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resent Status for the Monitoring of land Use and Land Cover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모니터링 위한 현안 분석

  • Lee, Kyu-Sung (Department of Geoinformatic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 Yoon, Yeo-Sang (Department of Geoinformatic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 Kim, Sun-Hwa (Department of Geoinformatic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 Shin, Jung-Il (Department of Geoinformatic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 Yoon, Jong-Suk (Land Monitoring Research Center, Inha University) ;
  • Kang, Sung-Jin (Department of Geoinformatic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이규성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윤여상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김선화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신정일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윤정숙 (인하대학교 국토모니터링기술개발연구센터) ;
  • 강성진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ze possible problems encountered with the existing data for the monitoring of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further, to provide technical alternatives for the future land monitoring over the area. The oldest type of non-spatial data related to the land use change are cadastral statistics obtained since 1911. Annual statistics of cadastral data in early years (before 1942) can be used to assess land use change over the area. However, the cadastral statistics after the Korean War are not very appropriate for land use monitoring since the land class in cadastral data does not always correspond with actual land cover status. Majority of spatial data available for land monitoring over the area are land cover maps classified from satellite imagery since early 1970's. To analyze the suitability of land cover maps that were produced by two separate institutes with about 10 years interval, we conducted simple change detection analysis using these maps. These maps were not quite ready to be compared each other, in which they did not have the same class definition, classification method, and geometric registration. To achieve continuous and effective monitoring of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particularly over North Korea, we should have a standard scheme in type and season of satellite imagery, image classification procedure, and class definition, which also should correspond to international standards.

본 연구는 한반도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모니터링에 필요한 현존 자료의 특성과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한반도 전역의 국토모니터링을 위한 기술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반도 토지이용과 관련된 비 공간자료는 1911년부터 집계된 지적통계자료가 있다. 초기의 연도별 지적통계자료는 토지이용 변화의 추세를 가늠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분단 이후의 자료는 지목과 실제 토지이용 상태의 불일치로 토지 이용 모니터링에 직접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반도 토지 이용 및 토지 피복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공간자료는 1970년대 이후 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제작한 토지피복도가 주를 이루고 있다. 두 기관에서 독자적으로 제작된 서로 다른 시기의 북한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토지피복변화를 분석한 결과, 사용된 위성영상의 계절별 차이와 위성영상 분류과정에 적용된 분류등급과 분류방법의 불일치 등으로 직접 비교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지속적인 한반도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모니터 링을 위한 토지피복도 제작은 위성영상의 계절적 조건, 분류방법, 좌표등록 등에 호환성이 보장되도록 단일의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아울러 국제적인 토지피복 분류등급이나 정확도에서도 호환성을 갖추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7. 건설교통통계연보
  2. 국립지리원, 1999. 토지이용현황도, 및 도로망도 제작
  3. 국립지리원, 2000. 토지이용현황도 수치지도화사업-총괄보고서
  4. 국토연구원, 2005. 북한의 국토개발 및 관리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5. 경인문화사, 1997. 최신 북한오만분지일 지형도
  6. 김주훈, 이충대, 김경탁, 최윤석, 2007. WAMIS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토양유실량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 122-131
  7. 김홍식, 궁도박사, 이영훈, 박석두, 조석곤, 김재호, 1997. 조선토지조사사업의 연구, (주)민음사. pp. 13-22
  8. 농림부, 2002. 북한의 농업기반 특성과 정비방안 연구
  9. 농림부, 2006. 임진강 유역의 농업기반 실태와 남북한 협력방안 연구
  10. 농림부, 2008. 농림통계연보, 각년호
  11. 대한지적공사, 2005. 한국지적백년사
  12. 리진호, 1989. 대한제국 지적 및 측량사 (증보), 토지, 321p
  13. 리진호, 1999. 한국지적사, 도서출판 바른길
  14. 박근애, 이미선, 김현준, 김성준, 2005. 시계열 항공사진과 20세기 초 지형도를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하천형태 및 하천부지 변화추세 분석, 한국수자원학회지, 38(5): 379-390 https://doi.org/10.3741/JKWRA.2005.38.5.379
  15. 박종화, 1992. Landsat 녹색식생지수를이용한서울시도시 녹지변화조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8(1): 27-43
  16. 변병설, 윤갑식, 2001. 통일시대에 대비한 국토환경관리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17. 배선학, 2007. 1910년대 지형도를 이용한 근대화 이후의 도시변화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3): 93-103
  18. 배재수, 1997. 일제의 조선 산림정책에 관한 연구: 국유림정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90 p
  19. 이규성, 1994. Vegetation Cover Type Mapping Over The Korean Peninsula Using Multispectral AVHRR Data, 한국임학회지, 83(4): 441-449
  20. 이규성, 정미령, 윤정숙, 1999. 북한 지역 산림면적 변화의 규모와 특성, 한국임학회지, 88(3): 352-363
  21. 이성구, 2004. MODIS 시계열 영상을 이용한 한반도 토지피복 분류,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2. 이승호, 정성학, 송장호, 1998. 원격탐사에 의한 북한의 산림자원조사, 산림과학논문지, 58: 1-13
  23. 전성우, 1999.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24. 최진용, 2007. 시계열 위성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의 농업용수 수요량 추정, 공공기술연구회 연구 보고서
  25. 통계청, 2009.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26. 통계청, 2006. 한국통계조사현황, I권-III권
  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0. 토지이용현황도 수치지도화 사업-활용도 제고방안 연구 보고서
  28. 행정자치부, 2008. 지적통계연보
  29. 황순욱, 1997. NOAA/AVHRR 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 지피식생 및 농경지 모니터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환경부, 2002.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지도 구축
  31. 환경부, 2005. 인공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지도 구축
  32. 환경부, 2009. http://www.me.go.kr/
  33. 홍형표, 2006. 전국 유역조사의 추진성과 및 지속시행계획, 물과 미래, 39(6): 40-47
  34. Cha, S. and C. Park, 2007. The utilization of google earth images as reference data for the multitemporal land cover classification with MODIS data of North Ko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3(5): 483-491 https://doi.org/10.7780/kjrs.2007.23.5.483
  35. Green, K., D. Kempka, and L. Lackey, 1994. Using remote sensing to detect and monitor landcover and land-use change,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0(3): 331-337
  36. Jensen, J. R., 1996. Introduction digital image processing, Prentice Hall
  37. NASA, 2009. Land cover land use change (LCLUC) program, http://lcluc.umd.edu
  38. Muchoney, D. M. and B. N. Haack, 1994. Change detection for monitoring forest defoliation,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0(10): 1243-1251
  39. Strahler A., 1999. MODIS Land Cover Product Algorithm Theoretical Basis Document, NASA
  40. Tateishi, R., 2001. Proposal of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for Land Cover/Land Use Mapping for Global/National Applications, Proc.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대한원격탐사학회, pp. 252-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