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Stand Growth and CO2 Removals for Juglans mandshurica Plantations in ChungJu, Chungcheongbuk-do in Korea

충북 충주지역 가래나무의 임목생장량 및 이산화탄소 흡수량 추정

  • Received : 2009.06.22
  • Accepted : 2009.10.07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prepare a stem volume table (with or without bark) and a stand yield table for Juglans mandshurica, plantations in Chungju, located in Chungcheongbuk-do, Korea. For the calculation of stem volume, we applied Kozak's growth model, which showed the best fitness index (97%). With this model, it was able to prepare the first yield table for Juglans mandshurica in Korea. Site index model, an indicator of forest productivity, was derived by using the Chapman-Richard model, in which the basic stand age was set to 30 years. The resulted site index ranged between 16 and 22. Based on the yield table of Juglans mandshurica resulted from this study, the volume for a 70-year-old stand with a midium site index class was estimated to be $238m^3/ha$, which is $100m^3/ha$ higher than the volume estimated from the yield table of Quercus acutissima. The yield table of oak trees has been used in the estimation of most broadleaf stands in Korea.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generate a stand yield table for each broadleaf species. The annual $CO_2$ removals of 30-year-old Juglans mandshurica plantations in the ChungJu region was estimated to be $5.84tCO_2/ha$. The stem volume and stand yield table of Juglans mandshurica plantation resulted from this study would provide a good information in decision making for forest management in ChungJu region.

본 연구는 충북 충주지역 가래나무 조림지에 대한 개체목 및 임분 표준지 조사 자료를 토대로 재적표(수피 포함 및 제외) 및 임분수확표를 조제하고자 하였다. 재적을 산출하기 위한 수간곡선식으로는 Kozak식을 적용하였으며, 식의 적합성지수가 97% 이상으로 매우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산출된 재적을 이용하여 가래나무에 대한 재적표를 국내 최초로 조제하였다. 임분생산력을 판정할 수 있는 지위지수를 분석하기 위해서 Chapman-Richard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기준 임령은 30년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지위등급은 평균적으로 16~22의 범위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제된 임분수확표를 지위지수 '중'인 가래나무 70년생 임분에 적용한 결과 축적이 $238m^3$ 이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래나무 임분 수확량의 추정을 위해 기존에 적용되어왔던 상수리나무 임분수확표를 적용한 경우에 비해 $100m^3/ha$ 이상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활엽수에 대한 수종별 임분수확표 조제의 필요성을 입증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충주지역 가래나무 조림지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계산한 결과, 30년생 임분의 경우 연간 $5.84tCO_2/ha$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제된 가래나무 재적 및 임분수확표는 앞으로 충북 충주지역 가래나무 조림지에 대한 경영의사결정에 주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산림청. 2000. 21세기 산림비젼. 101pp
  2. 산림청. 2009. 재적.중량표 및 임분수확표. 271pp
  3. 손영모, 이경학, 권순덕, 이우균. 2004. 주요 수종의 임목자원 평가 및 예측시스템.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4-01. 125p
  4. 손영모, 이경학, 권순덕. 2003. 잣나무와 낙엽송인공림의 임분 평가.예측모델. 산림과학논문집 66: 56-68
  5. 손영모, 이경학, 박영규, 김래현, 권순덕. 2008. 산림부문 온실가스 흡수배출계수 관리 방안. 국립산림과학원 연구 보고 '08-11, 94pp
  6. 이경학, 손영모. 2003. 단순적률법을 이용한 소나무림에서의 Weibull직경분포 모수추정. 한국산림측정학회지 6(1): 8-14
  7. 이경학. 1992. A model for stand structure and yield prediction of Larix leptolepis plantation in Korea.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7p
  8. SK임업주식회사. 2004a. 2004년 표본점조사 보고서. 내부자료. 226p
  9. SK임업주식회사. 2004b. 재적표 조제. 내부자료. 146p
  10. SK건설(주)SK임업. 2008. 2008년 표본점조사자료(Excel 자료). 내부자료
  11. Bailey, R.L. and Dell, T.R. 1973. Quantifying diameter distributions with the Weibull function. Forest. Science. 19: 97-104
  12. Clutter, J.L., Fortson, J.C., Pienaar, L.V., Brister, G.H. and Bailly, R.L. 1983. Timber Management:A Quantitative Approach. John Wiley & Sons. 333pp
  13. Garcia, O. 1981. Simplified method-of-moments estimation for the weibull distribution. New Zealand J. of For. Sci. 11(3): 304-306
  14. http://www.ecojournal.co.kr/news_view.html?code=01040000&cpage=1&uid=3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