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통합치료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Play in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김진미 (Sensory Power 아동.청소년 감각통합연구소) ;
  • 김경미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Kim, Jin-Mi (Sensory Power Research Center for Sensory Integration and Behavior Improvement) ;
  • Kim, Kyeong-Mi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투고 : 2008.11.14
  • 심사 : 2008.12.10
  • 발행 : 2009.08.11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 사회성, 작업수행도 및 작업만족도, 감각처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4~7세의 감각조절장애 아동 5명으로, 실험기간은 2008년 6월에서 11월까지이었다. 감각통합치료는 주 2회(매50분), 총 48회기를 실시하였다. 놀이, 사회성, 작업수행도 및 만족도, 감각처리를 측정하기 위해 Revised Knox Preschool Play Scale(RKPPS), 사회성숙도 검사,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Japanese Sensory Inventory Revised(JSI-2)를 사용하였다.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RKPPS, 사회성숙도, COPM, JSI-2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감각통합치료 전과 후의 RKPPS(Z=-2.023, p=.043), 사회성숙도(Z=-2.023, p=.043), 작업수행도(Z=-2.023, p=.043) 및 만족도(Z=-2.032, p=.042), 그리고 JSI-2 중 촉각계(Z=-2.032, p=.042)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가 촉각계 처리와 같은 작업수행요소뿐 아니라 놀이, 사회성과 같은 작업수행영역에도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감각통합 평가 및 중재 시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에 대해 고려해보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고, 다양한 환경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수를 고려하고, 외적 변인을 제한하며,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자료수집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 of a sensory integration (SI) intervention on sensory processing of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SMD), and to explore how the SI intervention affect play, socializati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of those children. Method : Fi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ving in metropolitan were diagnosed as SMD by the Sensory History Interview (SHI) and Short Sensory Profile (SSP). The SMD children undergone the 48 sessions of 50 min intervention twice in a week for six months and took the Revised Knox Preschool Play Scale(RKPPS), Social maturity test,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and Japanese Sensory Inventory Revised(JSI-2)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 data analyzed by the 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 Results : All data of post-intervention differed significantly; RKPPS(Z=-2.023, p=.043), Social maturity test(Z=-2.023, p=.043); occupational performance(Z=-2.023, p=.043); satisfaction(Z=-2.032, p=.042); and tactile system of JSI-2(Z=-2.032, p=.042). Conclusions : The results advocate that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tactile processing, play, socializati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of child with SMD. It is found that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mproves not only one's occupational performance but also underlying components of the performance. In order to generalize this conclusion, further studies need to be done with more number of subjects and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Striving for more reliable and valid methods of data collection is also sugges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