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돌산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농어(Lateolabrax japonic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ateolabrax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f Dolsan-do, Yeosu

  • 허성회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 박주면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 박세창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 정달상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박찬일 (경상대학교 해양생물교육연구센터, 해양산업연구소) ;
  •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생물교육연구센터, 해양산업연구소)
  • Huh, Sung-Hoi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o Myun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Se Chang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eong, Dalsang (South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Park, Chan Il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Marine Bio Education & Research Center, College of Marin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Baeck, Gun Wook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Marine Bio Education & Research Center, College of Marin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9.01.20
  • 심사 : 2009.03.16
  • 발행 : 2009.03.31

초록

여수 돌산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농어의 주먹이생물과 성장에 따른 먹이생물 변화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2005년 1월에서 12월까지 매월 낚시, 자망, 정치망 등에 의해 어획된 시료를 여수어시장에서 구입하였다. 총 344개체의 농어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이들의 체장은 표준체장 8.7~52.8 cm의 범위를 보였다. 농어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농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로 나타났다. 어류 중에서는 멸치, 전갱이, 문절망둑 등을 많이 섭식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로 나타났으며, 그 외 단각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곤쟁이류, 게류 등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농어는 체장 25 cm 이하의 비교적 작은 체장에서는 단각류와 새우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그러나 성장함에 따라 이들 먹이생물의 비율은 줄어들어 체장 25 cm 이상에서는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The feeding habits of Lateolabrax japonicus were studied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 stomach contents of 344 specimens collected monthly from January to December, 2005 in coastal waters off Dolsan-do, Yeosu. The standard length (SL) of specimens ranged in 8.7~52.8 cm. L. japonicus is a piscivore that consumes mainly teleosts such as Engraulis japonicus, Trachurus japonicus, and Acanthogobius flavimanus. Its diet also includes Macrura, Amphipoda, Cephalopoda, Polychaeta, Mysidacea, and Branchyura. Small individuals (<25 cm SL) consume mainly Amphipoda and Macrura. The proportion of these prey items decreases with increasing fish size, and this decrease paralleled the increased fish consump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석남∙허성회. 2002.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양태(Platycephalus indicus)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4: 29-35.
  2. 국립수산과학원. 2001. 한국새우류도감. 한글그래픽스, 223pp.
  3. 국립수산과학원. 2004. 유용어류도감. 한글, 333pp.
  4. 박경동∙강용주∙허성회∙곽석남∙김하원∙이해원. 2007. 통영 바다목장해역에 서식하는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40: 308-314. https://doi.org/10.5657/kfas.2007.40.5.308
  5. 백근욱∙허성회. 2003. 고리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황아귀(Lophius litulon) 유어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6: 695-699. https://doi.org/10.5657/kfas.2003.36.6.695
  6. 백근욱∙허성회. 2004. 가덕도 주변 해역 꼬치고기(Sphyraena pinguis)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7: 505-510.
  7. 윤성종∙김대현∙백근욱∙김재원. 2008. 남해에 출현하는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식성. 한국수산학회지, 41: 26-31. https://doi.org/10.5657/kfas.2008.41.1.026
  8. 윤창호. 2002. 한국어류검색도감. 아카데미서적, 747pp.
  9.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7pp.
  10. 차병열∙홍병규∙조현수∙손호선∙박영철∙양원석∙최옥인. 1997. 황아귀, Lophius litulon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0:95-104.
  11. 추현기. 2007. 동해 남서부 고리 주변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섭식 생태.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6pp.
  12. 통계청. 1963-2007. 어업생산통계.
  13. 허성회. 1999. 갈치(Trichiurus lepturus)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1: 919-197.
  14. 허성회∙곽석남. 1998a.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1: 37-44.
  15. 허성회∙곽석남. 1998b.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1: 665-672.
  16. 허성회∙박주면∙남기문∙박세창∙박찬일∙백근욱. 2008. 부산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살살치(Scorpaena neglecta)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20: 117-122.
  17. 허성회∙박주면∙백근욱. 2006a. 남해에 출현하는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9: 35-41. https://doi.org/10.5657/kfas.2006.39.1.035
  18. 허성회∙박주면∙백근욱. 2006b. 고리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달고기(Zeus faber)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9: 357-362. https://doi.org/10.5657/kfas.2006.39.4.357
  19. Boubee, J.A.T. and F.J. Ward. 1997. Mouth gape, food size, and diet of the common smelt Retropinna retropinna (Richardson) in the Waikato River system, North Island, New Zealand. N. Z. J. Mar. Freshwat. Res., 31: 147-154. https://doi.org/10.1080/00288330.1997.9516753
  20. Gerking, S.D. 1994. Feeding Ecology of Fish. Academic Press, San Diego, 416pp.
  21. Hibino, M., T. Ohta, T. Isoda, K. Nakayama and M. Tanaka. 2006. Diel and tidal changes in the distribution and feeding habits of Japanese temperate bass Lateolabrax japonicus juveniles in the surf zone of Ariake Bay. Ichthyol. Res., 53: 129-136. https://doi.org/10.1007/s10228-005-0318-y
  22. IGFA. 2001. Database of IGFA angling records until 2001. IGFA, Fort Lauderdale, USA.
  23. Matsumiya, Y., T. Mitani and M. Tanaka. 1982. Changes in distribution pattern and condition coefficient of the juvenile Japanese sea bass with the Chikugo River ascending. Bull. Jap. Soc. Sci. Fish., 48: 129-138. https://doi.org/10.2331/suisan.48.129
  24. Miyahara, K., T. Ohtani and N. Shimamoto. 1995. Feeding habits of Japanese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in Harimanada. Bull. Hyogo. Prefect. Fish. Exp., 32: 1-8.
  25. Pinkas, L., M.S. Oliphant and I.L.K Ive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26. Takeda, M. 1982. Keys to Japanese and Foreign Crustaceans. Hokuryukan Press, Tokyo, 284pp.
  27. Tony, H.M., W.Y. Ho and C.K. Wong. 2003. Feeding ecology of larval and juvenile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and Japanese seaperch (Lateolabrax japonicus) in Tolo Harbour, Hong Kong. Environ. Biol. Fish., 66: 197-209. https://doi.org/10.1023/A:1023611207492
  28. Yamada, U., M. Tagawa, S. Kishida and K. Honjo. 1986. Fishes of the East China Sea the Yellow Sea. Seikai Reg. Fish. Res. Lab., 510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