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ory Study on Urban Parks and Green Space System in Terms of the Open Space Network - Focused on the City of Daejeon -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측면에서의 도시공원녹지체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a plan to build an open space network system in the city of Daejeon, assuming that parks and the green space system as a broad concept are to make a network by connecting open spaces such as parks, green spaces, squares, pedestrian roads, historical spots, etc. In the case of old downtown in Daejeon,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n open space network in the city of Daejeon and categorize them according to the findings from examining the case area, which enables to make a plan for building an open space network system in Daejeon. As a result, public offices and business buildings as an active open space have public open spaces in front of buildings and these front public open spaces are connected to pedestrian roads(gray open space). Since these pedestrian roads are consequently connected to large parks and rivers(green or blue open space), this overall spatial sequence can form an open space system. In addition, parks and green spaces, which have been fundamental elements so far, exist in relatively small and scattered areas at the center of the city. Hence, more parks and green space are needed to improve a park and green space system.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create new parks and green spaces in downtown, especially in old downtown areas. Therefore making an open space network system which spreads out over the whole city will form a healthy open space network in the downtown area.

본 연구는 공원녹지체계를 광의의 개념으로서 오픈스페이스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라고 설정하고, 그 방법론을 모색하고 실증적으로 대전광역시 도심지역에 적용하였으며, 그 적용 결과에 기초하여 대전광역시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대전광역시 구도심을 대상으로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며, 둘째, 사례지역의 결과를 토대로 대전광역시의 오픈스페이스 유형별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함으로써 대전광역시 오픈스페이스네트워크를 구상토록 하였다. 연구결과로서, 활동오픈스페이스 요소인 관공서 및 업무시설들은 자체적으로 또는 건물 전면부에 공개공지가 조성되어 있고, 이들 전면부 공개공지는 보행로(그레이 오픈스페이스)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보행로는 결과적으로 대규모 공원이나 하천(그린 및 블루 오픈스페이스)으로 연결되어, 통합하여 하나의 공간체계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 중심부에는 그동안 공원녹지체계의 기본적 요소라고 할 수 있는 공원과 녹지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공원녹지의 추가적 확보가 이루어져야 공원녹지체계의 개선이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도심부에 새로운 공원녹지의 신규조성은 매우 어렵다는 전제하에 도심부에 마치 실핏줄처럼 분포하고 있는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체계로 접근할 경우, 도심부에 보다 건강한 휴식공간체계가 형성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상준(1983) 녹지공간의 개발과 보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1(1): 73-91
  2. 권상준, 심경구, 김유일(1994) 도시근린공원의 도달거리와 포착력에 관한 계량모형. 한국조경학회지 22(1): 149-178
  3. 김광호(2004) 생태적 매트릭스의 치유도시설계.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0(2): 155-159
  4. 김안제(1979) 김안제. 서울: 전영사
  5. 김수봉(2004) 공원녹지정책. 서울: 대영문화사
  6. 나정화, 사공정희(2002) 녹지연계망 조성을 위한 거점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9(6): 37-49
  7. 노태욱(2001) 도시공원, 녹지의 현황과 과제. 도시정보 2: 4-19
  8. 박미호, 이명우(2002)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녹지보전과 녹화추진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0(2): 23-39
  9. 박상헌(2004) 도시녹지 네트워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10. 박찬규, 주종원(1990) 도시근린공원의 이용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6(2): 213-226
  11. 부산발전연구원(2005) 부산시 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12. 성현찬, 신지영(2005) 도시공원의 접근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2): 83-91
  13. 손상락, 윤병구(2002) 도시민의 공원녹지의식에 의거한 공원녹지정책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4): 59-82
  14. 안동만, 최형석, 김인호, 조형준(1991) 도시오픈스페이스의 접근성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4): 17-28
  15. 안봉원, 권상준, 김용수, 김유일, 이규목, 임승빈, 황기원(1989) 조경계획론. 서울: 문운당
  16. 이규목(1990) 제2의 오픈스페이스 유형과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장소성. 한국조경학회지 18(3): 192-193
  17. 이동근, 성현찬, 윤소원(1998) 도시녹지공간의 양적 목표치 설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4): 158-170
  18. 이범규(2008) 중앙로 대중교통전용지구 타당성 및 기본구상. 대전발전연구원
  19. 이성환(2004) 서울시 노원구의 녹지 네트워크 설정 및 생태적 구조개선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양성우, 정혜진, 최지영, 김기호(2007) 도시그린웨이 네트워크를 위한 계획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3(6): 209-220
  21. 홍광표(1985) 오픈스페이스 체계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3(1): 100-114
  22. Abercrombie, P.(1944) Greater London Plan. London: HMSO
  23. Little, C. E.(1968) Challenge of the Land, London: Pregamon Press
  24. Little, C. E.(1990) Greenways for America.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25. Lee, D. G., Im, S. B., Ahn, T. M., Choe, Y. C., Lee, S. W., Kim, E. J.(2007) Ecological urban planning and design: An application to Hai Phong City, Vietnam. Journal of the KIEAE 7(3): 3-10
  26. Kirkwood, N. G.(2003) The Art of Greenway Design: Precedents, Practices and Projects
  27. Lynch, Kevin(1971) Site Planning. MIT Press
  28. Turner, Tom(1998) Landscape Planning and Enviromnetal Impact Design.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