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자연산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의 포란수와 부화율

Fecundity and Hatchability of Natural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from the West Coast of Korea

  • 전제천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 강희웅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 김병균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 최기호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 조기채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투고 : 2009.09.18
  • 심사 : 2009.11.19
  • 발행 : 2009.12.31

초록

본 연구는 돌가자미의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2003년 10월에 충남 격렬비역도 해역에서 자연산 어미를 채집하여 실내에서 자연산란을 유도하고 산란 특성과 포란수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어미는 암컷 12마리(전장 34.5~51.0 cm, 체중 540~2,200 g), 수컷 23마리(전장 29.0~38.0 cm, 체중 310~680 g)이었다. 난소의 발달은 12월부터 꼬리쪽으로 길게 확장되어 육안적으로 쉽게 확인되었다. 돌가자미 어미는 실내에 수용하여 3개월 후부터 산란을 시작하였으며, 2004년 1월 9일부터 3월 27일까지 77일간 이루어졌다. 산란기간 중 일장은 9.8~12.1시간으로 연중 가장 짧았으며, 수온은 $8.4{\sim}12.2^{\circ}C$이었다. 총 산란량은 19,844,000개였으며, 산란중기에 15,433,000개(77.8%)로 가장 산란량이 많았다. 총 산란량중 평균부상율은 50.4%, 수정률은 58.5%, 부화율은 55.6%, 부화자어의 정상 출현율은 93.8%이었다. 전장당 절대포란수의 총 난수는 전장이 커짐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대포란수(cm 당)의 총 난수도 전장이 커짐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체중당 절대포란수의 총 난수는 체중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체중당 상대포란수(g 당)의 총 난수는 체중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되나, 일정 체중 이상으로 커지면, 오히려 체중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o establish a database for artificial seed production of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pawning and fecundity of this species. Broodstocks were captured in the area of Gyeokryeolbiyeoldo, Chungnam, Korea in October 2003 and induced to natural spawning. The broodstock consisted of 12 females (34.5~51.0 cm total length and 540~2,200 g body weight) and 23 males (29.0~38.0 cm total length and 310~680 g body weight). Gonad development began in December and proceeded in the direction of the tail; measurements were made with the naked eye. The tank-held broodstock were reared for 3 months before spawning, which continued for 77 days from January 9 to March 27, 2004. Daylength during the spawning was recorded at the yearly shortest of 9.8~12.1 hours and the water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8.4{\sim}12.2^{\circ}C$. The total fecundity was 19,844,000 individuals, among which 15,433,000 individuals (77.8%) were produced during the mid-spawning period. The average bloating rate, egg-fertilization rate and hatching rate of the total number spawned reached 50.4%, 58.5% and 55.6%, respectively, and 93.8% of the hatched fry appeared normal. The number of total eggs in absolute fecundity per total length was proportional to both lengths, as was the number of total eggs in relative fecundity per total length. The number of total eggs in absolute fecundity per body weight was proportional to body weight as was the number in relative fecundity per body weight except that the number in relative fecundity per gram decreased after a peak in increased body weight at a certain point.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국립수산과학원

참고문헌

  1. 강희웅∙정의영∙김종화. 2004. 서해산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의 성성숙과 산란 특성. 한국양식학회지, 17: 30-38.
  2. 국립수산과학원. 2004. 한국연근해 유용어류도감 제2판. 333pp.
  3. 김익수∙윤창호. 1994. 한국산 가자미아목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6: 99-131.
  4. 김 윤∙안철민∙김경길∙백혜자. 1998.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의 성성숙. 한국어류학회지, 10: 191-199.
  5. 김 윤∙허성범. 1991. 수온과 광주기 조절에 의한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자연산란유도. 한국양식학회지, 4: 85- 95.
  6. 김형배∙이택열. 1984. 전어, Konosirus punctatus의 생식생물학적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17: 206-218.
  7. 문형태. 1997. 대천해빈 어류의 종조성 변화와 우점종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의 초기생활사. 충남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46pp.
  8. 박종수. 1995. 한국 서해안 격열비열도 근해산 돌가자미의 연령과 성장.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1: 121-126.
  9. 변순규. 2002. 찰가자미 Microstomus achne의 번식생물학적 특성 및 초기 발육. 여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2pp.
  10. 심두생∙전제천∙김병균∙김치홍. 2002. 자연산 돌가자미의 혈액성상과 혈청화학 성분. 국립수산진흥원연구보고, 61: 62-69.
  11. 이종관. 1999. 쥐노래미의 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3pp.
  12. 이택열∙강용주∙이병돈. 1985. 문치가자미의 생식기구 및 개체 군 동태. 1. 생식기구. 한국수산학회지, 18: 253-261.
  13. 안철민. 1995.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생식주기. 한국어류학회지, 7: 33-42.
  14. 장선일. 1996. 인간의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 또는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도체와 Pimozide에 의한 황복의 배란 유도. 한국양식학회지, 9: 3-10.
  15. 전복순∙최설화∙강용주. 2000. 낙동강 하구역에 분포하는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 (Basilewsky)의 식성. 추계수산 관련학회 공동학술발표, 부산, 5월 2002, pp. 235-234.
  16. 전제천∙김선웅∙김병균∙김치홍∙김종식. 1999. 돌가자미 종묘생산 기술개발. 서해수산연구소사업보고, pp. 343-349.
  17. 전제천∙김병균∙김치홍∙심두생. 2000. 돌가자미 종묘생산 기술 개발. 서해수산연구소사업보고, pp. 353-357.
  18. 전제천∙김치홍∙정의영∙이창훈∙김병균. 2002. 서해산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의 초기발생시 수온과 염분의 영향. 한국어류학회지, 14: 190-197
  19. 전제천∙임양재. 2004. 한국 서해산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 의 연령과 성장. 한국어류학회지, 16: 173-180.
  20. 정관식∙김석민∙방인철∙김성연∙이원교. 1998. 수온 및 광주기 조절에 의한 돌돔, Oplegnathus fasciatus의 산란 유도. 한국양식학회지, 11: 141-149.
  21.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571pp.
  22. 정의영∙김성연. 1994.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의 성성숙과 산란. 한국어류학회지, 6: 222-236.
  23. 정의영∙배주승∙강희웅∙이황복∙이기영. 2008. 한국 서해산 병어, Pampus argenteus의 번식생태. 발생과 생식, 12: 169-181.
  24. 최설화. 2000. 낙동강 하구역에 분포하는 미성어기의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 (Basilewsky)의 성장. 부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pp.
  25. 한경호∙김용억. 1997.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 자치어의 형태발달. 국립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보고, 6: 39-47.
  26. 황형규∙이정의∙양상근∙노 섬∙강용진. 1999a.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HCG) 처리에 의한 독가시치, Siganus canaliculatus의 배란유도. 한국양식학회지, 12: 197-204.
  27. 황형규∙강용진∙양상근∙김성철∙김경민∙이정의. 1999b. 인공산 돌돔, Oplegnathus fasciatus의 자연산란과 산란시기별 난질의 변화. 국립수산진흥원연구보고, 56: 67-72.
  28. Bagenal, T.B. and E. Braum. 1987. Eggs and early life history. In: Ricker E. (ed.), Methods for assesment of fish production in fresh water. pp. 165-210 (Int. Bio. programme) Hand b. 3
  29. Basilewsky. S. 1855. Ichthyographia Chinese Borealis. Nouv. Mem. Soc. Imp. Natur. Moscov., 10: 215-263.
  30. Chen, D.G., C.A. Liu and S.Z. Dou. 1992. The biology of flatfish (Pleuronectinae) in the coastal waters of China. Netherlands J. Sea Res., 29: 25-33. https://doi.org/10.1016/0077-7579(92)90005-Y
  31. Eskenlinen, P. 1989. Effects of different diets on eggs production and eggs quality of Atlantic salmon (Salmo salar L). Aquaculture, 79: 275-281. https://doi.org/10.1016/0044-8486(89)90468-7
  32. Ivankov, V.N. 1976. The formation of ultimate fecundity in intermittently spawning fish with reference to the Southern One finned Greenling, Pleurogrammos azonus and the wild glod fish Carassius auratus gibelio. J. Ichthyol., 16: 56-62.
  33. Kashiwagi, M., N. Yamada, Y. Okada and F. Nakamura. 1984. A periodic variation of spawning time of Japanese whiting, Sillago japonica during the spawning season. Nippon Suisan Gakkaishi, 50: 2135pp.
  34. Lee, T.Y. and I. Hanyu. 1984. Reproductive cycle of small filefish Rudarius ercodes. Bull. Kor. Fish. Soc., 17: 423-435.
  35. Masaki, Y., H. Ito, T. Tokai and Y. Yoshiaki. 1986. Age and growth of stone flounder in Suo-Nado of Seto Inland Sea. Bull. Jap. Soc. Sci. Fish., 52: 434-445. (in Japanese)
  36. Mori, K., S. Kimura, T. Tojima and K. Tashiro. 1986. Growth and maturity of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in Ise Bay, Bull. Fac. Fish. Mie Univ., 13: 151-161. (in Japanese)
  37. Springate, J.R.C., N.R. Bromage and P.R.T. Cumaranatunga. 1985. The effects of different ration on fecundity and egg quality in the rainbow trout (Salmo gairderi). In: Cowey, C.B., A.M. Mackle and J.G. Bell (eds.), Nutrition and feeding in fish. Academic Press, London, pp. 371-393.
  38. Uehara, S. and M. Shimizu. 1996. Age and growth of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in Tokyo Bay. Fish. Sci., 62: 897-901. (in Japanese)
  39. Uehara, S. and M. Shimizu. 1999. Maturity, condition and feeding of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in Tokyo Bay. Nippon Suisan Gakkaishi, 65: 209-215. (in Japanese) https://doi.org/10.2331/suisan.65.209
  40. Watanabe, T. 1985. Importance of the study of broodstock nutrition for further development of aquaculture. In : Nutrition and feeding in fish. Ed. by Cowey, C. B., A. M., Mackie and J. G. Bell. Academic press, London, pp. 395-414.
  41. 高越哲男. 1976. イシガレイからの採卵における生殖腺刺戟ホルモン劑の􃤐用に關する檢討-Ι. 親魚の選定とホルモン劑の效果. 水産增殖, 23: 155-160.
  42. 高城哲男. 1977. イシガレイからの採卵における生殖腺刺戟ホルモン劑の􃤐用に關する檢討-ΙΙΙ. 未成熟個體に對する倍加的なホルモン投與方法の果および成熟個體に對する適正投與量. 水産增殖, 25: 1-5.
  43. 南卓志. 1984. イシガレイの初期生活史, Bull. Jap. Soc. Sci. Fish., 50: 551-560. https://doi.org/10.2331/suisan.50.551
  44. 態井輝雄∙中村元二. 1971. 養殖ヒラメ1年魚からの採卵と仔魚飼育. 日本水産學會秋季大會講演要旨集, pp. 1-2.
  45. 􃢄島史夫, 羽生功. 1989. 水族繁殖學. 錄書房, pp. 222-271.
  46. 水戶敏∙鳥川正雄∙ 口正. 1969. イシガレイの􂕋發生,ふ化子魚の飼育および􃡭上池內における産卵. 魚類學(落合明∙田中克, 恒星社厚生閣, 東京), pp. 1099-1102.
  47. 山下正男. 1978. 養殖基礎實際. 東京, pp. 146-149.
  48. 狩谷貞二∙白旗總一郞. 1955. マガレイ卵巢􂕋の成熟過程について. 日水誌, 21: 476-481.
  49. 松泡修平∙吉市政達∙九山克彦∙松山􃡮也. 1988. マダイ1尾による每日産卵とその􂕋質. 水産增殖, 36: 33-39.
  50. 原田輝雄. 1974. 海産魚. 魚類の成熟と産卵その基礎應用(日本水産學會編). 恒星社厚生閣, 東京, pp. 66-75.
  51. 淸野通康. 1974. 産出􂕋の􂕋質評價-海産魚. 魚類の成熟と産卵.水産學シリス6 (日本水産學會編). 恒星社厚生閣. 東京, pp. 113-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