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과대학생의 창의적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경진대회 수상팀을 중심으로

Factors Related To Creative Achievement In Engineering Students

  • 강승희 (부경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Kang, Seung-Hee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9.04.02
  • 심사 : 2009.06.26
  • 발행 : 2009.09.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역-특수성의 관점에서 공학적 창의성을 연구해 보는 것이었다. 기존의 창의성 연구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공학 창의성 영역의 기초연구로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공과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 중 전국 규모의 공학관련 경진대회에서 수상한 경력이 있는 경진대회 수상자14명을 인터뷰하여 그들의 창의적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주제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6가지의 개인적 요인과 2가지의 환경적 요인이 창의적 성취의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요인에는 내적동기, 과제집착력, 도전정신 및 성취동기, 다수의 관련경험, 적극적인 탐구력 및 호기심, 지속적인 노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적 요인에는 훌륭한 팀워크와 교수 및 선배들과의 네트워크가 포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actors related to creative achievement of engineering students. 14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fter finishing all interview,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a thematic approach. As a result, 8 principal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정하, 최인수(2008). 과학적 창의성: 지식의 성장으로서의 창의성에 대한 사례연구. 교육심리연구, 22(3). 537-562
  2. 김경자, 윤준채(2007). 국어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2 -초등학교 4학년 국어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36(0), 143-172
  3. 김명숙((2002). 창의성의 특수성. 교육심리연구, 16(2), 153-172
  4. 김미숙(2005). 중학생 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교육심리연구, 19(2), 477-503
  5. 김부윤, 이지성(2007).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관점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6(3), 292-302
  6. 김선영, 박금미(2008). 자연체험에 기초한 동시 관련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언어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8(6), 143-158
  7. 김영정, 정상준(2005). 자연과 문명의 조화 : 인문,역사 ; 비판적 사고와 토목공학 6 : 예술적 창의성과 과학적 창의성. 자연과 문명의 조화 (구토목-대한토목학회지), 53(8), 126-132
  8. 김영천(2006). 질적연구방법론Ⅰ. 서울: 문음사
  9. 김용희(2006). 음악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초등 창작 학습전략들.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37, 59-81
  10. 김청자(2005). 중등학생의 창의성과 성취동기 및 내재적.외재적 동기와의 상관연구. 열린교육연구, 13(3), 75-99
  11. 김태운(2008). 강건설계방법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실습과정. 공학교육연구, 11(1), 63-74
  12. 김효정(2008). 음악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초등학교음악 수업의 개선 방안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종합예술과 음악학회지, 2(1), 27-52
  13. 박병기, 강현숙(2006). 자기보고형 통합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0(1), 155-177
  14. 백윤수, 이준환, 김은태, 오경주, 박정선, 정지범(2006). 대학 신입생 공학설계과목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성과. 공학교육연구, 9(2), 5-20
  15. 신종호, 이현주, 이태수, 임선영, 윤은희, 황혜영(2007). 연기 전문성 발달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개인의 능력 계발 영향 요인 탐색. 교육심리연구, 21(2), 401-421
  16. 오경미, 장지은, 김희백(2008). 혈당량 조절에 관한 CPS 소집단 활동이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창의성과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 412-427
  17. 오헌석, 최지영, 최윤미, 권귀헌(2007). 과학인재의 성장 및 전문성 발달과정에서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907-918
  18. 유경훈(2006). 창의성과 성취동기 및 내.외적 동기와의 관계연구. 아동교육, 15(3), 71-82
  19. 윤영길(2007). 일반성과 특수성 관점에서 본 축구선수의 창의성.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8(3), 145-164
  20. 윤정진, 김길권(2005). 기본도형을 응용한 유아 미술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연구. 아동학회지, 26(5), 391-409
  21. 이병기, 이기준(1996). 공학의 개념 정립/공학의 개념적 정의 - 과학, 기술에 비교하여 -. 공학교육, 2(4), 5-7
  22. 이성진(1996). 교육심리학 서설. 서울: 교육과학사
  23. 이정규(2003). 창의성 연구에 있어서 영역성과 측정에 대한 문제점 분석연구. 교육심리연구, 17(4), 1-24
  24. 이정규(2005). 창의성의 영역성의 연령집단별 차이. 교육심리연구, 19(1), 291-309
  25. 이종수, 민병권, 윤웅섭, 한재원, 정효일(2008). 체험학습기반의 기초 창의공학설계 교육 및 운영. 공학교육연구, 11(2), 32-41
  26. 이화선, 최인수(2007). 언어 창의성의 과제특수성에 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21(2), 385-400
  27. 정범모(2001). 창의력이란-그 실체와 육성. 서울: 교육과학사
  28. 정지범, 박정선, 백윤수(2005). 대학생들의 창의성 측정을 위한 TTCT의 적용과 학업성취 요소들간의 관계. 공학교육연구, 8(4), 40-51
  29. 정지범, 백윤수, 문일(2004). 이공계 우수 대학생 집단의 창의성과 학업 성적. 공학교육연구, 7(4), 38-44
  30. 정치봉(2009). 수학적 창의성과 직관. 국제수학영재교육세미나, 11-20
  31. 조용환(2008).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32. 하대현(2002). T. Amabile의 창의성 이론에 근거한 동기와 창의성간의 관계 연구. 교육학연구, 40(2), 111-142
  33. 한경희(2008). 공학학의 등장과 그 의미, 발전방향에 대한 탐색. 담론 201, 11(1), 99-131
  34. 한기순(2000). 창의성의 영역한정성과 보편성에 관한 분석과 탐구. 영재교육연구, 10(2), 47-69
  35. 한순미, 김선, 박숙희, 이경화, 성은현(2005). 사람/환경/전략/창의성. 서울: 학지사
  36. 홍순정(1999). 지능과 창의성. 서울: 양서원
  37. Amabile, T. M. (1993). Motivational synergy:Toward new conceptualization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the workplace.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3, 185-201 https://doi.org/10.1016/1053-4822(93)90012-S
  38.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the creativity. Boulder, CO: Westview
  39. Baer, J. (1994a). Why you shouldn't trust creativity? Do you have long term stability? Roeper Review, 30, 183-187
  40. Baer, J. (1994b). Performance assessments of creativity: Do they have long-term stability? Roeper Review, 7(1), 7-11 https://doi.org/10.1080/02783199409553609
  41. Baer, J. (1998). The case for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1(2), 173-177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102_7
  42. Baer, J. (1999). Domains of creativity. In M. A., Runco., & S. R. Pritzker,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pp.591-596). Academic Press
  43.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 77-101 https://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44. Britta, Z. (2006). Linguistic creativity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Southern African Linguistics & Applied Language Studies, 24(2), 235-254 https://doi.org/10.2989/16073610609486419
  45. Chang, P, F., & Hsiau, S. S. (2002). Implementation of an innovative curriculum to cultivate technological creativity in engineering students, Proc. Natl, Sec. Counc. ROC(D), 12(2), 64-72
  46. Charyton, C., & Snelbecker, G. E. (2007). General, artistic and scientific creativity attributes of engineering and music student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9(2/3), 213-225 https://doi.org/10.1080/10400410701397271
  47. Christiaans, H. H. C. M. (2002). Creativity as a design criterio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4(1), 41-54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401_4
  48. Cropley. D. H., & Cropley, A. J. (2000). Fostering creativity in engineering undergraduates. High Ability Studies, 11(2), 207-219 https://doi.org/10.1080/13598130020001223
  49. Diakidoy, I. N., & Spanoudis, G. (2002). Domain specificity in creativity testing: A comparison of performance on general divergent-thinking test and personalities, content specific test.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6(1), 41-61 https://doi.org/10.1002/j.2162-6057.2002.tb01055.x
  50. Erisson, K. A. (2003). The search for general abilities and basic capacities: Theoretical implications from the modifiability and complexity of mechanism mediating expert performance. In R. J. Sternberg., & E. L. Grigorenko (Eds.). Perspectives on the psychology of abilities, competencies, and expertise(pp. 93-12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Ervynck, G. (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Tall, D.(Ed.), pp.42-53,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https://doi.org/10.1007/0-306-47203-1_3
  52. Feldhusen, J. F. (1994). Teaching and testing for creativity In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2nd ed., pp. 1178-1183). NY:Pergamon Press
  53. Feldman, D. H. (1995). Learning and development in nonuniversal theory. Human Development, 38, 315-321 https://doi.org/10.1159/000278337
  54.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Y: Basic Books
  55. Gruber, H. E., & Wallace, D. B. (1999). The case study method and evolving systems approach for understanding unique creative people at work, pp.93-115. In R. J. Sternberg(1999).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Hasirci, D., & Demirkan, H. (2007).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cognition in creative decision making: A creativity model for enhancing the design studio proces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9(2-3), 259-271
  57. Hebert. T. P., & Olenchak, F. R. (2000). Mentors for gifted underachieving males: Developing potential and realizing promise. Gifted Child Quarterly, 44(3), 196-207 https://doi.org/10.1177/001698620004400307
  58. Hennessey, B. A. & Amabile, T. M. (1999). Consensual assessment. In M. A. Runco. & S. R. Pritzker.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347-360 Oval Road, London: Academic Press
  59. Howe, M. J. A. (1999). Prodigies and creativity, pp.431-448. In R. J. Sternberg(1999).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0.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98912
  61. Kaufman, J. C., & Baer, J. (2004). Hawking's Haiku, Madonna's math: Why it's hard to be creative in every room of the house. In R. J. Sternberg, E. L. Grigenko, & J. L. Singer(Eds.),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pp. 3-1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2. Lubart, T. L., & Guignard, J. (2004). The generality-specificity of creativity: A multivariate approach. In R. J. Sternberg, E. L. Grigenko, & J. L. Singer(Eds.),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pp. 3-1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3. Moore, R. M. (2000). Creativity of small groups and of persons working alone.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0(1), 142-143 https://doi.org/10.1080/00224540009600452
  64. Niu, W., & Sternberg, R. J. (2001). Cultural influences on artistic creativity and its evalu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6(4), 225-241 https://doi.org/10.1080/00207590143000036
  65. Plucker, J. (1998). Beware of simple conclusions:The case for content generality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1(2), 179-182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102_8
  66. Prabhu, V., Sutton, C., & Sauser, W.(2008). Creativity and certain personality traits:Understand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0 (1), 53-66 https://doi.org/10.1080/10400410701841955
  67.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 pp. 180–181
  68. Santamarina, J. C. (2005). Civil Engineering Education : Creativity and Engineering -Education Strategies- 자연과 문명의 조화(구 토목-대한토목학회지), 53(12), 85-114
  69. Sriraman, B. (2004).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Mathematics Educator, 14(1), 19-34
  70. Torrance, E. P. (1990). The Torrance test of Creativity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71. Yeh, Y. C. (2004). The interactive influences of three ecological systems on R & D personnel's technological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6, 11-25
  72. Yeh, Y. C., & Wu, J. J.(2006). The cognitive processes of pupils' technological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8(2), 213-227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802_7
  73. Ziegler, A., & Heller, K. (2000). Conceptions of giftedness from a meta-theoretical perspective. In K. Heller, F. Monks, R. Sternberg, & R. Subotnik(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London: Perga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