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러닝 시스템의 교수-학습 기능 지원을 위한 명세화된 참조 모델

The Specified Reference Model for Supporting a Teaching&Learning Function of the e-Learning System

  • 이우범 (상지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 발행 : 2009.01.30

초록

e-러닝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교수-학습 기능의 지원 정도는 학습효과 향상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e-러닝의 기획, 개발, 운영, 평가 등에 있어서 시스템이 지원하는 기능에 기반 한 명세화된 참조 모델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의 e-러닝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 기능 지원을 위한 명세화된 참조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한 명세화된 참조 모형의 유효성은 e-러닝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서 검증한 결과, 이전의 e-러닝 시스템보다 $11%{\sim}23%$의 효율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안 모델의 활용성 검증을 위해서 기존의 e-러닝 시스템을 참조 모형에서 제시된 교수-학습 기능의 지원 정도에 따라서 사전 평가한 결과, 실제 해당 사이트를 경험한 수요자들의 서비스 요구도에 의한 만족도와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다.

Supporting of the user-wanted teaching&learning functions is an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s in a e-learning system. However, most methods are not enough to refer a model for supporting a teaching&learning function in a planning, development, operation, and evaluation. Accordingly, we propose the specified reference model for supporting a teaching&learning function in the web-based e-learning system.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ystem, we consulted the students experienced in e-learning system. As a results, The proposed specified reference model can be expected more $11%{\sim}23%$ effectiveness improvement than that of their experienced in the previous system. Also, as the pre-evaluated results using the teaching&learning services supporting degree by the proposed reference model, those measurements are very similar to the services requirement degree of their experienced in e-learning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조광수 외, “차세대 e-러닝 학습 모델 및 개발방법론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05-34, 2005.
  2. 장호욱 등, “e-러닝 환경에서의 협력학습 모델 및 지원도구 분석”, 전자통신동향분석 20(1), pp. 139-146, 2005.
  3. Knowles M. 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IL: Follett Publishing Co., 1975.
  4. Cornell R. and Martin B. L., "The role of motivation in web-based instruction", In B. H. Kahn (Ed.), Web-based instruction,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pp. 93-100, 1997.
  5. Huang H., "Instructional Technologies Facilitating Online Courses", Educational Technology 40(4), pp. 41-46, 2000.
  6. Schifter C. C., "Faculty motivators and inhibitors for participation in distance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40(2), pp. 43-46, 2000.
  7. Berge Z. L. and Muilenburg L., "Design Discussion Questions for Online. Adult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40(5), pp. 53-56, 2000.
  8. Charles, C., "Children as computer users: the case of collaborative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30(3), pp. 237-247, 1998. https://doi.org/10.1016/S0360-1315(97)00067-5
  9. Shotsberger P. G. and Vetter R., "The Handheld Web: How Mobile Wireless Technologies will change web-based instruction and training", Educational Technology 40(5), pp. 49-52, 2000.
  10. Cifuentes L. and Murphy K. L., "Promot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Positive Self-Concept Through a Distance Learning Community: Cultural Connection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48(1), pp. 69-83, 2000. https://doi.org/10.1007/BF02313486
  11. 함영기 외, 주제학습 ICT 활용수업 방안 연구: 온라인 프로젝트 학습자료 개발 및 학습 커뮤니티 운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1.
  12. 이승욱 외, “차세대 e-러닝 서비스: e-러닝 시스템을 중심으로”, 전자통신동향분석, 20(4), pp. 155-166, 2005.
  13. 서희전 외, “혼합현실기반 이러닝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22(4), pp. 87-95,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