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Intuitive Free Association and Systematic Free Association on the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Group in the Conceptual Design Process

직관적 및 체계적 자유연상기법이 개념설계과정에서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민세기 (인천공항고등학교) ;
  • 최유현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기술교육과)
  • Received : 2009.01.30
  • Accepted : 2009.03.20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intuitive free association and systematic free association on the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group in the conceptual design process. Based on this study result, the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meaningful relation between intuitive free association and creativity factor of high school students. Mean value of experimental group A 's creativity and it's factor originality, practicality, elaboration, and fluency which treated intuitive free association was increased. 2. There was meaningful relation between systematic free association and creativity factor of high school students. Mean value of experimental group B 's creativity and it's sub factors: originality, problem solving, elaboration, and fluency which was treated systematic free association was increased. 3. It was found that two different divergent thinking does no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creativities of two groups. However, the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in post creativity test in each groups sub-factors.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practicality factor, though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originality, elaboration, fluency factors. Using the obtained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intuitive thinking and systematic thinking play different roles in practicality which is one of sub-factors of the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Consequently, it can be concluded that systematic thinking which leads students to take a step to solve a given problem can elicit more scientific thinking, and helps students create more practical solution in problem solving than intuitive thinking that emphasize the quantitative aspect of ideas.

본 연구는 직관적 자유연상기법과 체계적 자유연상기법이 개념설계과정에서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첫 번째는 직관적 자유연상기법이 개념설계과정에서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체계적 자유연상기법이 개념설계과정에서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는 것이며 세 번째는 직관적 자유연상기법과 체계적 자유연상기법이 개념설계과정에서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창의성 증진에 각 기법이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비교 구명하는 것이다. 실험설계는 이질통제집단 사전 사후검사 설계로서 인천광역시의 OO고등학교 1학년 6개 학급 17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A, 실험집단B를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개념설계 문제' 와 '창의성 표현 검사지 A', '창의성 표현 검사지 B', 그리고 '창의성 평가 척도' 는 다양한 문헌과 전문가의 타당성을 거쳐 연구자가 개발한 것으로 평가자간 상관계수를 통하여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관적 자유연상기법이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과 하위요인인 '독창성', '유용성', '정교성', '유창성'을 증진시키는 매우 효과적인 기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체계적 자유연상기법이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과 하위요인인 '독창성', '유용성', '정교성', '유창성'을 증진시키는 매우 효과적인 기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고등학생 집단의 개념설계에 있어서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용성'의 증진에 있어서는 체계적 자유연상기법이 직관적 자유연상기법보다 더 효과적인 기법임이 증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봉규, 손충기, 이기종. (2006). 교사를 위한 통계학. 태영출판사
  2. 곽민정, 홍유석, 조남욱. (2006). 개념설계 단계에서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가치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한국경영과학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3. 권현진.(2005). 기술 관련 전문가의 인식에 기초한 기술적 창조성 모형 개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진수.(2005). 공업교육연구법과 SPSS. 웅보출판사
  5. 김영채. (2007).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교육과학사
  6. 다카하시 마코토. (2003). 창조력 사전 (조경덕. 역). 매일경제신문사
  7. 박영택, 김성대. (1998). 신제품개발에 있어서 창조성기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 품질경영학회지 26(4), 203-205
  8. 이종성. (1996). 교육연구의 설계와 자료분석. 교학연구사
  9. 이창훈, 김기수. (2007). 창의적 공학설계. 한티미디어
  10. 조연수, 성진숙, 이혜주. (2008). 창의성 교육.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1. 최덕기, 박찬일, 최정임. (2006). 창의적 사고 능력 배양을 위한 입문공학설계 교과목 개발. 공학교육연구, 9(1), 66-74
  12. 최유현. (2005). 기술교과교육학. 형설출판사
  13.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Colorado: Westview Press, Inc
  14. Archer, L.B. (1984). Systematic Method for Designers. In: N.Cross(Ed.), Developments in Design Methodology. Whiey, Chichester
  15. Besemer, S.P., Treffinger, D.J. (1981). Analysis of creative products: Rewiew and synthesis. Jorunal of Creative Behavior, 15, 158-178
  16. Clive, L.D., Patric, L. (2005). 프로젝트 기반의 공학설계입문 (조문수, 임태진, 박태형, 윤석훈 역.). ITC
  17. Couger, J. D. (1995).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Opportunity Finding. Boyd & Fraser Publishing Company
  18. Cross, N. (2004). 공학설계 방법론 (김관배, 차수헌 역.). 범한서적주식회사
  19. French, M. J. (1985). Conceptual Design for Engineers. Design Council, London
  20. Geschka, H. (1983). Creativity Techniques in Prodect Planning and Development : A View from West Germany. R&D management, Vol. 13, No. 3, 169-479 https://doi.org/10.1111/j.1467-9310.1983.tb01143.x
  21. Guilford, J. P. (1959). Three faces of intellect. American Psychologist, 14, 469-479 https://doi.org/10.1037/h0046827
  22. Gwyneth, O. J. (2001). Developing Subject Knowledge in Design and Technology : Developing, Planning and Communication Idea. Trentham Books. The Ope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