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 To compare 12 and 32-element surface coil arrays for highly accelerated coronary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using parallel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 Steady state free precession coronary MRA was performed in 5 healthy volunteers at 1.5 T whole body MR scanner using both 12 and 32-element surface coil arrays. Left anterior descending and right coronary artery data sets were acquired for each volunteer. Data sets were sub-sampled for parallel imaging using reduction factors from 1 to 6. Mean geometry factor (g-factor), maximum g-factor, and artifact level were calculated for each of the two coil arrays. Results : Over all reduction factors, the mean and maximum g-factors and artifact level were significantly reduced using the 32-element array compared to the 12element array (P << 0.1). The mean g-factor was sensitive to the imaging orientations of coronary arteries while the maximum g-factor and artifact level were independent of orientation. Conclusion : The 32-element surface coil array significantly improves artifact and noise suppression for highly accelerated coronary MRA using parallel imaging. The increased acceleration factors made feasible with the 32-element array offer the potential to enhance spatial resolution or increase volumetric coverage for 3D coronary MRA.
목적: 각각 12개와 32개 요소 표면 코일 어레이를 사용한 가속율이 매우 큰 관상동맥 자기 공명 혈관조영술을 병렬 영상 기법에 적용하고 결과를 비교한다. 방법: 5명의 건강한 지원자에 대하여 1.5T 전신 자기공명영상장치에서 각각 12개와 32개 요소 표면 코일 어레이를 사용한 steady state free precession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이 수행되었다. 각 지원자의 좌전하방관상동맥과 우관상동맥을 영상하여 데이터를 얻었다. 데이터는 병렬 영상을 위하여 1에서 6에 이르는 감소율로 부분 추출되었다. 양 코일 어레이 각각에 대하여 지형 인자의 평균, 극대, 그리고 인공물정도가 계산되었다. 결과: 모든 감소율에 있어서, 32개 요소 어레이가 12개 요소 어레이에 비하여 지형인자의 평균과 극대, 그리고 인공물정도가 상당히 줄어들었다 (P << 0.1). 지형인자의 평균은 관상동맥의 영상 방향에 민감한 반면, 지형인자 극대치와 인공물정도는 영상 방향에 독립적이었다. 결론: 가속율이 매우 큰 관상동맥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의 병렬 영상 적용에 있어 32개 요소 표면 코일 어레이를 사용함은 인공물과 잡음을 상당히 억제시킨다. 32개 요소 표면 코일 어레이를 사용하여 가속율을 증가시키는 것은 공간 해상도를 향상시키거나 3D관상동맥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에 있어서 체적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