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cquisition Scheme of North Korea Geospatial Information

접근불능지역 공간정보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박홍기 (경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For the economic cooperation and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reference information of natural and environment resources is indispensable. It will require to collect the comprehensive geospatial information of whole country of the north korea for the unification as well as important areas in commercial purposes. The geospatial information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are based on korean peninsula geo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linking the NSDI. In this study, through the research of the digital map coordinate systems and map grid systems in our and other countries, I suggested the coordinates system and presented the map grid and index system on behalf of the integration of south and north ones as the reference information for korean peninsula geo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대북관련 사업을 위해 천연자원과 환경자원에 대한 기반정보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경제적인 목적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북한의 주요지역 정보는 물론이고 앞으로 다가올 통일을 대비하여 북한 전역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공간정보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북한과 남한의 공간정보는 국가공가정보기반과 연계되어 활용될 수 있는 한반도 공간정보기반에 그 뿌리를 두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국가들의 수치지도 좌표계와 도곽체계를 분석하여, 한반도 공간정보기반을 형성하기 위한 기초정보로서 좌표계와 도엽체계에서의 남북한 통합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지리원 (2001), 수치지도 좌표계전환 연구(I), 연구보고서
  2. 국토지리정보원 (2007), 접근불능지역 지리정보구축 중장기 기본계획 수립. 연구보고서
  3. 김상욱 (2003), 지형조건을 고려한 북한지역 산림황폐화 변화조사, 북한과학기술연구, pp. 267-282
  4. 박홍기 (2001), 우리나라 수치지도 도엽체계의 개선방안,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9권, 제 4호, pp. 343-355
  5. 사공호상, 박진형 (2005), SPOT-5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지역 지리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8권, 4호, pp. 134-142
  6. 사공호상, 서기환 (2007),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지역 토지이용실태 조사 : 평양시를 사례로, 국토연구,제 54권, pp. 175-189
  7. 사공호상, 한선희, 박진형, 서기환 (2004),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지역 지리정보 구축 실험연구,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7권, 4호,pp. 46-56
  8. 사공호상, 이상준, 김미정, 서기환 (2006), 남북교류증진을 위한 북한지리정보 구축방안 연구, 국토연구원보고서
  9. 오령호, 조일광 (2006), 공간정보체계구축에서 표준도곽자료기지 구성에 대한 연구, 지질 및 지리과학, no 2, pp. 19-21
  10. 오령호, 차현주 (2004), 지상기준점자료의 표준화, 규범화에 대한 연구, 지질 및 지리과학, no 2, pp. 35-37
  11. 이근수 (2003), GIS를 이용한 북한지역 산업단지 적지분석, 북한과학기술연구, pp. 283-305
  12. 이민부 (2005),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북한의 환경변화와 자연재해 분석, 북한과학기술연구, pp. 123-144
  13. 최윤수, 박홍기, 이호남 (2006), 남북한 측량제도 및 지리정보 통합방안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제 24권, 제 2호, pp. 193-200
  14. 최태성, 장세범 (2001), 1:20만 국토자원 및 환경정보체계의 기초자료기지 건립방법에 대한 연구, 지질 및 지리과학, no 4, pp. 20-23
  15. 환경지리정보서비스, egis.me.go.kr,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