남성건강법. 서울:아침나라. 1992:29-30, 101-3, 185-6.
  2. Sex칼럼 임신을 위한 아빠의 노력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236783
  3. 서영아. '환경호르몬' 당신의 정자 노린다 : 농약-화학물질서 발생...불임-기형 등 원인. 서울:동아일보사. 1998:72-3.
  4. 이섬민. 환경오염이 정자를 죽이고 있다 : 화학물질 호르몬에 영향 평균 정자 반으로 줄어. 서울:한국일보사. 1996:66-8.
  5. 유영식. 환경호르몬. 한국환경관리학회. 1999.1;5(2):331.
  6. 홍율희, 강윤호. 男性不姙症 治療에 관한 考察. 동국대학교 한의학연구소. 1994.1;3:397.
  7. 이천. 의학입문. 서울:대성문화사. 1989;460.
  8. 허준. 동의보감. 서울:남산당. 1987;443, 603.
  9. 김기홍. 오자연종환이 노화유발 흰쥐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대학원. 2005.
  10. 이부태. 오자연종환이 음경조직중의 Nitric Oxide Synthase 활성 및 Nitrite 함량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 대학원. 2001.
  11. 정인명. 오자연종환이 백서의 성호르몬 및 항피로 효과에 미치는 영향. 경산대 대학원. 1999.
  12. 황도연. 방약합편. 서울:남산당. 1991;360.
  13. 박해린. 유방암 세포주 (MCF-7) 에서 마늘 성분 중 diallyl disulfide 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The antiproliferating effect of diallyl disulfide from garlic on th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2001.
  14. 노일협 , 이숙연. 마늘 및 마늘 정유투여가 백서 (白鼠) ( RAT ) 의 간장 및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한국영양학회 한국영양학회지. 1968;1(3):201-10.
  15. 황우익, 손흥수. 마늘중 지용성 성분의 암세포증식 억제효과 연구. 한국영양학회. 한국영양학회지. 1990;135-47.
  16. 강정애, 강정숙. 고 또는 저콜레스테롤 식이를 먹인쥐에 있어서 양파, 마늘이 체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준 및 혈소판 응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한국영양학회지. 1997;30(2):132-8
  17. 백영호. 장시간 운동시 마늘섭취가 항피로 및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5;24(6):970-7.
  18. 최진호, 변대석. 마늘 (Allium sativum L.) 의 노화억제작용에 관한 연구, 마늘과 인삼성분의 비교연구.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구 한국생화학회). 한국생화학회지. 1986;19(2):140-6.
  19. 이영실. 마늘이 동맥경화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1.
  20. 손향은. 마늘성분과 비타민C병용에 의한 항암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21. 손예건. 구기자, 구기엽, 지골피가 고혈압, 고지혈증 및 고혈당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석사논문. 1993.
  22. 윤상주. 백서의 간손상에 의한 구기자의 유리자유기 소거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원 박사논문. 2002.
  23. 김봉수 외 2인. 兎絲子類의 항산화작용에 대한연구. 대한본초학회 대한본초학회지. 1997.6;12(1):67-84.
  24. 박성준. 복분자가 노화유발 흰쥐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
  25. 손종수. 복분자 약침의 항산화 작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1999.
  26. 김병순. 마늘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가열처리에 의한 변화. 동의대학원 동의논집. 1999.8;31(자연과학편):55-61.
  27. Appearance of Sement and sperm concentration http://blog.naver.com/mrchoo21?Redirect=Log&logNo=140015029814
  28. 정액분석 2005.05.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7706941
  29. 1980년대 미국 플로리다 인근 아폽카 호수-dicopol, DDT(타워케미칼 회사의 사고로 유해물질 유출-호수의 악어수 감소, 수컷 악어의 성기 왜소화, 정자활동성 감소 등.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