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linical Study on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of Amenorrhea or Oligomenorrhea with DSOM

한방진단시스템 DSOM을 이용한 무월경 및 희발월경의 변증진단 연구

  • Lee, In-Seon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Bae, Geung-Mee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이인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 배경미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Published : 2009.05.29

Abstract

Purpose: In oriental medicine, doctors have mainly made diagnosis and treatment with amenorrhea or delayed menstrual period based on overall analysis of symptoms and signs patients have. We think patients with amenorrhea or delayed menstrual period to have symptoms that are classified into one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and then studied to make the index.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pattern identifications and classify symptoms according to them. Methods: We examined 52 patients who visited Dong-eui university oriental medical center from June 2005 to February 2009 for undergoing treatment for amenorrhea or delayed menstrual period and made OB & GY questionnaires up Results: We investigated whether the patients had symptoms concerned with symptom types by analyzing the result of DSOM(Diagnos System of Oriental Medicine, hearafter DSOM). It came out 51 cases among 52 with pathogenesis that was related to the symptom types. The symptom types of were surveyed into Insufficiency of Kidney and Liver(肝腎不足), Insufficiency of Qi and Blood(氣血虛弱), Insufficiency of Yin & Dryness of blood(陰虛血燥), stagnation of Qi and Blood(氣滯血瘀), phlegm and damp(痰濕阻滯), coldness of Blood(血寒), Heat of Heart(心火).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ne case did not have symptoms of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of amenorrhea or delayed menstrual period. 29 cases had 1 or 2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21 patients had such complex symptoms of diverse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that it was difficult to diagnose a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in clinical survey. It is necessary to put the priority among the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in diagnosis in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임성민 등. 희발월경에서 무월경으로 진행된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222-228.
  2. 한의부인과학 편찬위원회. 한의부인과학. 서울: 정담. 2002;119-121, 140.
  3.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부인과학제3판. 서울: 칼빈서적. 1997; 152, 153, 475.
  4. 이두룡, 최종무. 무월경 및 희발월경의 원인 분석과 치료. 계명의대논문집. 1995:14(1):74-82.
  5.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서울: 행림출판사. 1978;187, 548.
  6. 李梴. 原本醫學入門(上). 서울: 남산당. 1988;466-467.
  7. 辛珉叔,李京燮,宋炳基. 無月經의 針灸 治療傾向에 關한 文獻考察.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8;11(2):55-66.
  8. 허자경 등. HRV(Heart Rate Variability) 측정을 통한 희발월경 환자의 자율신경기 능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4):101-110.
  9. 이인선, 김미진, 김규곤. 월경량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242-252.
  10. 이인선, 김규곤. 월경통 환자 통증 강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138-159.
  11. 김규곤. 이산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한방진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99;1(1):15-27.
  12. 김규곤, 강창완. 한의학에서의 변증 점수개발에 대한 가중주성분분석의 응용. 응용통계 연구. 1999;12(1):17-28.
  13. 전란희 등. 한방 부인과 자료에서의 수량화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99;1(1):53-63.
  14. 전난희, 이인선. 韓方 婦人科의 辨證類型에 關한 調査硏究.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9;12(1):231-252.
  15. 배경미 등. 한방부인과 변증진단 설문지에 대한 평가와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111-127.
  16. 이인선 등. 한방부인과 진단용 설문지의 病機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2):401-407.
  17. 이인선 등. 한방부인과 진단용 설문지의 신뢰도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3):701-712.
  18. 이인선, 전란희, 김규곤. 한방부인과 진단 설문지에 대한 평가와 연구 (II).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 17(1):160-166.
  19. 이인선 등. 한방부인과 진단설문지의 병기가중치 부여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4):119-135.
  20. 김미진 등. 한방진단설문지 DSOM(r) S.1.1의 신뢰도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5):1146-1153.
  21. DSOM. 한방진단시스템. Diagnosis System of Oriental Medicine. c2005-01-122-004154. 동의대학교(이인선, 김규곤). http://www.dsom.or.kr.
  22. 권혁 등. 설문지 분석법에 의한 肝心 脾肺腎 병의 표준 증상 및 남녀 차이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4):1057-1062.
  23. 동의보감국역위원회. 對譯동의보감. 서울: 법인문화사. 1999;360, 362-364, 371,1589.
  24. 陳自明. 婦人 大全良方. 太原:山西科學技術出版社. 2006;13-14.
  25. 朱震亨. 丹溪心法. 서울: 대성문화사.1993;717.
  26. 張仲景. 金匱要略. 서울: 아울로스출판사. 1994;618.
  27. 양기상 등.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연구(II). 한국한의학연구소. 1996;18, 22, 28, 32, 34, 105.
  28. 張豊强. 中醫名方應用大全(現代方證學). 北京:中國醫藥科技出版社. 1992; 439-445.
  29. 唐興歸,廖泉淸. 中醫方劑問題. 湖南: 湖南科技出版社. 1981;216-217.
  30. 巴坤烋. 方劑學問難. 安徵:安徵科技出版社. 1986;139-141.
  31. 朱桂茹,李世增. 古今名方100對的臨床應用. 北京:中醫古出版社. 1995;161-163.
  32. 동의보감 국역위원회. 동의보감. 서울: 남산당. 1992;147-8, 670, 1588.
  33. 朴義洙. 論證實驗議決. 서울: 일문사.1979;75, 77, 83-85.
  34. 신재용. 방약합편. 서울: 성보사. 1988;273.
  35. 李京燮,宋炳基. 淸胞逐瘀湯 投與患者의 臨床的 考察.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87;1(1):33-37.
  36. 송일병 등. 사상의학. 서울: 집문당. 1997;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