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ing a Web 2.0 based Job Competency Modeling Method

웹 2.0 방식의 직무역량모델링 방법 개발

  • 황은동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 정윤민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 김수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Many companies in Korea have developed job competency models and are utilizing them for the purpose of training and management of employees. However many of them are unable to be utilized efficiently through their own job competency model because the company failed to reflect what happens in the real work place in the model or the model itself is not concrete enough to be applied practically. Thus,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ompanies which had developed their own job competency model were investigated and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training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model were developed. By result of the survey, about 43.5% of the company, which has more than 400 employees, have developed job competency models and 31.7% of them haven‘t been able to develop training system based upon the model due to the lack of concreteness of their model. To overcome this contradiction, we developed web 2.0 based job competency modeling method where each individuals in the organization themselves develop job competency as opposed to an expert oriented developing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web 2.0 based job competency modeling method is superior to any another modeling in an accuracy of competency, an acceptance of competency, and an usefulness of competency description.

현재 상당수 기업에서 인력육성 및 관리 분야에 활용하는 직무역량모델은 현장 업무를 반영하지 못하거나 개발된 직무역량 모델이 실제 활용에 구체적이지 못해 업무 활용도가 떨어지는 상황이다. 한국 기업의 직무역량모델 개발 현황과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체계 개발 현황을 조사한 결과, 종업원 400인 이상 기업의 43.5% 정도가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했으며,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한 기업 중 31.7%는 만들어진 역량이 상세하지 못해 직무역량을 기반으로한 교육체계를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문제 해결을 위해 '웹 2.0방식의 직무역량모델링 방법'을 소개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개발한 직무역량모델과 대부분 기업의 직무역량을 개발하는 방식인 전문가 중심의 개발된 직무역량모델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웹 2.0 방식의 개발한 직무역량모델에 대해 역량명의 정확성, 수용성 그리고 역량기술서의 유용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환경에 맞는 구체적인 역량이 도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여진, 공무원 노사관계 전문인력 역량분석, 한국행정연구원, 2005.
  2. 김민구, "네티즌이 만든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주간조선, 2006(1).
  3. 김병국, 권오철, "지방자치단체 역량평가를 위한지표개발 연구 :내부조직역량 평가 체계 구축을위한 시론",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1권, 제4호, pp.53-73, 1999.
  4. 김재곤, "차세대 스타'웹(Web)2.0'무서운 질주",주간조선, 2000(1).
  5. 박준성, 인터랙티브 인사평가시스템, 명경사, 2001.
  6. 우성민, "기반 역량(Foundation Cpmpetency)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7. 이동희, "역량모델링을 통한 직무역량개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8. 이재경,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에 대한 고찰 : 마케팅 역량 강화 교육과정 체계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 공학 연구, 제18권, 제4호,2002.
  9. 이홍민, 김종인, 핵심역량 핵심인재, 리드리드출판, 2003.
  10. 진주현, "표준역량모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1. 최순욱, "나눔의 IT문화 이제는 학교다", 집단지성을 활용한 대표 사례, 전자신문, 2007(9).
  12. 한재선, "KAIST '웹 2.0 특강' 지상중계 (3) 집단지성의 활용", 중앙일보, 2007(5).
  13. 이준기, "웹 2.0과 비즈니스 전략에 대한 고찰",Telecommunication Review, 2007(8).
  14. 헤이컨설팅 그룹, High Performer 컨피턴, 시그마인사이트컴, 2002.
  15. P. Cardona and M. N. Chinchilla, "Evaluating and Developing Management Competencies," Technicalnote of the Research Department at IESE, International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University of Navarra, Barcelona-Madrid, IES085.02/16/00, 1999.
  16. D. D. David, Competency 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HRD Press, Inc, 1993.
  17. N. G. In Peterson, M. D, Mumford, W. C. Borman, P. R. Jeanneret, E. A. Fleishman (Eds.), L. I. Wetrogan, and C. E. Uhlman, J. C. Marshal-Mies "Development of prototype occupational information network content model," Vol.1, 10.1-10.39, Utah : Utah Department of Employment Security, Contact pp..94-54, 1995.
  18. G. O. Klemp, "The assessment of occupational competence," Washington, D. C. : Report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1980.
  19. Lassey, Developing a Learning Organization, Kogan Page, 1998.
  20. C. McClelland,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Vol.28, No.1, 1973(1).
  21. P. A. McLagan, "The models, On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Ed.)," Models for HRD practice, Alexandria, VA: Author, 1997(5).
  22. S. B. Parry, "The quest for competencies," Training, Vol.33, No.7, pp.48-56, 19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