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rials to find a method for overcoming the depletion of Tricholoma matsutake mycorrhiza from the artificially inoculated pine seedling (Pinus densiflora) when it is transplanted in situ were carried out. The culturing jars containing mycorrhizal seedlings were punched at the bottom to make the jar like a pot with keeping the soil structure of the original medium in vitro, and 8 kinds of irrigation solution were applied. Irrigation of distilled water caused disappearance of T. matsutake mycorrhizae, but biweekly irrigation of 2.5% PDMP (24 g potato dextrose broth, 3 g malt extract, 1 g peptone) solution or 0.5% Tween 80 solution until 3 months of acclimation could keep mycorrhizal association stronger. The percentage of mycorrhizal roots out of total length of roots was increased during the acclimation, and the acclimation rate reached up to 70%. Thus, we recommend that the mycorrhizal pine seedlings inoculated with T. matsutake would be acclimated before transplanting into the field.
송이균을 접종하여 균근을 형성시킨 소나무 묘목을 실외로 가지고 나갈 경우 송이 균근이 이탈되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실내에서 형성한 송이균 접종 소나무 배지의 초기 토양구조를 유지하며 수분을 공급하고자 배양병의 아래에 구멍을 뚫어 화분형태로 변형을 시킨 후 8종류의 급수방식을 시도하였다. 증류수만을 공급한 경우에는 송이 균근이 이탈되었지만, 2.5% PDMP(24 g potato dextrose broth, 3 g malt extract, 1 g peptone) 용액이나 0.5% Tween 80 용액을 2주 간격으로 관수한 경우에는 3개월의 순화처리 이후에도 송이 균근이 강한 활성을 띠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순화기간동안 송이 균근 형성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순화 성공률은 70% 수준에 이르렀다. 금후 송이를 접종한 소나무 묘목은 이러한 순화처리 과정을 거쳐서 균근을 안정시킨 후 현지에 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