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rior Knowledge, Negative Information and Market Position on the Consumer Attitude about Alliance Apparel Product

의류시장에서 제휴제품에 대한 사전지식, 파트너브랜드의 부정적 정보와 시장 지위가 제휴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황선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 윤지영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 전호경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ior knowledge, the market position and negative information of the alliance apparel product on consumer attitude including preference, purchase intent and utility. Smart wear with MP3 was selected for the alliance apparel product. Negative information was manipulated into two types-product related and brand related negative information. 251 subjects participated for the study. For the data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three 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partner brand has the higher market position, subjects with high prior knowledge revealed preference for the alliance apparel product more. When the partner brand has the higher market position, the subjects who were given the negative information on the alliance apparel product reported preference and utility more than the ones who were given the negative information on the company.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apparel industries should make an effort to establish the positive corporate image as well as to produce high quality apparel product. Also marketers should provide consumers with the knowledge about brand new alliance apparel product.

Keywords

References

  1. 김문숙, 전유진. (2000). 한국 패션유통기업의 전략적 제휴활용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8(1), 15−29
  2. 김세나. (2000). 공동 브랜드 제품들에 대한 브랜드 확장의 반향효과. 한국과학기술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현경. 이문규. (2002). 온라인 공동 마케팅에 대한 소비자평가: 정보처리의 이론적 관점. 소비자학연구, 13(3), 215−243
  4. 마니아를 향한 디자인으로 차별화를 꾀하라. (2005, 3. 2).서울신문, p. 22
  5. 박경애, 박광희. (2004). 패션산업의 전략적 제휴현황. 한국의류학회지, 28(5), 678−689
  6. 박혜원. (1992). 여성기성복 상표이미지의 포지셔닝전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성영신, 김완석. (1998). 소비자 만족/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요인이론의 검증과 확장. 한국심리학회지, 3(1), 1−12
  8. 손영석, 이진용, 채서일. (1996). 제품에 대한 소비자 지식과 광고내용이 확장상표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경영학연구, 25(3), 1−28
  9. 송기은. (1999). 조정변수로서 소비자변수가 의류상표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안희경, 하영원. (2001). 기업브랜드 스테레오타입에 일치하지 않는 정보가 스테레오타입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 16(1), 109−134
  11. 양윤주. (2003). 브랜드 확장 시 브랜드 희석효과를 조절하는 변수들의 역할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18(14), 99−122
  12. 양윤주. (2004). 정보처리동기, 제휴브랜드 시장 지위가 브랜드 희석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33(1), 113−133
  13. 이규승. (2004). 인지도와 관련성에 따른 공동 브랜딩의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이병철. (1991). 모 브랜드에 대한 부정적 정보유형이 소비자의 확장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정찬진, 박재옥. (1998). 패션시장에서 모 상표에 대한 지식이 확장상표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2(3),407−416
  16. 정훈실. (2007). 패션산업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영역간의 콜레보레이션.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최윤정. (2003). 확장제품 실패의 부정적 피드백에 영향을 미치는 귀인과정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최일경, 고애란. (1995). 혜택세분화와 인식도에 의한 진의류 브랜드 이미지 연구 (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19(5),699−712
  19. 하환호, 이영일. (2005). 시장 지위를 고려한 광고 제시순서와 소구유형이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16(4), 155−181
  20. 홍원표, 황진숙. (2006). 패션기업의 제휴실태와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30(7), 1001−1011
  21. 황부영. (1998). 전략적 자유도에 입각한 효율적인 사업전략을 위한 마케팅. 제일기획 커뮤니케이션, 20−29
  22. 2005 MP3 판매현황. (2006). 전자정보센터. 자료검색일 2006,11. 12, 자료출처 http://www.eic.re.kr
  23. Alba, J. W. & Hutchinson, J. W. (1987). Dimensions of consumer experti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 411−454 https://doi.org/10.1086/209080
  24. Anderson, S. P. & Leruth, L. (1993). Why firms may prefer not to price discriminate via mixed bund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rganization, 11(1), 49−61 https://doi.org/10.1016/0167-7187(93)90035-B
  25. Bettman, J. R. & Sujan, M. (1987). Effects of framing on evaluation of comparable and noncomparable alternatives by expert and novice consume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2), 141−154 https://doi.org/10.1086/209102
  26. Blair, M. E. & Innis, D. E. (1996). The effects of product knowledge on the evalution of warranted brands. Psychology and Marketing, 13(5), 445−457 https://doi.org/10.1002/(SICI)1520-6793(199608)13:5<445::AID-MAR1>3.0.CO;2-9
  27. Gammoh, B. S., Voss, K. E., & Chakraborthy, G. (2006). Consumer evaluation of brand alliance signal. Psychology and Marketing, 23(6), 465−486 https://doi.org/10.1002/mar.20130
  28. Gurhan-Candi, Z. & Maheswaran, D. (1998). The effects of extensions on brand name dilution and enhancemen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5, 464−473 https://doi.org/10.2307/3152165
  29. Hoch, S. J. & Delighton, J. (1989). Managing what consumers learn from experience. Journal of Marketing, 53, 1−20
  30.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onsu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 1−22
  31. Rao, A. R. & Rueker, R. W. (1994). Brand alliances as signals of product quality. Sloan Management Review, 36(Fall), 87−97
  32. Romeo, J. B. (1991). The effect of negative information on the evaluations of brand extensions and the family brand.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8, 399−406
  33. Simonin, B. L. & Ruth, J. A. (1998). Is a company known by the company it keeps? Assessing the spillover effects of brands alliances on consumer brand attitud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5, 32−42
  34. Weinberger, G. T., Allen C. T., & Dillon, W. R. (1981). The consumers union/chrysler controversy. Journal of Advertising, 10(4), 20−28 https://doi.org/10.1080/00913367.1981.10672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