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성고체의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Hazardous Properties of the Oxidizing Solids

  • 이봉우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위험물사업본부) ;
  • 박철우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위험물사업본부) ;
  • 송학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위험물사업본부)
  • 발행 : 2009.10.31

초록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과학기술과 산업발달에 따라 화학물질, 위험물의 사용, 저장 및 운송물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인류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지만 인화성, 폭발성 등의 잠재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세계 각국은 물질의 분류와 표시가 달라 국제무역에서 많은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위험물에 대한 국제적인 시험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며 시험데이터를 기준으로 선택가능방식(Building Block Approach)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국내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는 위험물을 산화성고체, 가연성고체, 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인화성액체, 자기반응성물질, 산화성액체로 분류하고 있다. 1차적으로 산화성고체 35종에 대하여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한 시험방법, UN시험방법으로 시험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들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국제적으로 분류하여 국내실정에 적합한 산화성고체 시험방법을 제시하였다.

Chemical products have had an favorable influence on our everyday life, and contributed very much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 of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ique the using chemical products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Chemical products can have any hazardous property such as flammability or explosiveness. There are occurring many accidents in the international trade due to the different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produced in various countries.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he development of global standard test methods for the chemicals, and the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in building block approach by means of the basic technical data. Oxidizing solids, combustible solids, spontaneously combustible materials, water-prohibitive materials, flammable liquids, self-reactive materials and oxidizing liquids have been classification The first Experiment have tested Oxidizing solids of third five. The results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azard material safety regulation and the UN regulation, and summarized in a data-base.

키워드

참고문헌

  1. 기술표준원, 'GHS제도 시행에 따른 분류체계 표준화 사업'(2004)
  2. 한국소방검정공사, '위험물 표시제 연구'(2004)
  3. 국립환경연구원, 'GHS 국내 이행방안 연구'(2005)
  4. 한국소방검정공사, '위험물 분류·표지의 국제 표준화(GHS) 연구'(2006)
  5. 산업안전보건연구원, 'GHS에 대응한 화학물 질의 분류 및 표지정보의 제공(II)'(2007)
  6.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의 물리화학적 특성 실험연구'(2007)
  7. 정부합동추진위원회,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GHS)'(2006)
  8. 김창섭, 위험물 각론(2008)
  9. 소방방재청, '위험물안전관리법시행규칙'(2008)
  10. UN, Recommendation of the transport of dangerous Goods, 'Manual of Tests and Criteria', Fourth revised edition United nations(2003)
  11. UN,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Second Revised edition (2007)
  12. 危險物法令硏究會, '危險物 六法'(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