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Murine Neuro-2a (N2a) cells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investigation of neuronal differentiation, trophic interaction and neurotoxic effects of various compounds and their associated mechanisms. N2a cells have many genomic variations such as gains or losses in DNA copy number, similar to other neuroblastoma cells, and no systematic or high-resolution studies of their genome-wide chromosomal aberrations have been reported. Presently, we conducted a systematic genome-wide determination of chromosomal aberrations in N2a cells using a high-throughput, oligonucleotide array-based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oaCGH) technique. A hidden Markov Model was employed to assign each genomic oligonucleotide to a DNA copy number state: double loss, single loss, normal, gain, double gain and amplification. Unlike most neuroblastoma cells, Mycn amplification was not observed in N2a cells. In addition, these cells showed gain only in the neuron-derived neurotrophic factor (NF), while other neurotrophic factors such as glial line-derived NF and brain-derived NF presented normal copy numbers. Chromosomes 4, 8, 10, 11 and 15 displayed more than 1000 aberrational oligonucleotides, while chromosomes 3, 17, 18 and 19 displayed less than 20. The largest region of gain was located on chromosome 8 and its size was no less than 26.7 Mb (Chr8:8427841-35162415), while chromosome 4 had the longest region of single deletion, with a size of 15.1 Mb (Chr4:73265785-88374165).
신경아세포종은 미분화된 신경외배엽 세포로부터 유래한 신경능세포에 의해 형성된 소아기에 보는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악성 종양 중 하나이다. 신경아세포종인 Neuro-2a 세포는 신경세포의 분화, 세포사 억제 효능, 세포독성 검정 등에 활용되고 있다. Neuro-2a 역시 다른 신경아세종과 같이 염색체 변이를 가지고 있지만, 이에 대해 고밀도의 게놈수준에서 염색체 변이에 대해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고집적 마이크로어레이(최소 43,000 개의 코딩, non-코딩 유전자 서열이 집적된 마이크로어레이)기반의 비교유전체보합법을 활용하여, 고해상도의 Neuro-2a 유전체 이상을 분석하였다. 마이크로 어레이 데이터는 Hidden Markov Model을 활용하여, 유전체 변이를 double loss, single loss, normal, single gain 그리고 amplification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Neuro2a는 MYCN 유전자의 증폭은 관찰되지 않았고, GDNF, BDNF, NENF등의 neurotrophic factor 가운데 NENF의 gain 현상이 관찰 되었다. 염색체의 이상은 4,8,10,11,15번에서 발견되었으며, 염색체 3,17,18,19에서는 전부 20개 미만의 염색체 이상이 발견되었다. 염색체 이상이 연속적으로 일어난 부위 중 gain으로서 가장 긴 부분은 Chr8:8,427,841-35,162,415의 약 26.7 Mb이며, single loss로서 가장 긴 곳은 Chr4:73,265,785-88,374,165의 약 15.1 Mb였다. 염색체의 위치는 UCSC 데이터베이스 (UCSC mm8, NCBI Build 36)에 근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