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ucture of Interrelationship Among the Influential Factors of Migration Using Path Analysis

경로분석을 이용한 인구이동 결정요인들 간의 인과구조

  • Lee, Hee-Ye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Jung-Ho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희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박정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Interregional migration is viewed a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in regional population chang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interrelationship among influential factors of interregional migration from the macro-viewpoint. During the period of 2000-05 the correlation between immigration and outmigration among 223 shi gun gu spatial unit was over 0.95, indicating that regions with high outmigration received high immigration. In this study the hypothesized cause-and-effect relationship among six influential factors of total migration flow was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Based on the direct effect culturalwelfare environment has the biggest impact on immigration, while education environment and new housing environment are somewhat less and industrial-job opportunity environment the smallest impact. However based on the indirect effect, fiscal environment has the biggest impact on immigration, while industrial-job opportunity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environment are somewhat less and new housing environment the smallest impact. If we consider the total effect, fiscal environment and cultural-welfare environment have the mos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immigration.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fiscal environment was remarkable in migration process through nonrecursive path and feedback loop.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이동은 각 지역의 인구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거시적 관점에서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구조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지난 5년(2000-05년) 동안 전국 시 군 구에서 이루어진 전입과 전출과의 상관계수는 0.95를 넘고 있어 전입량이 많은 지역에서 전출량도 많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입량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 간의 경로를 가설적으로 설정한 후 경로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인구이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문화복지환경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신규주택환경, 교육환경, 산업취업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재정환경, 기반환경, 산업취업환경, 신규주택환경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총효과는 재정환경, 문화복지환경, 산업취업환경, 신규주택환경 순으로 영향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재정환경요인의 경우 순환경로를 가지고 있으며, 재정환경의 순환구조는 인구이동의 총효과를 증대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