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Analysis of Recurrent Intussusception and the Pathologic Lead Point in a Single Center

단일 병원에서의 재발성 장중첩증과 병적 선두에 대한 임상적 고찰

  • Lee, Kun-S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 Park, Yun-Joon (Department of Pediatr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이건송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윤준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외과학교실)
  • Received : 2009.08.10
  • Accepted : 2009.08.24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Purpose: Intussusception is the most common cause of intestinal obstruction in young children. Although intussusceptions are easily treated, some intussusceptions with or without a pathologic lead point (PLP) often recu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recurrent intussusceptions (RI), the frequency of the PLP, and correlation between RI with PLP.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44 patients, among 590 patients with intussusceptions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and Pediatric Surgery of Dankook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y 1994 and June 200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overall recurrence rate of intussusceptions in this study was 9.2%. The mean interval between the initial occurrence and the first recurrent attack was 130${\pm}$175 days (range, 12 hours to 3 yea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urrence rate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air, barium, and manual reduction (p=0.131). Eighty-seven cases (92.6%) of RI had a successful reduction by the use of non-operative techniques. A PLP was present in 18 patients (3.0%). The most common PLP was intestinal lymphoid hyperplasia, followed by Meckel's diverticulum, duplication cyst, intestinal polyp, and adenomyoma. The mean number of intussusceptions was 4.7${\pm}$1.9 in 7 patients with PLP,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2.4${\pm}$0.9) patients without a PLP (p=0.023). The mean duration of recurrences was 17.4${\pm}$19.8 months (range, 2 days to 72 months). Conclusion: A careful search for a PLP should be performed to prevent recurrence of intussusception, especially when intussusception has recurred more than three times.

목 적: 저자들은 단일 병원에서 발생한 장중첩증의 환아들 중 재발성 장중첩증의 특성 및 예후 그리고 병적 선두의 유무 및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4년 5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장중첩증으로 단국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및 소아외과에 입원하였던 590명의 환자 중 2회 이상의 장중첩증이 발생한 54명의 환아와 비수술적 정복술에 실패하여 수술을 시행하고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병적 선두가 의심되었던 90명 총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44명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재발성 장중첩증이 있었던 54명의 특성(재발률, 재발 횟수, 첫 재발까지의 기간, 정복술 각각의 재발률)과 병적 선두의 종류, 선두의 위치, 재발의 유무, 진단 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예후는 3회 이상의 장중첩증이 있었고, 2009년 7월까지 전화방문을 통해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Pearson 선형상관분석, Fisher's exact test 그리고 Mann-Whitney 검정을 사용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중첩증의 재발률은 총 590명 중 54명(9.2%)이었다. 54명 중 남아 37명(68.5%), 여아 17명(34.2%)으로 남아에서 2.1배 더 많았다. 초기 중첩증 시 평균 연령은 11.7${\pm}$9.2개월(2~38)이었다. 재발의 빈도는 1회가 35명(64.8%), 2회 10명(18.5%), 3회 3명(5.6%), 4회 3명(5.6%), 5회 1명(1.9%), 6회 1명, 7회 1명이었다. 첫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130${\pm}$175일(12시간~3년)이었다. 재발의 빈도와 처음 재발사이 기간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r=.0.064, p=0.643). 공기 정복술은 118회 시행 후 재발은 77예(65.2%), 바륨 정복술은 21회 시행 후 14예(66.7%), 도수 정복술은 9회 시행 후 3예(33.3%)로 재발률은 바륨 정복술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31). 병적 선두는 전체 590명 중 18명 (3.0%)에서 관찰되었고, 재발성 장중첩증이 있었던 54명의 환자 중에서는 7명(12.9%) 있었다. 병적 선두로는 림프양 증식증이 13예(72.2%), Meckel 게실 2예(11.3%), 중복 낭종 1예(5.5%), 소장 용종 1예, 그리고 선근종 1예가 관찰되었다. 다른 유도 병변으로는 맹장과 말단 회장에 선천성 밴드가 4예가 있었다. 재발성 장중첩증이 있었던 54명 중 병적 선두가 있었던 7명에서 중첩증 횟수의 평균은 4.7${\pm}$1.9회로 47명의 2.4${\pm}$0.9회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23). 3회 이상의 중첩증이 있었고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의 재발의 기간은 평균 17.4${\pm}$19.8개월(2일~72개월)이었다. 수술을 하지 않았던 9명의 재발의 기간은 평균 18.8${\pm}$16.3개월(2일~45개월)이었고 마지막 중첩증 시 평균나이는 32.6${\pm}$16.2개월이었다. 추적관찰 동안 17명 모두 재발은 없었다. 결 론: 병적 선두가 존재하는 환아에서 재발성 중첩증의 빈도가 높으며 3회 이상의 중첩증이 있는 경우는 병적 선두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여 제거술을 시행하거나 비수술적 정복술을 시행하며 추적관찰을 할 수 있다. 추후 중첩증의 재발을 막을 수 있는 치료법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Kliegman RM, Behrman RE, Jenson HB, Stanton BF. Nelson textbook of pediatics. 18th ed. Philadelphia: Saunders Co, 2007;1569-70.
  2. Applegate KE. Intussusception in children: evidence-based diagnosis and treatment. Pediatr Radiol 2009;39 Suppl 2:140-3.
  3. 박문호, 손수민, 최병규, 김여향, 이희정, 최원정 등. 소아 장중첩증의 새로운 임상적 분류의 제안.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2006;9:39-47.
  4. Navarro O, Daneman A. Intussusception. Part 3: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ose with an identifiable or predisposing cause and those that reduce spontaneously. Pediatr Radiol 2004;34:305-12. https://doi.org/10.1007/s00247-003-1028-0
  5. Waseem M, Rosenberg HK. Intussusception. Pediatr Emerg Care 2008;24:793-800. https://doi.org/10.1097/PEC.0b013e31818c2a3e
  6. Daneman A, Alton DJ, Lobo E, Gravett J, Kim P, Ein SH. Patterns of recurrence of intussusception in children: a 17-year review. Pediatr Radiol 1998;28:913-9. https://doi.org/10.1007/s002470050497
  7. 박범철, 김석영, 정수진. 연령에 따른 장중첩증의 임상 양상 및 치료에 대한 비교분석.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2005;8:150-6.
  8. Yoon KY, Kim BH, Park HS, Lee WG, Park CM. A clinical study of recurrent intussusception. J Korean Pediatr Soc 1981;24:445-50.
  9. 이관주, 정재희, 홍민광, 원용성, 안창혁, 송영택. 유발 병변을 동반한 소아 장중첩증. 소아외과 2000;7:126-9.
  10. Smith JL, Helwig EB. Malignant lymphomas of the stomach. Am J Pathol 1958;34(abstr):553A.
  11. Hasegawa T, Ueda S, Tazuke Y, Monta O, Sakurai T, Takahara N, et al. Colonoscopic diagnosis of lymphoid hyperplasia causing recurrent intussusception: report of a case. Surg Today 1998;28:301-4. https://doi.org/10.1007/s005950050126
  12. Selke AC Jr, Jona JZ, Belin R. Massive enlargement of the ileocecal valve due to lymphoid hyperplasia. Am J Roentgenol 1976;127:518-20. https://doi.org/10.2214/ajr.127.3.518
  13. Ranchold M, Lewis KJ, Dorman RF. Lymphoid hyperplasia of the gatrointestinal tract. A study of 26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m J Surg Pathol 1978;2:383-400. https://doi.org/10.1097/00000478-197812000-00005
  14. 문성훈, 한상영, 장채령, 이태영, 이종훈, 노명환 등. 소장에 국한된 결절성 림프양 증식증 2예.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3;26:226-31.
  15. Pang LC. Intussusception revisited: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261 cases, with emphasis on pathogenesis. South Med J 1989;82:215-28. https://doi.org/10.1097/00007611-198902000-00017
  16. Jona JZ, Belin RP, Burke JA. Lymphoid hyperplasia of the bowel and its surgical significance in children. J Pediatr Surg 1976;11:997-1006. https://doi.org/10.1016/S0022-3468(76)80080-2
  17. Nishina T, Tsuchida Y, Saito S, Aoyama Y. Intussusception in infancy and hyperplastic Peyer's patches. Jpn J Pediatr Surg 1981;13:597-604.
  18. McKid J. Case of invagination of caecum and appendix. Edinb Med J 1858;14:793-7.
  19. Ryu BY, Kim TH, Jeon JY, Kim HK, Choi YH, Baik GH. Colonoscopic diagnosis of appendiceal intussusception: a case report. J Korean Med Sci 2005;20:680-2. https://doi.org/10.3346/jkms.2005.20.4.680
  20. Atkinson GO, Gay BB Jr, Naffis D. Intussusception of the appendix in children. Am J Roentgenol 1976;126:1164-8. https://doi.org/10.2214/ajr.126.6.1164
  21. Shteyer E, Koplewitz BZ, Gross E, Granot E. Medical treatment of recurrent intussusception associated with intestinal lymphoid hyperplasia. Pediatrics 2003;111:682-5. https://doi.org/10.1542/peds.111.3.682
  22. Gaisie G, Kent C, Klein RL, Schreiber H. Radiologic characteristics of isolated invaginated Meckel's diverticulum. Pediatr Radiol 1993;23:355-6. https://doi.org/10.1007/BF02011956
  23. 장선모, 강수환, 이정훈, 허영수. 소아 장중첩증의 병리적 유발병변. 소아외과 2000;6:50-5.
  24. Etensel B, Ozkisacik S, Döger F, Yazici M, Gürsoy H. Anomalous congenital band: a rare cause of intestinal obstruction and failure to thrive. Pediatr Surg Int 2005;21:1018-20. https://doi.org/10.1007/s00383-005-1563-x
  25. Champoux AN, Del Beccaro MA, Nazar-Stewart V. Recurrent intussusception. Risks and features. Arch Pediatr Adolesc Med 1994;148:474-8. https://doi.org/10.1001/archpedi.1994.0217005003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