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점토의 물리적 특성과 압축지수의 상관성

Correlations Betwee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ompression Index of KwangYang Clay

  • 배우석 ((주)나노지오이엔씨) ;
  • 김종우 (청주대학교 이공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투고 : 2009.05.11
  • 심사 : 2009.10.19
  • 발행 : 2009.12.01

초록

압축지수를 구하기 위해 경험적으로 제안되고 있는 상관관계식은 압밀실험 횟수가 작거나 분산이 심한 경우에 간단한 시험으로 획득할 수 있는 토질정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구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으나 대부분은 분석대상지역이 국외나 국내의 특정지역에 국한되거나 여러 자료를 통합하여 사용한 경우가 많아 적용하는데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반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설계법의 새로운 정립을 목적으로 시험자료의 불확실성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최근에 수집된 비교적 신뢰성이 큰 광양항 지역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선정지역에서 획득된 압밀시험 자료에 대해 정규성 검증 및 변수 변환을 수행한 후 변수변환된 회귀모형을 통하여 예측식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변수변환 회귀모형식을 기존의 경험식과 비교하여 제안모형식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Box-Cox 변수변환 후 결정계수가 증가하며 설명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평균제곱예측오차법을 통하여 제안된 모형식이 실험값과 가장 근접한 값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correlation equation empirically proposed to obtain compression indexes has been proposed to conveniently obtain the value using the soil parameter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simple tests when the number of time of consolidation testing is low or the distribution is large but most of the analyzed regions are limited to certain regions abroad or in the country and multiple data were integrated for use in many cases, thus it is not very reasonable to apply it. Therefore, to establish a new design method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the ground, it was selected the Kwangyang port area of which the data have been collected recently thus are relatively more reliable as the subject region of the study in order to maximally reduce the uncertainty of test data. After performing the verification of the normality of the consolidation test data obtained from the selected reg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variables, a prediction formula was proposed through the regression model with the transformed variables and the proposed regression model with transformed variables was compared with existing empirical equations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formula. After analyz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increased after the Box-Cox variable transformation, thus the explanatory power was being enhanced and through the root-mean-square-error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odel formula showed the most closed value to the test valu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후 (2002), 해성점토의 물리적 특성과 압축지수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pp. 1-75.
  2. 김동후, 김기웅, 백영식 (2003), 해성점토의 물리적 특성과 압축지수의 상관성,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 19, No. 6, pp. 371-378.
  3. 송만순 (1988), 우리나라 해성점토의 제 토질계수의 상관관계,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pp. 1-79.
  4. 오서현, 하태균, 정충기 (2009), 국내 연약 점성토 지반의 지반공학적 특성, 한국지반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922-929.
  5. 윤길림, 김병탁 (2003), 국내 해양지반에 적합한 압축지수 예측식 제안,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 23, No. 3C, pp. 169-176.
  6. 윤길림 (2004), 차세대 항만 설계기술 개발(IV): 지반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토질정수 개발, 한국해양연구원연구보고서 538.1한15차v.4, 해양수산부, pp. 1-245.
  7. 한국토지공사 (1999), 연약지반의 압밀특성에 관한 연구 I, pp. 73-207.
  8. Al-Khafaji, A. W. N. and Andersland, O. B. (1992), Equations for Compression Analysis of Soil Compressibility Index Approximation,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ASCE, Vol. 118, No. 1, pp. 148-153. https://doi.org/10.1061/(ASCE)0733-9410(1992)118:1(148)
  9. G.E.P. Box and D.R. Cox (1964). An Analysis of Transformations, Journal of Royal Statistic Society, Series B26, Vol. 2, pp. 211-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