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Digital Media Literacy for Knowledge Sharing

지식공유 촉진을 위한 디지털 미디어 활용능력에 관한 연구

  • Kim, Seong-Hee (Dep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Chung-Ang University) ;
  • Lee, Hyung-Mi (Dep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Chung-Ang University)
  • 김성희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이형미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Digital literacy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discourses on the knowledge sharing on the campus. This article analyzed 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of knowledge-sharing capabilities in the university. As a result, digital literacy was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student knowledge-sharing capabilities in the university studied. Results show that video and animation literacy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nd image literacy is the second-most influential factor for student knowledge-sharing. Those results can be used as a framework for developing digital literacy program.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디지털 리터러시가 가지는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C대학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활용능력수준을 측정 한 후 정보공유의 촉진과 디지털 미디어 활용능력과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영상 및 애니메이션기반 기술 활용능력'은 '정보공유'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으며, 다음으로 '그래픽 및 사진', '오디오', '텍스트기반 기술 활용 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는 대학 내 정보센터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 교육과 관련된 정책 및 의사결정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만. 2001. 정보교육의 문화적 담론. 한국정보학회지, 35(3): 79-92.
  2. 국립중앙도서관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편. 2007. 디브러리 이용자 공간 구축. 디브러리 총서, 4.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김기태. 2008. 디지털 격차해소와 미디어 리터러시. 한국방송학회 OECD장관회의 연계 학술행사, 2008년 6월 16일-17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센터].
  4. 김민하. 2003. 디지털 리터러시 체크리스트문항개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학과.
  5. 김아미. 2008. 디지털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 시의 재개념화. 한국방송학회 OECD장관회의 연계 학술행사, 2008년 6월 16일-17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센터].
  6. 김양은. 2001. 매체 발달에 따른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 – 미디어교육의 개념 확장을 위한 시론적 연구 -. 중앙대학교 언론연구소 언론연구, 10집: 61–86.
  7. 목영해. 2002. 디지털 문화와 교육. 서울: 문음사.
  8. 성동규. 2002. 사이버커뮤니케이션. 서울: 세계사.
  9. 유영만. 2001. eLeaning과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학습능력. 산업교육연구, 8: 83-107
  10. 유지연. 2001. 지식기반사회에서의 e-learning 현황 및 전망. 정보통신정책, 285호.
  11. 이형미, 김성희. 2006. 대학 강의자원 공유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4): 295-315. https://doi.org/10.3743/KOSIM.2006.23.4.295
  12. 이호영. 2005. 21세기 한국메가트렌드 시리즈2: 디지털 미디어의 사회적 사용에 관한 연구. IT의 사회.문화적 영향 연구, 2005(88).
  13. 정현선. 2004. 디지털 리터러시의 국어교육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21: 5-42.
  14. 한국인터넷진흥원. 2007. 2007년 상반기 인터넷 이슈심층조사 보고서. UCC이용실태조사.
  15. Bawden, D. 2001.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ies: A Review of Concepts." Journal of Documentation, 57(2): 218-259.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7083
  16. Beagle, Donakl. 1999. "Conceptualizing and Information Commain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5(2): 82-89. https://doi.org/10.1016/S0099-1333(99)80003-2
  17. Beatty, Susan., Peggy, White. 2005. "Information Commons: Models for eLiteracy and Integration of Learning." Journal of eLiteracy, 2: 2-14.
  18. Davenport, T. H & Volpel, S. C. 2001. "The rise of knowledge towards attention management." Journal of Knowlege Management, 5(3): 212-221. https://doi.org/10.1108/13673270110400816
  19. Dr. Russ Bailey & Barbara Tierney Powerpoint. 2006. "Desiginig ICs as dynamic learning spaces for the net generation." ALA Annual conference information interest group, New Orleans.
  20. Haas, Leslie., Jan, Robertson. 2004. "The Information Commons." SPEC Kit281, ARL, [cited 2009. 01. 01]. .
  21. Ofcom(Office of Communication). 2004. Strategies and priorities for the promotion of media literacy: a statement. London: Ofcom.
  22. Paul, Gilster. 1999. 디지털 리터러시. 김정래 역. 서울: 해냄출판사.
  23. Tyner, Kathleen. 1998. Literacy in a Digital Worl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Age of Information.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nd Assoc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