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sibility and Limit of a Redesign of a Path for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평생직업능력개발 경로 재설계의 가능성과 한계

  • Received : 2009.01.30
  • Accepted : 2009.03.20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An ideology what a modern society seeks is lifelong employment through lifelong learning. The single word which draws the attainment is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his study is designed for exploring its possibility and limit of a redesign of it, and tries to propose efficiently a redesign idea of a vocational educational path. To this end, it was analyzed by a subject for a national human resource foundation plan and a lifelong b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foundation plan. In addition to that, it was covered a structure and content analysis of main laws and regulations which are a base of policy making. An educational path could be divided into an area of formal education system, an area of workplace for labors, and an area of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nd the insights were drawn by pulling apart an operational situation of main organizations and a recurrent process of the educational path. The redesign plan of a vocational education path we did analyze to activate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system is deduced as following. Firstly, it should be re-organized with a direction towards an effective manpower training to be linked with skills and demands required by an industry. Secondly, it should be generalized for a model of recurrence between work and learning and its alternation for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hirdly, it should create a cluster in the region for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so that it is to form an efficient network to have a division of labor and its liaison with cooperative relationship.

현대 사회가 추구하는 이념은 평생학습을 통한 평생고용이다. 이를 가능케 하는 한마디가 평생직업능력개발이다. 이 연구는 평생직업능력개발체제를 진단하여 평생직업능력개발 경로 재설계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고, 효율적인 직업교육경로의 재설계 방안을 제시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 평생직업능력개발기본계획, 평생학습진흥계획을 대상으로 하여 과제별 분석을 하였다. 또한 정책의 토대가 되는 주요 법령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졌다.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교육경로를 크게 학제 내 영역, 근로자 일터 영역, 평생직업훈련기관 영역으로 나누고 교육경로상의 주요 기관 운영현황과 순환과정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평생직업능력개발체제의 확성화를 위한 직업교육경로 재설계 방안이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경로 체제를 산업체가 요구하는 기술과 수요에 연계되는 효율적인 인력양성을 하는 방향으로 재구조화하여야 한다. 둘째,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일과 학습간의 순환, 병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순환 모델을 정형화하여야 한다. 셋째,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지역중심의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분업 및 연계 협력관계를 갖도록 하는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야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환경노동위원회

References

  1. 김경회(2003). 한국의 평생직업교육. 서울: 원미사
  2. 김영철 외(2004). 지식정보사회에 따른 학제의 다양화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3. 김영철(2005). 지식기반사회의 학제 발전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4. 김주섭(2008). 평생직업능력개발 정책방향과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5. 교육인적자원부(2006). 제2차 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 교육인적자원부
  6. 교육인적자원부(2007). 제2차 평생학습진흥종합계획. 교육인적자원부
  7. 교육인적자원부(2007). 국가인적자원개발백서. 교육인적자원부
  8. 교육과학기술부(2008). 교육통계연보. 교육과학기술부
  9. 노동부(2006). 제1차 평생직업능력개발 5개년 계획(안)(2007-2011)
  10. 노동부(2007). 평생직업능력개발 기본계획. 노동부
  11. 노동부(2008). 노동백서. 노동부
  12. 대통령자문 사람입국 일자리 위원회(2006), 동반성장을 위한 평생직업능력개발 체제 혁신
  13. 법제처(2008). 관련 법령. 국가법령정보센터."ON-LINE".http://www.moleg.go.kr
  14. 이정표 외(2003). 전환기의 직업교육체제 재정립.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 이희수 외(2006). 국가경쟁력 확보 및 사회통합을 위한 평생 직업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수립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16. 이희수 외(2007). 평생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계획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7. 장석민(2004). 직업교육의 근본 문제점과 개혁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정태화(2004). 직업능력개발 중심으로의 평생교육제도 개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2008). 인적자원개발정책의 기원을 찾아서: OECD의 순환교육 체제 해부, 학술세미나 자료집.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 청와대(2009). 대통령 신년 국정연설문. 보도자료."ON-LINE". http://www.president.go.kr
  21. Ann Maycunich Gilley, Jamie L. Callahan, and Laura L. Bierema,(2003). Critical Issues in HRD. America: Perseus Publishing
  22. Jerry W. Gilley and Steven A. Eggland(1989). Principl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23. Malcolm S. Knowles(1980). The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 From Pedagogy to Andragogy. New Yokk: Cambridge
  24. McKenzie Phillip(2002). Pathways for youth in Australia, Vocational training and lifelong learning in Australia and Germany. Australia Centre Series
  25. ILO(2002). Learning and training for work in the knowledge society. Geneva, International office
  26. OECD CERI(1973), Recurrent Education: a Strategy for Lifelong Learning. Paris: OECD
  27. OECD(2000). Learning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Paris:OECD
  28. OECD(2005). Promoting Adult Learning. Paris: OECD
  29. Paul R. Bernthal and others(2004). Mapping The Future Alexandria: ASTD. 5-8
  30. Rich Feller Judy Whichard(2004). Knowledge Nomads and the Nervously Employed : workplace change & courageous career choices. Texas: CAPS Press. p 42
  31. William J. Rothwell, Ethan S. Sanders and Jeffrey G. Soper.(1999). Models For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Alexandria: AS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