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Verifying of Calculation Method of Standard Rainfall on Warning and Evacuation for Forest Soil Sediment Disaster in Mountainous Area by Using Tank Model

Tank Model을 이용한 산지토사재해 경계피난 기준우량 산정법 개발 및 검토

  • 이창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산림방재연구과) ;
  • 윤호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산림방재연구과) ;
  • 우충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산림방재연구과)
  • Received : 2009.02.24
  • Accepted : 2009.04.02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e calculation method of standard rainfall, which was used for predicting the outbreaking time of disaster by using Tank model, on warning and evacuation for soil sediment disaster. We investigate adeption possibility of developed method through comparing storage function method with Tank model. We calculated storage amount rainfall by storage function method and Tank model with 36 hillslope failures which have record on outbreaking time of disaster. The result in case of Sedimentary (quarternary period) showed that the difference of outbreaking time was 1.6 hour in case of tank model, but 3.2 hour in case of storage function method. In addition, the deviation of the peak storage were 7% in case of tank model, but 63% in case of storage function method. Total evacuation period was analyzed by using observed 5 years (1993-1997) rainfall data as well as each standard rainfalls which were determinated by two methods. The result showed that evacuation time by storage function method was about twice as many as that by tank model. Therefore, we concluded that calculation by tank model for predicting the outbreaking time of disaster was more useful and accurate than storage function method.

산지토사재해 발생시기 예측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산지토사재해 기준우량 산정방법에 대해 수문모형인 Tank 모델의 적용수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과 저류관수법에 의한 결과의 비교 검토로 향후 적용가능성도 검토하였다. 산사태 발생시기 기록이 있는 36개의 산사태를 대상으로 저류관수법과 개발된 Tank 모델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여 재해발생시기와 최대저류량과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퇴적암 4기의 경우 Tank 모델에 의한 산사태 발생 예측시기는 1.6시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저류관수법에서는 3.2시간 차이를 보였다. 또한, 최대저류량의 편차가 Tank 모델의 경우 7%에 불과하나, 저류관수법의 경우 63%의 큰 편차를 보였다. 산사태 발생강우를 대상으로 최대저류량 값들 중 가장 작은 값을 위험기준우량으로 설정하여 대상지역의 5년간(1993~1997) 실제 강우량을 적용한 결과, Tank 모델에 의한 피난대기시간이 저류관수법보다 약 2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Tank 모델에 의한 산지토사재해 위험기준우량 산정이 저류관수법보다 정도 및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하여 향후 충분히 활용 가능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산림청. 2006. 2006년 산지토사재해 특성파악 및 영향 인자 분석. 산림청. pp. 146
  2. 최 경, 박승걸. 1983. 산사태 발생예지에 관한 연구. 임시연보 30: 109-129
  3. 建設省土木硏究所. 1978. 急傾斜地崩壞の避難基準雨量設 定に關する調査. 土硏資料 1364. pp. 175
  4. 松本幸太朗, 本久博士, 大石博之, 古川浩平. 2007. がけ 崩れにおける散發發生條件の特定と發生危險基準線の設定. 砂防學會誌 60(2): 5-12
  5. 鈴木雅一, 福義宏, 武居有恒, 小橋澄治. 1979. 土砂災 害發生の危險雨量. 新砂防 110: 1-7
  6. 鈴木雅一, 小橋澄治. 1981. がけ崩れ發生と降雨の關係に ついて. 新砂防 121: 16-26
  7. 李昶雨. 1998. 模擬根系の土質强度補强效果に關する硏究 -土壤水分制御下における單純傳斷試驗による解析-. 東京 大學 博士學位論文. pp. 108
  8. 李昶雨, 東條將之, 廉圭眞. 2001. 山地災害危險指數算定 において改良したタンクモデルの適用手法と驗討. 平成13年度 砂防學會硏究發表會槪要集: 354-355
  9. 田中丸治哉. 1991. 長短期流出兩用モデルとダムの流水管 理に關する硏究. 京都大學博士學位論文. pp. 132
  10. 竹本大昭, 杉原成滿, 佐藤丈晴, 荒木義則, 中山隆弘, 水山 高久, 古川浩平. 2004. ラフ集合を用いた土石流發生·非發生Ruleの推出と危險度の設定手法に關する硏究. 砂防學 會誌. 57(2): 4-15
  11. 中井眞司, 海堀正博, 佐木 康, 森脇武夫. 2008. 雨量指 標R'による土砂災害發生基準の設定と監視雨量强度RRの提 案-地域ごとの降雨履歷特性を反映した適用の可能性-. 砂 防學會誌. 60(6): 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