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Kimura's disease is an uncommon benign lymphoproliferative inflammatory disorder with an unknown etiology. The recurrence rate after surgical excision is relatively high and renal involvement is its only systemic manifestation. The condition mainly involves the head and neck, and peripheral involvement is extremely rare. Materials and Methods: We encountered the case of a 28-year-old man who had a non-tender mass with mild brownish skin color changes and pruritus around the medial side of the distal arm and elbow. Results: The peripheral blood investigation revealed peripheral eosinophilia and elevated serum IgE levels.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an isointensity signal relative to the muscle on the T1-weighted images and hyperintensity signal relative to the muscle on the T2-weighted images. Conclusion: A marginal resection of the lesion was performed and there was no recurrence at 2 years postoperatively.
목적: Kimura씨 병은 원인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드문 양성 림프 증식성 염증성 질환으로 외과적 절제술 후 비교적 높은 재발율을 보이며 전신적으로 신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주로 동양의 젊은 남자에서 두경부의 무통성 종물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말초 부위의 발생은 극히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본 교실에서 경험한 증례는 상완골 내 상과 상부에 연갈색의 피부 변화와 경미한 소양증을 동반한 비압통성 종물을 주소로 내원한 28세 남자환자였다. 결과: 혈액 분석상 말초 혈액의 호산구 증가증 및 IgE의 증가 소견을 보였으며 자기 공명 영상 소견상 T1 강조 영상에서 근육과 비교해 비슷한 신호 강도, T2 강조영상에서 고 신호 강도를 보였다. 결론: 치료는 변연부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술후 2년째 재발 소견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