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textuality between Comics and Films : A Case Study of

만화의 영화로의 전환 : 영화 <식객>의 사례연구

  • 박승현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 이윤진 (경성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Most films have not made by original storytelling. They get their storylines and themes from diverse sources such as novels, comics, performing arts, and previous film products. Comics have become a primary source for film production since 1960s in such nations as Japan and USA. In the contemporary period, this becomes a more visible tren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and France. Unlike novel, comics combine words with images. Since a comic strip isa graphic medium in which visible images are created in order to express a sequential narrative, it seems more relevant when films adapt original comics in order to recreate new products. The progress of 3D graphics technology enables film creators to realize imagined images in screen, most of which were once imagined only in comics. Keeping an eye on the strength of comics, this study tries to tr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mic strip and its adaptation to film. It will firstly discuss the cases of comics in Korea, which are adapted to film in Korea. And this study will discuss "Le Grand Chef"as a case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original comics and film adaptation.

영화는 오리지널 시나리오에 의해서만 제작되는 것은 아니다. 영화는 그것의 스토리를 소설, 만화, 연극 등의 공연예술, 그리고 이전에 제작된 영화 등 다양한 곳으로부터 차용한다. 그 중 만화는 1960년대 이후 점차 스토리 원천으로서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만화가 말과 이미지가 융합된 표현매체라는 점에서 다른 형태의 스토리 원천보다 영상화작업에 좀 더 적합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컴퓨터 그래픽의 발전으로 인해 만화에서만 구현될 수 있었던 상상의 세계가 영화에서도 실현이 가능해지면서 만화의 이미지는 만화 내에서만 머물려있지 않게 된다. 본 논문은 만화와 그것의 영화로의 전환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에서 진행된 만화의 영화화 작업의 사례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허영만의 <식객>을 하나의 사례 연구로 삼아서 만화와 영화 사이의 상이한 점들을 분석하면서 만화와 그것의 영상물로의 전환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