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Study of Introduction to Industry textbook for Technical High School

전문계 고등학교의 현행 공업입문 교과서 비교연구

  • Received : 2009.01.30
  • Accepted : 2009.03.20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major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present a desirable guideline for writers who would develop the new Introduction-to-Industry textbook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4 different kinds of current Introduction-to-Industry textbooks, 2) to help educators, who mak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in the vocational inquiry area, make good exam items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3) to offer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field of industrial education with them.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mainly literature review with the scrutinization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Introduction-to-Industry textbook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ll textbooks compared do mostly comply with the national writer's specific guidelines for the Introduction-to-Industry textbooks. However there were varieties for the all textbooks in a sense of deployment balance for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chapters. There were also considerable differences for the deployment of supplementary materials, evaluative materials, visual materials and etc.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xtbook. The degree of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textbooks and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in the area of the vocational inquiry was similar for the each textbook. However, it was not good enough for the students to study one textbook for the preparation of the exam in the vocational inquiry area because the problems in the exam were set in the range of covering the all different kinds of textbooks by the examiners.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 입문 4종 교과서의 내용 요소별 특징을 비교하여 각 교과서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해보고, 그 분석된 데이터가 새로운 공업입문 교과서 개발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궁극적으로는 현직교사는 물론 예비교사와 교육연구자들이 (ㄱ) 교과서 관련 교안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ㄷ)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문제 출제와 (ㄷ) 전공과 연계성을 갖는 차기 공업입문 교과서 편찬에 있어서 좋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주로 사용된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로서 현행4 종의 공업입문 교과서를 비롯하여 관련 문헌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비교된 모든 교과서는 대체적으로 교과서 집필 안을 준수하고 있었다. 교과서의 내용 면에서는 집필 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원이 균형 있게 배분이 잘 되어 있는 교과서가 있는 반면에, 단원의 비중이 너무 편중되어 있는 교과서가 있기도 하였다. 또한 보충적 자료, 평가적 자료, 시각적 자료 등에 대한 배분에 있어서도 교과서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교과서와 관련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경향은 각 교과서가 비슷한 정도의 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나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한 가지의 교과서만으로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대비하여 공부하는데 충분하지 않으므로 교사는 모든 종류의 교과서를 이해하고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교과서 외의 다른 교과서 내용도 추가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주외 3인(2004). 고등학교 공업입문. 서울: 법문사
  2. 강무섭외 13인(2000). 실업계 고등학교 종합 대책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 김기수외 7인(2008). 고등학교 공업입문. 서울: 대한교과서(주)
  4. 김용미, 김건철(2004). 초${\cdot}$${\cdot}$고 화학교육(물 영역)의 연계성과 교과서 화학Ⅰ내용 비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전
  5. 교육부(1999).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2종 교과용 도서 집필상의 유의점(고등학교). 서울: 교육부
  6. 교육인적자원부(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 18 공업에 관한 교과(상)-. 교육부 고시 1997-15호.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7. 노태천, 이용순, 최규남, 이병욱(2004). 서울특별시 산업 동향에 따른 공업교육의 발전 방향. 2004년도 직업교육관련학회 및 단체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103-118
  8. 오승균(2005). 경기도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한 공업교육 재구조 방향과 교육과정 운영 방안.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0(2), 60-71
  9. 유영만(2001). 디지털문화시대의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역할. 교육마당21.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10. 이상혁, 이영순, 강수헌(2004). 고등학교 공업입문. 서울: (주)교학사
  11. 이종식, 최용대, 박종석, 강성봉(2004). 고등학교 공업입문. 서울: 일진사
  12. 이하영, 진영은(2005). 브루너(J. S. Bruner)의 전${\cdot}$후기 교육과정 이론 비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서울
  13. 이홍우 역(1973). 브루너 교육의 과정 (이홍우 역). 서울: 배영사. (원저 1960 출판)
  14. 이홍우(1988). 브루너 지식의 구조. 서울: 교육과학사
  15. 조승호(2006). 공업교육, 기술교육, 공학교육의 연계 방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직업교육연구 25(1), 137-157
  16. 최완식(1996). A Study on Hypermedia Environment in Learning and Instruction Theory.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1(2), 81-89
  17. 함승연(2007).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 공업계열 출제 문항에 관한 고찰.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2(2), 23-46
  18. Bruner, J. S.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