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Leadership Program for the Gifted and Talented, and It's Application

과학영재아를 위한 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is projects was carried out under the assumption that an appealing leadership program would lead to students' increased leadership abilities. This leadership program is comprised of 16 materials based on seven factors of leadership for the gifted and talented. More than 46% of the gifted and talented have a positive response to leadership program, and some of thes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14.7%) reacted nega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T-Test, a survey about leadership of gifted and talented,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is leadership program (p<.01). Especially, the leadership quality of the gifted and talented improved effectively in communication skills(p<.01), individualized considerations(p<.01), and interpersonal skills(p<.05). But there are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the middle school students except leadership total score(p<.05) and communication skills(p<.01). Comprehensively, the primary school students scored slightly higher than did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seven factors of leadership. So, we need an effective guide in planning a leadership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영재아들의 리더십 능력을 신장시킬 목적으로 영재 리더십의 핵심요소로 7가지 요인들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16차시의 리더십 함양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리더십 프로그램에 대해 영재아들의 46.3%는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인 반면 14.7%의 학생들은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반응하였다.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영재학생들에 대한 리더십 프로그램의 적용이 학생들의 리더십 증진에 전반적으로 효과가 있었다(p< .01). 특히 의사소통(p <. 01), 인간 관계(p <.05), 타인배려(p <.0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영재 리더십 프로그램의 적용이 영재학생들의 학교급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리더십 총점 (p< .05)과 의사소통(p <.01)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나머지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가 초등학생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도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가 초등학생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석과 중등학생에 대한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대책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웅 (2004).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기술 인식과 자기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아 (2004). 영재아와 일반아의 리더십과 정서지능 비교 연구.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3. 김금희 (2007). 한.중 영재 및 일반학생들의 리더십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 김미숙, 조석희, 윤초희, 진석언 (2004). 중학생 영재의 지적·정의적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 탐색.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김미숙, 박효정, 유효현, 전미란, 박춘성 (2006). 리더십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김진화, 오해섭 (2002). 4-H 청소년 리더십 개발 지도자용 프로그램집. 한국 4-H 본부
  7. 노영희 (2003).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박성익, 조석희, 김흥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9. 백기복 (2000). 이슈리더십. 서울: 창민사
  10. 이경화 (2001). 영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주)학문사
  11. 이국행, 서재복, 이정원, 임은미, 정덕호, 허진휴, 김미림 (2009). 부모를 위한 영재교육 가이드. 전주: 도서출판 맥기획
  12. 이상호 (2002). 정보화시대의 경영리더십. 사회과학논총. 5, 105-126
  13. 정미정, 이수진, 이상철 (2003). 영재아를 위한 리더십 교육 상담사례 및 지도방안. 영재리더십. 건국대학교 영재교육연구회 자료
  14. 조성종 (2002). 변화되는 리더십 패러다임. 사회과학논총, 5, 173-201
  15. 최금자 (1999). 새 패러다임에서의 리더십. 산업경영연구, 7, 31-64
  16. Black, J. D. (1984). Leadership: A new model particularly applicable to gifted youth (Report No. EC171399). Indiana: Handicapped and Gifted Children Clearinghous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53 990 )
  17. Bradford, D. L. and Cohen, A. R. (1998). Power Up.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18. Burns, J. M. (1978). Leadership.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19. Day, D. V. (2000). Leadership development: A review in context. Leadership Quarterly, 11, 581-613 https://doi.org/10.1016/S1048-9843(00)00061-8
  20. Ensley, M. D. and Pearce, C. L. (2001). Shared cognition as a process and an outcome in top management teams: Implications for new venture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1), 145 160 https://doi.org/10.1002/job.83
  21. Feldhusen, J. F. and Kennedy, D. M. (1988). Preparing gifted youth for leadership roles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Roeper Review, 10(4), 226-230 https://doi.org/10.1080/02783198809553135
  22. Foster, W. H. and Silverman, M. (1988). Leadership curriculum for gifted. In J. Van Tassel-Baska, J. Feldhusen, K. Seeley, G. Wheatley, L. Silverman, and W. Foster (Eds.), Comprehensive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 Boston: Allyn Bacon, Inc
  23. Karnes, F. A. and Bean, S. M. (1998). Leadership and the gifted.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29(1), 1-12
  24. Karnes, F. A. and Bean, S. M. (2001). Methods and materials for teaching the gifted. Prufrock Press, Inc
  25. Karnes, F. A. and D'llio, V. (1990). Leadership positions and sex-role stereotyring among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3, 76-78 https://doi.org/10.1177/001698628903300206
  26. Gagne, F. (2003). Transforming gifts into talents: The DMGT as a developmental theory. In Colangelo, N. and Davis, G. A.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3rd ed., 60-74), Boston: Allyn & Bacon
  27. Parker, J. P. (1983). The leadership training model: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Gifted Child Today, 29, 8-13
  28. Pearce, C. L., Waldman, D. A., and Csikszentmihalyi, C. (2006). Virtuous leadership: Atheoretical model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Management, Spirituality and Religion, 3(1-2), 60-70 https://doi.org/10.1080/14766080609518611
  29. Plowman, P. D. (1981). Training extraordinary leaders. Roeper Review, 3, 13-16 https://doi.org/10.1080/02783198109552526
  30. Renzulli, J. S., Smith, F. H., and White, A. J.(1997).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31. Schakel, L. (1984). Investigation of the leadership abilities of intellectually gifted student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Tampa: University of South Florida
  32. Sisk, D. A.(1993). Leadership education for the gifted. In K. A. Heller, F. J. Monks, & A. H. Passow (Ed.),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 and talent. Oxford: Pergamon Press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