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Exterior Space by Promotion Type in Elementary Schools

설계사업방식에 따른 초등학교 외부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School Design in the future will be more important on exterior space plan. However,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or boundary regarding exterior space, and related regulations and guides define the essential factors on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 guideline for the concept of exterior space in elementary school buildings, and deducted strong and weak points by evaluating exterior space based on each business methods. A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ggest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on exterior space design of elementary school buildings by comparative analysis of positive and weak points for each evaluation factors.

Keywords

References

  1. 이남수, 중등학교 교내 정원의 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95
  2. 장대희, 초등학교 외부공간의 환경친화적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4
  3. 하소영, 소규모 초등학교의 외부공간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008
  4. 조도연, 사례를 통한 학교시설 외부공간에 대한 소고,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008
  5. 강은주, 친환경인증학교의 생태 면적율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 2009
  6. 강만호 외, 초등학교 외부공간의 사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광주광역시내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건축학회논문집, 2000
  7. 이정우, 일본 초등학교 교사동 내외부의 영역별 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004
  8. 이선영, 아동의 장소성 구축 가능성으로 본 초등학교시설의 외부공간계획 분석, 사용자 점유이전의 공간계획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