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5 Herb Species in Youngdong Areas

영동지역 5개 초본 수종의 연소특성

  • Lee, Hae Pyeong (School of Fire &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Si-Young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ung Ju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해평 (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
  • 이시영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박영주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Received : 2009.03.10
  • Accepted : 2009.06.01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combustion of the various herbs in youngdong areas such as festuca ovina, isodeon japonicus, oplismenus undulatifolius, pueraria thunbergiana, and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using the ignition temperature tester, cone calorimeter, smoke density chamber. We confirmed that the range of ignition temperature was $400{\sim}455^{\circ}C$ and the time to ignition and flameout were not recorded. The total heat release of isodeon japonicus was highest and the smoke release of festuca ovina was highest, and the yield of CO and $CO_2$ of pueraria thunbergiana, and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were highest among the samples. As a result, we concluded that isodeon japonicus will impact the fire intensity and fire spread and festuca ovina, pueraria thunbergiana, and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will influence the refuge.

본 연구에서는 영동지역에서 자생하는 초본류 가운데 김의털, 방아풀, 주름조개풀, 칡, 엉겅퀴를 대상으로 발화점시험기, 콘칼로리미터, 연기밀도시험기 등을 이용하여 연소특성을 고찰하였다. 발화온도 범위는 $400{\sim}455^{\circ}C$로 확인되었으며 착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방아풀은 가장 많은 열량을 방출하였고, 김의털은 가장 많은 연기를 방출하였으며, 칡과 엉겅퀴는 가장 많은 CO와 $CO_2$를 방출하였다. 따라서 산불발생 시 방아풀은 열방출량이 많아 산불강도가 클 것으로 생각되며 김의털, 칡, 엉겅퀴는 다량의 연기와 CO, $CO_2$가 방출됨에 따라 피난이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산림청

References

  1. 김응식, 이시영. 1998. 유동장 해석을 통한 산불확산예측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87(4): 528-534
  2. 김현중, 엄영근, 이전제, 정희석, 최인규. 2004. 목재공학 개론. 동화기술, 서울. pp. 33-34
  3. 안상현, 이시영, 원명수, 이명보, 신영철. 2004. 공간분석에 의한 산불발생확률모형 개발 및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4): 57-64
  4. 안상현, 원명수, 김동현, 강영호, 이명보, 이시영. 2005. 의성군지역 산불발생 및 대형화 위험지역 구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2): 117-124
  5. 이규송. 2004. 동해안 산불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 년수에 따른 식생구조의 발달. 한국생태학회지 27(2): 99-106 https://doi.org/10.5141/JEFB.2004.27.2.099
  6. 이복영. 1993. 연기와 연기감지기술에 대한 고찰. 방재기술. 한국화재보험협회
  7. 임경빈. 2007. 신고 조림학원론. 동화기술. 서울. pp. 61-62
  8. 최 관, 한상렬. 1996. 기상자료를 이용한 산불발생확률 모형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85(9): 15-23
  9. 현신규, 현재선, 나용준. 1997. 산림보호학. 향문사. 서울. pp. 264
  10. 홍윤명, 정국삼. 1992. 안전공학실험. 동화기술. 서울. pp. 9-11
  11. ASTM E 662. 2003. Test method for specific optical density of smoke generated by solid materials
  12. Davis, K.P. and A.A. Brown. 1959. Fire in the Forests In:FOREST FIRE Control and Use Second Edition, McGraw-Hill. pp. 3-259
  13. ISO 5660-1. 2002. Reaction to fire part 1, rate of heat release from building products (Cone Calorimeter). Generer
  14. Marcelo M. and Hirschler. 1990. Fire hazard and toxic potency 0.1 the smoke from burning materials, Advance In Combustion Toxicology. pp. 229-230
  15. Van Wanger C. E., 1968 Season variation in moisture content of eastern canadian tree foliation and possible effect on crown fire, Canada Forrest. Branch, Department, Publication. No. 1204. pp.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