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lling Productivity in Korean Pine Stands by Using Chain Saw

체인톱을 이용한 잣나무의 벌도작업 공정 분석

  • Han, Won Sung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Cho, Koo Hyun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Oh, Jae-Heun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Song, Tae-Young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Jae-Won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Shin, Man Yo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okmin University)
  • 한원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 조구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 오재헌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 송태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 김재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2009.06.30
  • Accepted : 2009.09.15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elling productivity by chain saw in thinning operation of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tands. Tim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4 thinning site in Korean pine stands. This study derived a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e average felling cycle time for evaluating the productivity in felling, which was used to analyze the felling productivity by thinning period. In the study sites, the average felling cycle time per a tree was 463 sec/cycle and the productivity was $2.26m^3/hr$. Thinning period in Korean pine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producing purposes; small-diameter log, medium-diameter log, and large-diameter log. And analyzed working time and productivity from thinning period fixed by producing purposes. For the small-diameter log producing purpose estimated to be thinning period operated once when the mean DBH was 16 cm and its productivity was $8.94m^3/man{\cdot}day$. For the medium-diameter and large-diameter log producing purposes, thinning period was twice and three times when the mean DBH of the 1st and 2nd thinning period was 16 cm and 21 cm, and its productivity was $9.06m^3/man{\cdot}day$ and $10.86m^3/man{\cdot}day$. The 30 cm in DBH and $15.12m^3/man{\cdot}day$ in productivity was operated 3rd thinning for the large-diameter log producing purposes.

본 연구에서는 벌도작업에서의 현실성 있는 품셈 적용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잣나무 간벌 작업지에서의 간벌 단계별 벌도작업 공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개 잣나무 간벌 작업지에서 체인톱을 이용한 벌도작업 공정조사를 실시하였다. 벌도작업의 작업공정을 예측하기 위해 평균 벌도작업시간 예측 추정식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간벌단계별 작업공정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에서의 잣나무 1본의 평균 벌도작업시간은 약 463초/cycle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당 작업공정은 약 $2.26m^3/hr$으로 분석되었다. 잣나무의 간벌단계는 생산목표를 소경재, 중경재, 그리고 대경재로 구분하고, 각 생산목표에 따라 간벌횟수와 시기를 설정하여 작업공정을 분석하였다. 소경재 생산에서는 1회의 간벌을 실시하며, 이때 평균 흉고직경이 16 cm로 작업공정은 약 $8.94m^3$/인${\cdot}$일로 분석되었다. 중경재와 대경재 생산에서는 각각 2회와 3회의 간벌을 실시하며, 1차, 2차 간벌시기는 동일하며, 이때 평균 흉고직경이 16 cm와 21 cm이고, 1일 작업공정은 $9.06m^3$/인${\cdot}$일과 $10.86m^3$/인${\cdot}$일이다. 대경재 생산의 3차 간벌에서는 평균 흉고직경이 30 cm, 1일 작업공정이 $15.12m^3$/인${\cdot}$일로 예측되었다. 이와 같이 간벌단계에 따라 작업공정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으며, 향후 숲가꾸기 품셈적용 기준에 새롭게 반영하기 위한 수종별 벌도작업 공정조사가 요구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건우. 1989. 임업에서의 순작업시간과 임목형상조건과의 관계 연구. 한국임학회지 78(4): 381-395
  2. 강건우. 1991a. 벌목작업 표준화 연구. 한국임학회지 80(2): 220-231
  3. 강건우. 1991b. 몇가지 침엽수종의 간벌작업 공정에 관한 연구. 자원문제연구 10: 29-37
  4. 강건우. 1999. 체인쏘를 사용한 소나무 간벌작업에서의 생산성 연구. 산림경제연구 7(2): 12-18
  5. 국립산림과학원. 2006. 우리나라의 산림녹화 성공 요인 - 가정용 연료재의 대체와 대규모 조림. 연구보고 06-17. pp.78
  6. 노재후, 김재원. 1984. 5변수 체인쏘 벌목공정표 조제에 관한 연구. 임업시험장 연구연보 31: 1-19
  7. 산림청. 2001. 재적 중량표(입목 및 원목). pp.259
  8. 산림청. 2007. 임업통계연보. pp.78
  9. 산림청. 2008.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숲가꾸기 설계감리 및 사업시행 지침. pp.169
  10. 신만용, 정일빈, 구교상, 원형규. 2006. 환경요인에 의한 잣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 개발과 적지판정. 한국농림기상학회지 8(2): 97-106
  11. 신만용, 한원성. 2006.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에 적합한 표본조사 방법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95(3): 370-377
  12. 신정환, 강건우. 1992. 벌채작업에서 요소작업 구분별 소요시간 분석에 관한 연구. 자원문제연구 11: 85-95
  13. 이준우, 박범진, 김재원, 송태영. 1998. 체인톱을 이용한 낙엽송 벌목작업에서의 작업강도분석. 한국임학회지 87(2): 121-130
  14. 한원성. 2008. 임목수확 및 운송비용 예측모델의 개발.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57
  15. Adebayo, A.B., Han, H.S. and Johnson, L. 2007. Productivity and cost of cut-to-length and whole-tree harvesting in a mixed-conifer stand. Forest Products Journal 57(6): 59-69
  16. Belsley, D.A., Kuh, E. and Welsch, R.E. 1980. Regression diagnostics. John Wiley & Sons, New York, pp.292
  17. Judge, G.G., Hill, R.C., Griffiths, W.E., Lutdepohl, H. and Lee, T. 1988. Introduction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Econometrics. John Wiley & Sons. New York, pp.1024
  18. Lortz, D., Kluender, R., Mccoy, W., Stokes, B. and Klepac, J. 1997. Manual felling time and productivity in Southern Pine forests. Forest Products Journal 47(10): 59-63
  19. Myers, R.H. 1986. Classical and modern regression with applications. Duxbury Press. pp.395
  20. Snee, R.D. 1977. Validation of regression models : Methods and examples. Technometrics 19: 415-428 https://doi.org/10.2307/1267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